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철학 카페 또는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어린이 철학 카페 또는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땅끝
2025-04-13 19:24 89 0

본문




어린이 철학 카페
9788966351046.jpg


도서명 : 어린이 철학 카페
저자/출판사 : 고노 데쓰야 , 쓰치야 요스케 , 무라세 도모유키 ,, 북뱅크
쪽수 : 189쪽
출판일 : 2019-08-30
ISBN : 9788966351046
정가 : 13000

시작하는 말
이 책을 손에 든 친구들에게

제1장 지금 네가 있는 세계에서
- 학교는 왜 있는 거예요?
- 친구는 많이 만들어야 해요?
-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머리가 좋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 엄마 말은 잘 듣는 게 좋아요?
- 어떻게 해야 서로 잘 통할 수 있을까요?
- 어떻게 해야 집중할 수 있어요?
- 왜 어린이는 화장하면 안 돼요?
- 여자다워지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 수상한 사람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어요?

제2장 평범하다는 게 뭘까?
- 왜 꿈을 가져야 해요?
- 절대적인 것은 있어요? 절대란 게 뭐예요?
- 평범하다는 게 뭐예요?
- 왜 모든 것에는 이름이 있을까요?
- 물고기는 무슨 생각을 해요?
- 어른과 어린이의 마음은 다를까요?
- 정직한 사람은 손해를 볼까요?
- 어떤 게 행복일까요?
- 나이를 먹으면 왜 노망이 날까요?
- 왜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자꾸 생각날까요?
- 왜 사람이 사람을 죽일까요?

제3장 이 세계 밖으로
- 사람은 왜 사나요?
- ‘무’는 어떤 공간이에요?
- 지구가 소멸할 수도 있어요?
- 귀신은 정말 있나요?
- 인간은 왜 존재할까요?
- 꿈과 현실의 경계선은 무엇인가요?
- 인간은 왜 남자와 여자로 나뉘어 있는 걸까요?
- 마음은 어디에 있어요?
- 인간은 어떻게 언어로 말할 수 있게 된 걸까요?
- 병은 왜 걸리나요?
- 사람은 죽으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추천의 말
옮기고 나서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9788976829894.jpg


도서명 :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저자/출판사 : 진태원, 그린비
쪽수 : 520쪽
출판일 : 2019-11-25
ISBN : 9788976829894
정가 : 25000

서론

1부 _ 포스트 담론 이후
1장 ·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1.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
2. 애도의 담론으로서 포스트 담론
1) 포스트 담론에 대한 두 가지 평가방식 | 2) 애도작업으로서 포스트 담론 | 3) 포스트 담론의 애매성
3. 포스트 담론의 인식론적·정치적 효과
1) 이중적인 무력화 | 2) 문제들의 분리
4. 포스트 담론의 통찰
1) 보편에서 보편들로 | 2) 주체에서 주체화(들)로 | 3) 단일한 정치에서 복수의 정치로
5. 결론을 대신하여: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2장 · 좌파 메시아주의라는 이름의 욕망: ‘포스트-포스트 담론’의 국내 수용에 대하여
1. 이론에서는 혁명, 현실에서는 민주당?
2. 어떤 유행들
3. 바깥의 정치
4. 좌파 메시아주의
5. 비판적 사유의 미국화
보론|비판적 사유의 미국화란 무엇인가?

3장 · 시간과 정의: 벤야민, 하이데거, 데리다
1. 머리말
2. “너무 하이데거적이고 메시아-마르크스주의적 또는 시원-종말론적”인: 데리다의 문제제기
3. “시간이 이음매에서 어긋나 있다”: 정의의 사건, 사건으로서의 정의
4.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적인 것: 유사초월론 대 무초월론
5. 초월론적인 것의 역사(들)
보론|새로운 역사의 천사: 멘붕의 정치학, 유령들, 메시아주의

2부 _ 민족 공동체의 탈구축
4장 · 국민이라는 노예: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들어가는 말
2. 국민국가가 왜 문제인가?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의 문제의식
3. 국민이라는 괴물? 국민국가 비판의 논점과 그 난점
1) 예속과 배제의 체계로서 국민국가 | 2) 추상적 권력관 | 3) 복종의 숙명을 짊어진 국민: 주체화 없는 예속화 | 4) 자본주의의 역사, 국민국가의 역사 부재
4. 국민국가의 내재적 비판을 위하여
1) 이데올로기에서 대중의 존재론적 우위 | 2) 권력에 대한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관점 | 3) 국민국가의 모순들이라는 문제설정

5장 ·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1. 들어가는 말
2. 네이션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1) 네이션을 ‘민족’으로 번역하는 경우 | 2) 네이션을 ‘국민’으로 번역하는 경우 | 3) 네이션을 ‘민족’으로 번역하는 것에 대한 반론: 네이션과 에스니
3. 국민이란 무엇인가?
1) 보편적 모순체로서의 국민 | 2) 국민적 인간: 일상적 국민주의와 국민적 정체성 | 4. 결론을 대신하여

6장 · 한반도 평화체제의 (탈)구축을 위하여: 을의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1. 머리말: 촛불시위는 어떤 혁명인가?
2. 을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1) 이등 국민으로서의 을 | 2)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 3) 상상의 공동체로서 국가 | 4) 국민주권을 넘어서
3. 한반도 분단체제에 관한 담론들
1) 세 가지 담론 | 2) 적극적 평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론
4. 을의 민주주의와 평화체제 담론의 (탈)구축
1) 착취 | 2) 배제 3) 리프리젠테이션
5. 결론을 대신하여

3부 _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7장 ·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1. 푸코와 민주주의?
2. 푸코와 바깥의 정치
3. 관계론적 권력론
1) 관계항들에 대한 관계의 우위 | 2) 사회계약론이 아니라 예속관계 | 3) 중심이 아니라 다양성, 차이, 종별성, 가역성 | 4) 법에 부여된 특권을 박탈하기
4. 갈등적 과정으로서의 민주주의
5. 신자유주의적 예속화 양식
6. 삶의 양식으로서 민주주의: 탈예속화와 대항품행
7. 결론을 대신하여

8장 ·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1. 머리말
2.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몇 가지 요소들
1) 노동력의 재생산과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들 | 2) 이데올로기 이론
3. 마르크스(와 알튀세르)를 심화하기, 마르크스(와 알튀세르)를 넘어서기
1) 마르크스를 인용하기, 마르크스를 인용하지 않기 | 2) 알튀세르보다 더 마르크스(주의)적인 푸코?
4. 비판적 고찰
1) 국가장치의 문제 | 2) 예속적 주체화의 문제 | 3) 잔여

9장 · (탈)현대 이후, 마르크스주의 이후: 데리다, 코젤렉, 차크라바르티, 그리고 그 너머
1. 객관적 불확실성, 주관적 불확실성
2. (탈)현대성과 마르크스주의를 상대화하기: 유사초월론
3. 현대성의 역사(들)
1) 코젤렉과 현대의 시간성 | 2)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와 현대성의 탈식민화 | 3) 한국에서의 (탈)현대성 논의
4. (탈)현대 이후, 마르크스주의 이후

10장 · 착취, 배제, 리프리젠테이션: 마르크스주의의 탈구축
1. 머리말
2. 마르크스주의의 네 가지 신화
1) 중심의 신화 | 2) 대문자 주체의 신화 | 3) 이행의 신화 | 4) 진정한 민주주의의 신화
3. 세 가지 쟁점: 착취, 배제, 리프리젠테이션
1) 착취 | 2) 배제 | 3) 리프리젠테이션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