확신은 어떻게 삶을 움직이는가 또는 청년들, 1980년대에 맞서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확신은 어떻게 삶을 움직이는가 또는 청년들, 1980년대에 맞서다

땅끝
2025-04-13 19:24 18 0

본문




확신은 어떻게 삶을 움직이는가
9791189995478.jpg


도서명 : 확신은 어떻게 삶을 움직이는가
저자/출판사 : 울리히 슈나벨, 인플루엔셜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0-01-15
ISBN : 9791189995478
정가 : 15800

추천의 말
프롤로그_삶의 놀라운 용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1장 확신이라는 삶의 에너지
뇌는 기쁨보다 고통을 더 강하게 기억한다 / 인간은 언제 행복감을 느끼는가 / 레트로피아라는 환상 / 경쟁의 법칙이 개인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몬비오의 암 투병기를 통해 본 좋은 삶이란 / 삶의 마지막까지 확신을 지킨다는 것
확신주의자 ① 사막에 숲을 일군 남자, 야쿠바 사와도고

2장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자유
시계를 거꾸로 돌린 놀라운 실험 / 뷰카의 시대, 이너게임에 집중하라 / 내면을 통제하는 이너게임 5단계 전략 / 호빗 빌보가 모험에 나선 까닭은 / 에픽테토스의 역경을 대하는 법 / 도전을 통해 성장하는 회복탄력성
확신주의자 ② 하늘에서 떨어진 소녀, 율리아네 쾨프케

3장 희망의 적정량 측정하기
긍정적 기대감이 뇌에 일으키는 화학작용 / 긍정적 경험이 삶에 미치는 영향 / 현실주의자가 미래에 대해 간과하는 것 / 사람들은 왜 자신의 미래에 낙관적인가 / 낙관주의는 와인과 같다 / 긍정적 공상과 성공 가능성의 상관관계 / 확신은 인생이 예측불허임을 인정하는 것 / 삶의 마지막 순간 희망을 유지할 수 있다면
확신주의자 ③ 꿈꾸는 소년들의 홍보대사, 알리 마흐로드이

4장 창의력은 불확실성 속에서 발휘된다
청년기에 신대륙을 발견한 사람들 / 야성적이고 얽매이지 않는 에너지 / 변화가 두렵도록 진화된 인간 / 불확실성에 대한 수용 / 확신이 현실에서 생기를 얻을 때 / 정신적 민첩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 십대들의 행진에서 발견한 희망 / 때로는 유토피아적 이상이 필요하다
확신주의자 ④ 창세기의 커플, 렐리아와 세바스치앙 살가두

5장 절망에서 벗어나는 확신의 도구
감옥에서도 자유를 경험한 데니즈 유셀 / 두려움을 길들이는 치유의 글쓰기 / 존엄성과 내적 자유를 강화하는 자기효능감 / 아우슈비츠에서 만난 영혼의 친구 /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공감 능력 / 합창은 효과적인 확신의 도구 / 인생은 선물이란 사실을 기억하라
확신주의자 ⑤ 지옥에서 살아남은 영혼의 의사, 빅터 프랭클

6장 삶의 의미를 찾아서
삶의 의미를 안다는 것 / 의미는 경험되는 것이다 / 자아 지향에서 의미 지향으로 / 그들이 아프가니스탄에 두고 온 것 / 현대 사회는 무엇에 실패했나 / 외로움이란 현대병 / 공동체 회복은 자본주의 폐해의 대안 / 일상에서 작은 의미를 경험하라
확신주의자 ⑥ 확신의 전문가들, 이레네 디쉐와 나탈리 크납

7장 확신은 어떻게 강화되는가
생각을 재구성하는 자기 탐문 / 기분을 전환하는 신체적 활동 / 스마트폰이 기분을 우울하게 만드는 이유 / 유머는 확신을 지키는 강력한 무기 / 뇌과학이 증명한 유머의 효능 / 불쾌함과 유쾌함의 균형 / 불완전한 세상에서 웃을 수 있는 능력




청년들, 1980년대에 맞서다
9791156121572.jpg


도서명 : 청년들, 1980년대에 맞서다
저자/출판사 : 권형택 , 김성환 , 임경석, 푸른역사
쪽수 : 468쪽
출판일 : 2019-11-29
ISBN : 9791156121572
정가 : 21900

들어가며

1장 민청련의 탄생

1_창립총회 열리던 날
2_창립총회 성공하다
3_민청련 출범의 시대적 배경
4_구월동의 도망자들
5_공개 정치투쟁을 조직하라
6_누구나 인정할 의장을 찾아라
7_김근태, 의장직을 수락하다
8_누가 먼저 교도소에 갈 것인가

2장 초창기의 조직과 투쟁

1_공개 활동의 거점, 사무실 확보 투쟁
2_비공개 회원 조직의 구축
3_첫 투쟁, 레이건 미국 대통령 방한 반대투쟁
4_줄을 잇는 공개정치투쟁의 깃발

3장 민주화운동의 선봉

1_“녹화사업 의문사, 진상을 밝혀라”
2_청년운동론의 정립
3_제2차 총회와 민청련의 여성운동론
4_공개운동 영역의 확대
5_《민주화의 길》 창간
6_연합운동을 주도하다
7_CNP논의와 2?12총선 대응 전술
8_1985년 2?12총선과 민청련
9_제4차 총회와 5월 투쟁

4장 민청련 탄압사건

1_대탄압의 먹구름
2_폭풍 전야: 학원안정법 파동과 민청련 제5차 총회
3_집행부의 연이은 구속과 고문
4_김근태 전 의장 고문 폭로와 공동대책위원회
5_고문 폭로에서 인권운동으로, 민청련 여성들의 활약
6_비상체제의 민청련

5장 시련을 이겨내고 6월항쟁으로

1_제6차 총회와 AB논쟁
2_5월 투쟁에 헌신한 청년들
3_1986년 헌법특위 반대 운동
4_제7차 총회와 새 집행부
5_탄압에 희생된 박종철, 일어서는 민청련
6_항쟁 전야, 어둠 속에서 횃불을 든 민청련
7_6월항쟁과 민청련

6장 대통령선거 국면의 민청련

1_6?29선언과 민청련의 대응
2_제9차 총회와 공개 지도역량의 회복
3_민청련의 조직 정비와 야권 후보 단일화운동
4_지역 민청련 조직 활동
5_대통령선거 전술 논쟁과 김근태 옥중 메시지
6_민청련, ‘4자 필승론’에 빠져들다
7_민청련은 왜 김대중을 지지했나
8_아, 김병곤!
9_대통령선거 패배와 민청련의 좌절

7장 청년 대중운동의 기수

1_제10차 총회와 집행부의 세대교체
2_운동권에 등장한 새로운 기류, 민족해방 계열
3_민족해방 계열과 거리 둔 민청련 집행부
4_청년대중운동의 진전: 청년학교와 성남 민청련
5_김근태가 바라본 ‘두 개의 전선’

에필로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