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민화수업 또는 관군에서 의병으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나의 첫 민화수업 또는 관군에서 의병으로

땅끝
2025-04-13 19:24 16 0

본문




나의 첫 민화수업
9791186358627.jpg


도서명 : 나의 첫 민화수업
저자/출판사 : 김서윤, 초록비책공방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9-09-10
ISBN : 9791186358627
정가 : 18000

민화를 그리기에 앞서
민화를 그리기 위한 재료와 도구
- 종이/ 아교/ 물감/ 도자기 접시/ 붓/ 화판/ 스케치를 위한 도구/ 물통/ 밑작업에 필요한 기타 도구

민화 그리기 전 밑작업하기
1. 화판에 초배지 붙이기/ 2. 이합지 붙이기/ 3. 아교반수하기/ 4. 아교를 다룰 때 주의점

민화 그리는 과정과 채색기법
1. 색의 명칭과 발색/ 2. 민화를 그리는 과정/ 3. 채색 순서와 바림하는 방법

그림의 마감과 보관

Q&A note : 민화를 그리며 생기는 다양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

ㆍ 모란도, 부귀영화의 상징
붉은 모란도/ 하얀 모란도

ㆍ 연화도, 청렴함의 상징
물총새가 있는 연화도/ 여백을 살린 연화도

ㆍ 소과도, 행운과 부의 상징
포도를 그린 소과도/ 복숭아를 그린 소과도/ 석류알을 그린 소과도

ㆍ 어해도, 성취와 입신양명의 상징
파도 위의 물고기

ㆍ 조충도, 풀과 벌레에 담긴 생명력
양귀비와 도마뱀

ㆍ 화조도, 자연과의 조화로움
수국과 제비/ 매화와 파랑새

ㆍ 문자도, 소망을 담은 글자
감사의 문자도

ㆍ 책가도, 책과 소품들
좋아하는 소품으로 그린 책가도

ㆍ 나만의 시선으로 그리는 식물
유칼립투스 폴리안/ 열매 유칼립투스




관군에서 의병으로
9788957752401.jpg


도서명 : 관군에서 의병으로
저자/출판사 : 이병록, 아마존북스
쪽수 : 327쪽
출판일 : 2020-01-13
ISBN : 9788957752401
정가 : 15000

프롤로그

1장 한 손에 책, 한 손에 술

한 손에 책, 한 손에 술
경상도 인연
집안 간 경쟁을 여름성경학교에서 평정하다
남에게 받은 평가
약자 편을 들다
직진과 탈권위주의 군 생활 흔적
전세와 이사의 애환
나는 호인일까? 호구일까?
평생 친구, ‘꿔다 놓은 보릿자루’와 네 가지 병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던 짧은 교수 시절
아내에게서 받은 강의평가는 A+++
산부인과 가는 길, 아들과 외손자의 30년 시차
외손녀의 말과 행동
해외여행
비유로 대화를 주도한 일화
사람은 인정을 받을 때 행복하다

2장 관군의 생각

919군사합의와 한국안보
부대 개편에 관한 일화들
F-35와 차기 항공기(KF-X) 사업 국산화는 동전의 양면이다
GP 철수 반대 시위와 한일 해저 터널
러시아군용기 무단 침입
사드, 바람이 불면 통장수가 돈을 번다
전술핵, 무엇을 파괴할 것인가?
전시작전통제권, 두려움에서 자신감으로
주적, 소대장 주적과 대통령 주적
방산비리에 대한 오해
합동군과 통합군제도
칼을 뺏고 총을 주자는 기무사 개편
일본이 한국안보를 도왔다고?

3장 병사가 보낸 편지

군 생활 중 언제 가장 힘들었습니까?
병사가 보낸 편지
사실상 마지막 보직을 마치며 합참의장에게
적응이 힘들었던 사관학교
좌충우돌 위관장교
소신 있게 근무한 소령
개성이 나타난 중령
소신껏 보낸 장병들 휴가
합참 전력발전본부 편성 일화
장군 달고 인사 분야에 첫발을 디딤
수영훈련 강화와 교육개혁
지휘관 교대식 풍속도

4장 의병의 생각

중도수렴 정치
헌법 개정과 지방분권
대통령과 지도자의 리더십
세종대왕의 외교안보정책
1%가 의미하는 세상
남한산성 영화에서 보는 보수와 진보
서민이 보는 정치
지일, 극일 그리고 통일
섬에서 대륙으로
송민순 장관 회고록 사태
정치적 중립에서 벗어나 대통령 선거운동을 하다
북한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
독도의 실효적 지배

5장 나라를 생각하는 수많은 방법들

홈런 치는 삼성이 있으면 안타 치는 중소기업이 필요하다
의병의 경제관
광화문 성조기 집회를 보면서
4대강(대운하)과 경부고속도로
만주여행기
이웃사촌 중국
혁신학교에 반대하는 학부모들을 보면서
뒤틀린 한일관계
초등학교 수준만 되면 다 배울 수 있는 시민의식
일회용 컵 안 쓰기와 자원재활용
우리 문화 보존과 융성
정월대보름과 할로윈 행사
내 사전에 외국어는 없다

에필로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