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원&조경수 도감 또는 능소화 부럽구나
땅끝
2025-04-13 19:24
1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한국의 정원&조경수 도감

도서명 : 한국의 정원&조경수 도감
저자/출판사 : 제갈영 , 손현택, 이비락
쪽수 : 504쪽
출판일 : 2019-10-15
ISBN : 9788962451719
정가 : 33000
null
능소화 부럽구나

도서명 : 능소화 부럽구나
저자/출판사 : 목영만, 책문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9-09-10
ISBN : 9788931588316
정가 : 18000
들어가며
이강(尼剛) 대아(大雅)의『시경(詩經)』해(解)를 대하며
제1장 국민이 나라를 걱정하는 시대
1. 위정자들에 대한 풍자
■새 누각은 불륜의 현장 <새로 지은 누각(新臺, 신대)>
■욕심의 종말 <두 아들이 탄 배(二子乘舟, 이자승주)>
■숨길 수 없는 진실 <담장의 가시나무 풀(牆有茨, 장유자)>
■세상에 드러난 근친상간 <남산은 높고 깊은데(南山, 남산)>
■바람기는 누구도 못 말려 <해진 통발에 물고기는 드나들고(??, 폐구)>
■드러내 놓고 하는 불륜 <마차를 달려(載驅, 재구)>
■부하의 아내를 함께 취하다 <주림에서(株林, 주림)>
■일은 안 하고 놀기만 하는 위정자 <염소 가죽옷을 입고(羔?, 고구)>
■인사 실패, 소인배 등용 <시중들(候人, 후인)>
■정책 실패, 국론 분열 <하늘이여!(小旻, 소민)>
■소인배에 휘둘리는 통치자 <쉬파리(靑蠅, 청승)>
■포악한 통치자 <울창한 버드나무(?柳, 완류)>
■백성들 눈엔 나라의 운명이 보이거늘 <까치둥지(鵲巢, 작소)>
2. 고위 관료에 대한 풍자
■명품으로 치장한 고위 관료 <분수의 일터에서(汾沮?, 분저여)>
■방탕하게 노는 귀족 <언덕에서(宛丘, 완구)>
■옷차림만 신경 쓰는 귀족 <하루살이(??, 부유)>
■천지의 현상도 국운을 먼저 알아 <시월 초에(十月之交, 시월지교)>
제2장 전쟁과 노역의 고통
■가을밤 깊어 가고 풀벌레 슬피 우네 <풀벌레 소리(草蟲, 초충)>
■저 멀리서 은은히 울리는 천둥소리에 <천둥소리(殷其雷, 은기뢰)>
■여우는 느긋하게 물가에 있는데 <물가에는 여우가(有狐, 유호)>
■돌아올 기약도 없는 남편을 기다리는 마음 <그대는 노역 나가(君子于役, 군자우역)>
■전장에서 그대 그리며 <콸콸 흐르는 물(揚之水, 양지수)>
■민둥산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니 <민둥산에 올라(陟岵, 척호)>
■너새는 날개 치네, 부모님은 어이하나 <너새는 날아들고(?羽, 보우)>
■상관의 부당한 노역 명령에 대한 탄원서 <기보여!(祈父, 기보)>
■큰일에 나서지 마라 <큰 수레 몰지 마라(無將大車, 무장대거)>
■뇌물이라도 주고 이 노역 면해 볼까 <꾀꼴꾀꼴 지저귀는 꾀꼬리(綿蠻, 면만)>
■어느 누군들 괴롭지 않으랴 <어느 풀인들 시들지 않으랴(何草不黃, 하초불황)>
제3장 관리를 보는 국민의 눈
1. 탐욕에 대한 풍자
■심지도 거두지도 않은 자, 먹지도 말라 <박달나무를 찍어 내며(伐檀, 벌단)>
■세금을 피해 이민이라도 가고 싶구나 <큰 쥐(碩鼠, 석서)>
2. 관리에 대한 칭찬과 하급 관리의 애환
■올곧은 저 관리여 <염소 가죽옷(羔?, 고구)>
■새벽까지 일을 해야 하니 <작은 별은 반짝이는데(小星, 소성)>
■공과 사가 다 괴롭네 <북문을 나서며(北門, 북문)>
■나랏일에 앞뒤가 없어 <동도 트기 전에(東方未明, 동방미명)>
제4장 시대에 대한 한탄과 고단한 삶
■조정에는 간신들만 가득하고 <북풍이 불어오더니(北風, 북풍)>
■어지러운 세상, 차라리 잠에서 깨지나 말았으면 <토끼는 느긋하게 돌아다니고(兎爰, 토원)>
■이 세상이 나의 진심을 알아주지 못해 <뒤뜰의 복숭아나무(園有桃, 원유도)>
■고향으로 돌아가리 <밭 사이의 뽕밭에는(十畝之間, 십묘지간)>
■나무야, 차라리 네가 부럽구나 <진펄의 고욤나무(?有長楚, 습유장초)>
■넘실대며 흐르는 물, 바다로 모여들고 <넘실대며 흐르는 물(沔水, 면수)>
■내 나라로 다시 돌아가리 <꾀꼬리야, 꾀꼬리야(黃鳥, 황조)>
■소인들의 국정 농단 <정월을 맞아(正月, 정월)>
■어지러운 세상, 희망은 오로지 자식 교육 <저 작은 비둘기(小宛, 소완)>
■화사한 꽃 뒤에 가려진 민중의 눈물 <능소화, 황금빛으로 피었는데(苕之華, 초지화)>
제5장 고난 속에 그래도 피어나는 사랑
■절제된 사랑의 미학 <꾸륵꾸륵 물수리는(關雎, 관저)>
■마음은 다른 곳에 <나물을 캐며(卷耳, 권이)>
■그댈 보니 내 마음 숨길 수 없어 <여수의 강둑에서(汝墳, 여분)>
■씩씩한 그대가 그리워 <뒤뜰에 망우초를 심으며(伯兮, 백혜)>
■즐거워하는 그대 그리고 나 <그대 돌아오니 즐거워라(君子陽陽, 군자양양)>
■그대 오면 다 해 줄게 <조개풀을 뜯으며(采綠, 채록)>
글을 마치며 조개풀을> 그대> 뒤뜰에> 여수의> 나물을> 꾸륵꾸륵> 능소화,> 저> 정월을> 꾀꼬리야,> 넘실대며> 진펄의> 밭> 뒤뜰의> 토끼는> 북풍이> 동도> 북문을> 작은> 염소> 큰> 박달나무를> 어느> 꾀꼴꾀꼴> 큰> 기보여!(祈父,> 너새는> 민둥산에> 콸콸> 그대는> 물가에는> 천둥소리(殷其雷,> 풀벌레> 시월> 하루살이(??,> 언덕에서(宛丘,> 분수의> 까치둥지(鵲巢,> 울창한> 쉬파리(靑蠅,> 하늘이여!(小旻,> 시중들(候人,> 염소> 주림에서(株林,> 마차를> 해진> 남산은> 담장의> 두> 새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