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나더미닝 또는 중국명청우언(하)
땅끝
2025-04-13 19:24
9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3회 연결
본문
어나더미닝

도서명 : 어나더미닝
저자/출판사 : 김지성, 생각비행
쪽수 : 414쪽
출판일 : 2019-08-02
ISBN : 9791189576356
정가 : 16800
title -- issues deserving attention -- who are they?
the import of my word -- 트럼프의 정실주의 -- CNN, ProPublica
by the authority vested in me -- 기후변화 회의론자 트럼프의 반환경 에너지정책 -- Financial Times, Reuters
commitment to addressing climate change -- 전세계 공조 지구살리기에서 발을 뺀 제2위 탄소배출국 -- The New York Times
a vaguely defined blanket travel ban -- 이민자를 배척하는 이민자의 나라 --The telegraph, Fox & Friends
a hawk's hawk -- 트럼프의 곁에 있는 이들은 누구? -- Axios, Politico
inclusion rider -- 트럼프의 안보 무임승차론 -- NPR, Bloomberg
death sentence commuted to life -- 미국이 숨겨온 것 ? Guardian
quite a budget crunch -- <심슨가족> 의 예언 능력과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 ?Newsweek
the first sitting US president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와 현실 -- The Washington Post, TIME
Trump's own waffling -- 트럼프의 내적 갈등 -- AP, USA Today
high-capacity magazine ban -- 변함없이 계속될 미국 총기폭력 -- Reuters TV
the accident of birth -- 엄마 뱃속에서 시작되는 불평등 ? PBS
tears in the social fabric -- 불평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increasingly polarized world -- 왜 공화당은 트럼프를 두고 볼까? -- The Atlantic
our Balkanized society -- 더이상 자유롭지 않은 인터넷 -- The Economist
an audience with His Holiness -- 프란치스코 교황과 북한
the time for people to have their say -- 브렉시트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 Foreign Policy
a hung parliament and a coalition of chaos -- 브렉시트는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 -- BBC 심슨가족>
중국명청우언(하)

도서명 : 중국명청우언(하)
저자/출판사 : 최봉원 역주, 명문당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9-08-30
ISBN : 9791190155199
정가 : 25000
청대(淸代) 우언
《춘주당전집(春酒堂全集)》 우언
105. 우노인전(芋老人傳) - 우노인(芋老人) 이야기
《오환방언(吳鰥放言)》 우언
106. 송매불청참언(松梅不聽讒言) - 소나무와 매화나무가 참언(讒言)을 듣지 않다
《잠서(潛書)》 우언
107. 장리선인(蔣里善人) - 장리(蔣里) 마을의 선인(善人)
108. 초인환생(楚人患?) - 초(楚)나라 사람이 백내장(白內障)을 앓다
109. 탁빙지기(琢?之技) - 얼음을 조각하는 기예(技藝)
110. 오중명의(吳中名醫) - 오중(吳中)의 명의(名醫)
111. 천우묘청(天雨苗靑) - 하늘이 비를 내려 싹이 푸르다
《향조필기(香祖筆記)》 우언
112. 마석망보(磨石亡寶) - 돌을 갈아 보석의 가치를 상실하다
《잡저십종(雜著十種)》 우언
113. 견(犬) - 개
114. 조(?) - 담쟁이덩굴
115. 송(松) - 소나무
《요재지이(聊齋志異)》 우언
116. 희기자부(?其子婦) - 자기 며느리를 희롱하다
117. 노산도사(勞山道士) - 노산(勞山)의 도사(道士)
118. 용(龍) - 용(龍)
119. 흑수(黑獸) - 검은 야수(野獸)
120. 당랑포사(螳螂捕蛇) - 사마귀가 뱀을 잡다
121. 도부여랑(屠夫與狼) - 백정과 이리
122. 도우양랑(屠遇兩狼) - 백정이 두 마리의 이리를 만나다
123. 향인장슬(鄕人藏蝨) - 시골 사람이 이를 잡아 숨겨두다
124. 대서여사묘(大鼠與獅猫) - 큰 쥐와 사자고양이
125. 의견(義犬) - 충견(忠犬)
《남산집(南山集)》 우언
126. 조설(鳥說) - 새 이야기
127. 맹자설(盲者說) - 맹인(盲人) 이야기
《소득호(笑得好)》 우언
128. 시낭심와(屎?心窩) - 대변(大便)이 마음속을 가득 채우다
129. 흑치기백치기(黑齒妓白齒妓) - 흑치(黑齒)의 기녀와 백치(白齒)의 기녀
130. 양서봉(讓鼠蜂) - 쥐와 벌에게 양보하다
131. 간사연부(看寫緣簿) - 시주(施主) 기록부에 쓰는 것을 보다
132. 아자설화(啞子說話) - 벙어리가 말을 하다
133. 소마의용린기(燒?蟻用?箕) - 개미를 태우는데 이웃집 삼태기를 사용하다
134. 흘인불토골두(吃人不吐骨頭) - 사람을 잡아먹고 뼈를 뱉어내지 않다
135. 원환수지(願換手指) - 손가락을 바꿔주길 원하다
136. 인삼탕(人參湯) - 인삼탕
137. 막감호피(莫?虎皮) - 호랑이 가죽을 베지 말라
138. 장적의(藏賊衣) - 도둑의 옷을 감추다
139. 유천몰일(有天沒日) - 하늘은 있고 해가 없다
140. 박지피(剝地皮) - 토지를 빼앗다
《백학당시문집(白鶴堂詩文集)》 우언
141. 촉비이승(蜀鄙二僧) - 촉(蜀) 지방 변두리의 두 승려
《자불어(子不語)》 우언
142. 활달선생(豁達先生) - 활달선생(豁達先生)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우언
143. 귀기궁(鬼技窮) - 귀신의 기량(技倆)이 다하다
144. 피구찬닉심산(避仇竄匿深山) - 원수를 피해 깊은 산중으로 달아나 숨다
145. 노옹포호(老翁捕虎) - 노인이 호랑이를 잡다
146. 낭자야심(狼子野心) - 새끼 이리의 야심(野心)
147. 전불만(田不滿) - 전불만(田不滿)
148. 연하구석(沿河求石) - 강물을 따라 돌을 찾다
《신전소림광기(新?笑林廣記)》 우언
149. 전주견계(田主見鷄) - 밭주인이 닭을 보다
150. 원황(圓?) - 거짓말을 이리저리 둘러대다
《광담조(廣談助)》 우언
151. 착사료인(錯死了人) - 사람이 잘못 죽다
152. 사금구지(捨金求指) - 황금을 포기하고 손가락을 요구하다
《최동벽유서(崔東壁遺書)》 우언
153. 근시간편(近視看?) - 근시(近視)인 사람이 편액(扁額)을 보다
154. 염씨팽구(?氏烹狗) - 염씨(?氏)가 개를 삶아 죽이다
《해탁(諧鐸)》 우언
155. 전귀(錢鬼) - 동전(銅錢) 귀신
156. 일전주관(一錢?官) - 일전(一錢)으로 인해 관직을 잃다
157. 견비(犬婢) - 계집종으로 태어난 개
158. 관중귀수(棺中鬼手) - 관(棺) 속의 귀신 손
《이식록(耳食錄)》 우언
159. 애려부안(愛驢負鞍) - 당나귀를 아껴 주인이 안장을 메다
160. 천하무양묘(天下無良?) - 세상에 좋은 고양이가 없다
《공정암전집(?定?全集)》 우언
161. 우목참천(憂木參天) - 나무가 하늘 높이 자라는 것을 걱정하다
162. 제불과상(帝不果觴) - 천제(天帝)가 끝내 주연(酒宴)을 베풀지 못하다
163. 축구승마의조비문맹(逐狗蠅?蟻蚤?蚊?) - 개파리·개미·벼룩·빈대·모기·등에를 몰아내다
164. 병매관기(病梅館記) - 병매관기(病梅館記)
《오애자(寤崖子)》 우언
165. 가연여해구(家燕與海鷗) - 제비와 갈매기
《일소(一笑)》 우언
166. 고모(高帽) - 높은 모자
167. 연사위복(延師爲僕) - 스승을 초빙하여 하인을 삼으려 하다
《용암필기(庸?筆記)》 우언
168. 지주여사(蜘蛛與蛇) - 거미와 뱀
169. 오공여구인(蜈蚣與?蚓) - 지네와 지렁이
《소림광기(笑林廣記)》 우언
170. 나부(懶婦) - 게으른 여자
171. 할자흘어(?子吃魚) - 맹인(盲人)이 생선을 먹다
《소소록(笑笑錄)》 우언
172. 홀륜탄조(??呑棗) - 대추를 통째로 삼키다
173. 병전(餠錢) - 전병(煎餠)의 값
174. 전도역우(前途亦雨) - 앞으로 가야할 길 역시 비가 내리다
175. 치인설몽(痴人說夢) - 천치(天癡)가 꿈 이야기를 하다
《희담록(?談錄)》 우언
176. 만자신(万字信) - 만자(万字) 편지
177. 문충결배(蚊蟲結拜) - 모기가 의형제를 맺다
178. 착천화자(錯穿靴子) - 신발을 잘못 신다
《초피화(?皮話)》 우언
179. 낭시위(狼施威) - 이리가 위풍(威風)을 드러내 보이다
180. 논저(論?) - 구더기를 논(論)하다
181. 구기빈중부(狗欺貧重富) - 개가 가난한 사람을 깔보고 부유한 사람을 존중하다
[부록]
명청(明淸) 우언에 관하여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