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의 증인, 무엇을 믿는가 또는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여호와의 증인, 무엇을 믿는가 또는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땅끝
2025-04-13 19:24 20 0

본문




여호와의 증인, 무엇을 믿는가
9791157211128.jpg


도서명 : 여호와의 증인, 무엇을 믿는가
저자/출판사 : 나그네, 파랑새미디어
쪽수 : 279쪽
출판일 : 2019-07-29
ISBN : 9791157211128
정가 : 12000

서문

1부. 여호와의 증인 ? 헛된 믿음
ㆍ 아담이 죽은 이유와 영생하지 못한 이유는 다르다
ㆍ 완전하다고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것은 아니다
ㆍ ?뜻이 하늘에서 이루진 것 같이…? 무슨 뜻인가?
ㆍ ?온유한 자?와 ?악인?은 누구인가?
ㆍ 성령을 준 자는 없고 받은 자만 있다?
ㆍ 맹인이 인도하는 증인 조직
ㆍ 군인도 예수의 제자가 되었다
ㆍ 여호와의 증인 조직이 몰락하는 이유
ㆍ 가족을 왕따 시키는 조직
ㆍ 정치 제도는 왜 종교 제도를 공격하지 못하는가?
ㆍ 이 땅에서 영원히 살 수 없는 이유
ㆍ 예수는 이 땅을 통치하지 않는다
ㆍ 예수는 생명 존중, 생명 우선을 가르치셨다
ㆍ 마지막 예언자는 예수이셨다
ㆍ 1914년 계산 방법은 왜 틀렸는가?

2부 성경을 올바로 이해함
ㆍ 여호와께서 심판하시지 않는 이유
ㆍ 왜 일세기가 마지막 날이었는가?
ㆍ 계시록은 종말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ㆍ 마지막 날의 기간과 종결 기간의 차이
ㆍ 성경에서 말하는 심판(심판 날)은 무엇인가?
ㆍ 144,000명은 상징적인 수이다
ㆍ 다니엘 2장의 형상은 세계 강국이 아니다
ㆍ 오늘날에는 기름부음 받은 자가 없다
ㆍ 법(율법)이 아니라 사랑이다
ㆍ 왜 이웃 사랑이 최고의 법인가?
ㆍ 고초받는 문자적인 지옥불은 없다
ㆍ 죽음 시리즈 - 1부 ?정녕 죽으리라?
ㆍ 죽음 시리즈 - 2부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
ㆍ 죽음 시리즈 3부 - ?부활이 있으리라?
ㆍ 기원 70년, 성경 예언이 모두 성취되었다
ㆍ 삼위일체는 성경의 가르침이 아니다
ㆍ 아담의 불순종 - 하나님의 기획인가?
ㆍ 성경 시간표와 세상 역사
ㆍ 미국 대통령의 이름은 왜 성경에 나오지 않는가?
ㆍ 인간을 의롭다고 선언하기 위해서 죽으심
ㆍ 여호와께서 지상사에 간섭하지 않는 이유
ㆍ 성경에 언급된 부활에 대해서
ㆍ 영(생명력)과 혼(정신, 생각)과 육체(몸)는 어떻게 다른가?
ㆍ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신 이유
ㆍ 성경의 예언으로부터 해방되십시오
ㆍ 계시록은 갈바 황제(기원 68년) 때 기록되었다
ㆍ 오늘날, 사탄이 활동하지 않는 이유
ㆍ 성경은 기독교 책이 아니다
ㆍ 다니엘 2:44절의 ?왕국?과 7:13,14절에 나오는 ?왕국?는 다른 ?왕국?이다

3부 종교는 올무이며 속임수이다
ㆍ 구원(영의 부활)은 선물이다
ㆍ 종교로부터 해방되는 방법
ㆍ 율법(법)과 교리는 無用之物이다
ㆍ 종교 폭력으로부터 해방되자
ㆍ 예수는 종교 지도자를 왜 비난하셨는가?
ㆍ 신세계역 - 성경 내용을 삭제하다(막16:9~20절)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9788974839970.jpg


도서명 :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저자/출판사 : 박수연 , 오창은 , 김응교 , 김태선 , 서영인 ,, 서해문집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9-09-30
ISBN : 9788974839970
정가 : 16000

머리말

I 시인의 길을 따라 걷다

쓰고 시린 골목들 _서효인
그가 거기에 있다 / 충무로, 오래된 모더니티 / 종로, 마리서사 / 종로, 그림자 / 그 평범함을 생각하며

이토록 긴- 장례식 _손미
두 번째 장례 / 문장을 파는 일 / 너 거기서 자유롭냐?

자책하며, 쓴다 _정용준
쓴다 / 그렇게 쓰면 안 돼 / 이렇게 써도 될까? / 그래도 쓴다

II 시인의 공간에 머물다

시인의 탄생, 제국의 진주 - 종로, ‘거대한 뿌리’의 거리 _박수연
극적인 서울, 시인의 탄생 / 종루 거리에서 밀려나는 사람들 / 종6로가 116번지, 김수영의 정신적 고향 /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며

도쿄, 스무 살의 김수영 - 연극의 꿈을 품다 _서영인
미지의 공간, 4개의 나침반 / 첫 번째 하숙집, 스미요시초5 4번지 / 두 번째 하숙집, 다카다노바바 350번지 / 조후쿠 예비학교와 여인예술사 / 김수영의 도쿄 시대, 여전히 미지의 영역

연극인 김수영의 만주 시절 - 해방 공간과 모던 청년의 좌충우돌 _박수연
다시 종로에서 / 환상과 구속의 땅, 만주 / 길림극예술연구회에 합류하다 / 협화의 시절, ‘새로운 해협을 찾은 일이 어리석었다’ / ‘수정될 과오’

시인 김수영, 신시론 동인들의 향연 - 모더니즘 시를 쓰던 충무로 유명옥 시절 _김태선
연극 하다가 시로 전향 / 신시론 동인의 형성과 김수영의 콤플렉스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해방 후 모더니스트들의 사랑방, ‘마리서사’ - 아웃사이더 김수영의 번민과 각성 _오창은
김광균과 박인환 / 박인환이 만든 희망의 공간 / 진정한 아웃사이더 시인 / 등단작 <묘정의 노래> 와 김수영의 각성 / 종로의 서점 이야기

전쟁의 상흔, 포로 김수영 - 부산 거제리 포로수용소 _김응교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 거제리 포로수용소 / 포로수용소에서 독서 체험 / 또 다른 감옥의 포로

시인의 방, 시인의 생활 - 마포 종점, 구수동의 집 _오창은
마포 버스 종점에 깃들다 / 노동으로 풍경의 일부가 되다 / 닭을 키우는 시인 / 거대한 뿌리, 쓰러지다 / 상주사심, 날마다 죽음을 생각하라

풀의 정신, 시를 품고 시를 낳다 - 도봉산 김수영 시비 앞에서, 유작 시 <풀> 을 읊다 _김응교
김수영 시비 가는 길 / ‘풀’의 시인, 자유의 시인, 긍정의 시인 / 아방가르드의 전사, 우리에게는 김수영이 있다

김수영 연보
주 풀> 묘정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