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나키즘: 인물편 또는 정원사 부모와 목수 부모
땅끝
2025-04-13 19:24
1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한국의 아나키즘: 인물편

도서명 : 한국의 아나키즘: 인물편
저자/출판사 : 이호룡, 지식산업사
쪽수 : 452쪽
출판일 : 2020-01-20
ISBN : 9788942390755
정가 : 23000
책을 내면서 5
머리말 13
제1장 민중직접혁명론자 신채호 19
1. 반제국주의적 사고체계로서의 민족주의 제창 21
2. 아나키즘 수용과 아나키스트로서의 활동 29
3. 민중직접혁명론 50
맺음말 60
제2장 민족해방운동기지건설론자 이회영 71
1. 자주독립 모색과 만주로의 망명 73
2. 아나키즘 수용 94
3. 아나키즘 실천활동 전개 103
맺음말 122
제3장 허무주의적 아나키스트 박렬 129
1. 박렬의 성장과정과 민족주의자로서의 출발 131
2. 아나키즘 수용과 아나키스트로서의 활동 134
3. 허무주의자로서의 박렬 147
4. 해방 이후 박렬의 독립국가 건설구상 155
맺음말 171
제4장 테러적 직접행동론자 류기석 177
1. 아나키즘 수용 179
2. 아나키스트 사상의 내용 183
3. 아나키스트로서의 활동 199
맺음말 225
제5장 아나르코생디칼리스트 이홍근 235
1. 아나키즘 수용과 사상적 내용 237
2. 일본에서의 아나키스트 활동 247
3. 국내에서의 아나르코생디칼리스트 활동 250
4.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동맹 결성 264
맺음말 274
제6장 민족전선론자 류자명 279
1. 아나키즘 수용 281
2. 테러적 직접행동론에 입각한 테러활동 285
3. 민족전선론 제창 300
맺음말 311
제7장 자유사회건설론자 이정규 317
1. 아나키즘 수용 319
2. 일제강점기의 아나키스트운동 324
3. 해방 직후 자주적 민주국가 건설운동 전개 345
맺음말 366
제8장 아나키스트정당론자 유림 373
1. 성장과정과 아나키즘 수용 376
2. 자유연합주의 사상과 자주적 민주국가 건설 구상 380
3. 일제강점기의 아나키스트 활동 387
4. 해방 이후의 아나키스트 활동 400
맺음말 422
맺음말 428
찾아보기 432
정원사 부모와 목수 부모

도서명 : 정원사 부모와 목수 부모
저자/출판사 : 앨리슨 고프닉, 시그마북스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9-08-30
ISBN : 9791190257015
정가 : 15000
역자 서문
들어가는 말: 부모 패러독스
양육으로부터 부모 되기로
패러독스
사랑의 패러독스
학습의 패러독스
아동기의 독특함
아이 정원
1. 양육하지 마라 : 양육에 반대하며
혼란에 대한 찬양
우리 대신 죽는 아이디어들
탐색 대 개발
보호하는 부모
2. 왜 인간의 아동기는 길어졌을까 : 아동기의 진화
두 개의 그림
그저 그런 이야기가 아닌
미성숙의 패러독스
학습, 문화, 피드백 고리
미지의 것은 알 수 없다
양육으로의 회귀
3. 사랑하는 부모는 양육하지 않는다 : 사랑의 진화
짝 결합, 참으로 복잡한
사랑의 다양성
할머니들
동종부모 역할
헌신 퍼즐
헌신의 뿌리
헌신의 대가
사랑과 양육
4. 아이들은 보고 배운다 : 보는 것을 통한 학습
어린 배우들
거울 뉴런의 신화
모방의 탄생
세상에 대한 학습
아이가 어른보다 잘할 때
과잉모방
의식
여러 문화에서의 모방
함께하기
5. 아이들은 듣고 배운다 : 듣기를 통한 학습
진술로부터의 학습
확신하기
누구를 믿을 수 있는가
이야기하기
질문과 설명
‘왜’라는 질문은 왜 하는가
본질적인 질문
그 녀석이 알아내도록 하기
6. 아이들은 놀아야 잘 자란다 : 놀이의 작용
몸싸움을 하는 쥐
모든 것에 빠져들기
팝비즈와 포퍼
가장하기
베이지안 아기들
여러 가지 마음들
춤추는 로봇
미스 해비샴을 넘어
7. 탐색은 계속되어야 한다 : 성장
도제 기간
학업 기술들
다르게 생각하기
주의력 결핍 장애
학교교육과 학습
놀이터의 사람들
청소년기의 두 가지 체계
8. 아이와 테크놀로지 : 미래와 과거
글 읽는 뇌
스크린의 세계
에덴과 매드 맥스
테크놀로지 톱니바퀴
웹의 도시
할 일
9.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 : 아이들의 가치
사적인 유대와 공적인 정책
돈을 찾아서
노인과 아이
일, 놀이, 예술, 과학
결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