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분수 개념이 먼저다. 1 또는 한국미 자연성 연구
땅끝
2025-04-13 19:24
1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회 연결
본문
초등 분수 개념이 먼저다. 1

도서명 : 초등 분수 개념이 먼저다. 1
저자/출판사 : 키 수학학습방법연구소, 키출판사
쪽수 : 168쪽
출판일 : 2019-07-30
ISBN : 9791189719579
정가 : 11000
1. 분수! 너 도대체 뭐야?
1. 분수의 생김새
2. 분수의 용어
3. 분수 읽기
4. 하나를 등분하기
5. 여러 개를 등분하기
단원 마무리
서술형으로 확인
쉬어가기
2. 한 조각? 단위분수!
1. 단위분수
2. 1과 단위분수
3. 1/2로 표현하기
4. 1/3로 표현하기
5. 1/4로 표현하기
6. 단위분수로 표현하기
7. 단위분수의 크기 비교
단원 마무리
서술형으로 확인
쉬어가기
3. 분수로 나타내 보자!
1. 단위분수 확장하기
2. 분수의 의미
3. 분수를 수직선에 표시하기
4. 그림으로 이해하기
5. 식으로 이해하기
6. 분수라는 것
7. 나머지에 대한 분수
단원 마무리
서술형으로 확인
쉬어가기
한국미 자연성 연구

도서명 : 한국미 자연성 연구
저자/출판사 : 최준식 , 마 씨아오루, 주류성
쪽수 : 300쪽
출판일 : 2019-10-15
ISBN : 9788962464030
정가 : 20000
발간에 붙여
- 마 씨아오루를 가르치고 배운 지도 교수의 변
저자 서문 (최준식)
본론
I. 서설
우리는 왜 이 연구를 하게 되었을까?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이 연구의 문제점과 그 향방에 대해
II. 한중 양국의 예술에 나타나는 종교사상적 배경에 대해
1. 중국 고유사상의 세계관, 가치관 및 실천관
서론: 중국의 전통 사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중국 고유 사상의 세계관
A. 춘추전국시대의 지식인들의 세계관
- 『춘추좌씨전』에 나타난 예화를 중심으로
자연 현상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하는 중국인
신령 같은 초자연적 존재를 넘어서는 중국인
제사는 신령이 아니라 인간 사회를 위해 지내는 것!
B. 유가와 도가
유가와 도가의 관계에 대하여
(1) 유가의 세계관
공자의 자연 인식
유가가 신령과 종교 의례를 바라보는 눈에 대해
유가의 인간관
유가의 대물관(對物觀)
(2) 도가의 세계관
도가의 이성적인 인간관
도가가 파악하는 인간의 지위
2) 중국 고유 사상의 가치관 및 실천관
A. 유가의 가치관 및 실천관
(1) 인(仁): 유가의 최고 가치 덕목
(a) 인(仁)의 다양한 특징에 대해
(i) 효와 제
(ii) 차등이 있는 넓은 사랑
(iii) 충과 서
(iv) 극기복례
(v) 공(恭)
(vi) 근(謹)과 신(愼)
(vii) 학문
(b) 인의 특징 - 인을 정리하면서
(2) 예: 군자가 되는 길
(a) 예의 기원과 계승
예의 시작은?
공자가 바라본 예의 개념
공자 이후의 예 개념
(b) 예의 특징 - 예를 정리하면서
B. 도가의 가치관 및 실천관
(1) 도가의 가치관
(2) 도가의 실천관
2. 한국 고유 사상의 세계관, 가치관 및 실천관
서론: 한국인 고유의 세계관을 파악한다는 것은?
1) 한국 고유 사상의 세계관 123
A. 고대 한국인의 세계관 123
(1) 신화와 설화를 통해 본 고대 한국인의 세계관
(a) 단군 신화 123
(b) 시조 설화 130
(c) 풍습과 생활에 관한 기록 133
(2) 고대 한국인의 세계관에 나타난 특징 136
B. 외래 종교 도입 이후의 한국인의 세계관 141
(1) 한국 고유의 세계관과 불교 142
불교로 편입되는 무교의 신령들
토착신앙의 가치와 실현 방법은 어떻게 계승되었을까?
(2) 한국 고유의 세계관과 도교 123
(3) 한국 고유의 세계관과 유교 154
고대 한국의 세계관에 물들어 있는 퇴계의 세계관
제례에 나타난 사대부의 귀신관
민중에게 유교의 제사는 종교일 뿐!
2) 한국 고유 사상의 가치관 및 실천관
A. 무교의 가치관
(1)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
(2) 궁극적인 가치
B. 실현 방법
III. 한중 궁궐 원림에 나타난 양국 예술의 자연성 비교
서론: 비교에 앞서 선행 연구 고찰하기
A. 학자별 연구 성과 검토
(1) 안드레 에카르트
(2) 야나기 무네요시
(3) 고유섭
(4) 김원룡
(5) 조요한
(6) 권영필
(7) 최준식
B. 한중의 조경(원림)에 나타난 자연성에 대한 선행 연구
본론 : 한중의 궁궐 원림에 나타난 자연성 비교 연구
1. 자연(자연신)에 순응하고 친화적인 태도
A. 이화원에 반영된 자연에 대한 태도
(1) 심리적인 척도
(a) 청의원(이화원)의 창건 취지
(b) 청의원의 산수(山水) 개조 공사
(2) 물리적인 척도
(a) 이화원 토목 공사의 규모
(b) 건축물과 자연물의 비례
B. 창덕궁에서 보이는 자연에 대한 태도
(1) 자연(자연신)에 순응하는 태도
공간과 건물 배치에 보이는 자연성
동선에서 보이는 자연성
정자에 나타난 자연성
(2) 자연(자연신) 친화적인 태도
명칭에 대해--圓과 苑의 경우
담장의 역할과 의미
정리하면서
2. 제작 과정 - 인위적인 계획 對 자아 망각적인 계획
A. 전체적인 계획 단계 243
이화원을 어떻게 만들었을까?계획 단계
창덕궁 후원은 어떻게 만들었을까?제작 과정
B. 구체적인 제작 단계
3. 완성물에서 보이는 자연성
A. 무계획성에서 파생된 탈질서성
창덕궁의 경우
이화원의 경우
B. 탈인위성
소결
결론
에필로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