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하지 않고 독립하기로 했다 또는 오래된 책들의 생각
로즈
2025-04-15 09:12
2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취직하지 않고 독립하기로 했다

도서명 : 취직하지 않고 독립하기로 했다
저자/출판사 : 젬 바턴, 시공사
쪽수 : 188쪽
출판일 : 2017-03-14
ISBN : 9788952778055
정가 : 14000
들어가며
◇ 프로파간다
-세상에 당신을 내놓을 것
-일찍, 그리고 자주 공개할 것
-Advice/ 자기 홍보가 어렵게만 느껴질 때
-Kick/ 탄탄한 포트폴리오를 대체하는 홍보 수단은 없다_ 스튜디오 씨오엠
◇ 거리 선전
-직접 고객을 찾아낼 것
-게릴라처럼 임할 것
-게임의 규칙을 바꿀 것
-Advice/ 디자이너는 발명가가 아니다
◇ 전문화 vs 다양화
-실험하고 또 실험할 것
-우상에게 배울 것
-반복하고 반복하고 발전할 것, 또 반복할 것
-비즈니스는 바빠야 좋은 것
-대세를 무시할 것
-모든 것을 의심할 것
-Advice/ T자형 디자이너가 되어라
-Kick/ 곧바로 잡지에 실릴 수 있을 만한 작품 사진을 준비하라_ 서정화
◇ 인생을 바꾸는 결정
-직감을 믿을 것
-가장 어려운 일에 뛰어들 것
-Advice/ 최상의 시나리오를 상상하라
-Kick/ 무조건, 저돌적으로 노크하라_ 서민범
◇ 혼자서 vs 여럿이
-나만 할 수 있는 것
-걷고 난 다음에 뛸 것
-좋아하는 것을 파고들 것
-Advice/ 숨어 있지 마라
-팀의 힘은 개개인에게 있음을 인지할 것
-하나하나 더듬어 나갈 것
-가장 나다운 나가 될 것
-밀고 당기고 찢고 붙일 것
-Advice/ 공동 작업의 진정한 가치에 관하여
-Kick/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자신만의 아이템에 집중하라_ 제로퍼제로
◇ 일하는 기쁨
-기다림을 미덕으로 두지 말 것
-나를 다시 발명할 것
-나에게 이로운 변화를 찾을 것
-세계를 당신의 학교로 삼을 것
-Advice/ 내일이 기다려지는 삶
◇ 대학을 가장 잘 다니는 방법
취업 대신 독립을 택한 세계 각국의 젊은 디자이너! 그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사진 출처
감사의 말
오래된 책들의 생각

도서명 : 오래된 책들의 생각
저자/출판사 : 신동기, 아틀라스북스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7-04-10
ISBN : 9791188194001
정가 : 15000
들어가는 말
1장 리더의 본질_ 리더란 무엇인가
_ 소통은 쌍방향으로 통하는 것
위징과 이이, 군주의 소통을 논하다
_ 리더의 무능이 낳은 최측근의 농단
_ 쌍방향 의사소통은 제도이자 상식의 영역
2장 인간관계_ 쉽게 다가오는 사람은 그 떠남도 쉽다
_ 전투적 인간관계 형성과 인간에 대한 환멸이라는 순환행위
_ 쉽게 다가오는 인연에 대한 현자들의 경고
번지르르한 낯빛과 말재주로 진실을 농락하는 사람들
_ 사람을 쉽게 믿는 것은 경박스러움의 표시
_ 억지로 꾸민 거짓은 오래 지속될 수 없다
자기통제력의 소모 - 자기고갈이론 / 거짓의 근육량을 확장시키는 사람들
_ 꾸밈·과장·거짓이 체화된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
_ 사람의 생각과 태도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
3장 커뮤니케이션_ 커뮤니케이션은 조직의 혈관이다
_ 부하 입장에서 상사와의 갈등을 줄이는 지혜
보고나 지시를 받기 전에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준비 / 조직의 의사결정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은 상사에게 있다
_ 상사 입장에서 커뮤니케이션 갈등을 줄이는 지혜
자신의 생각이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하는 자세 / 부하의 말과 행동의 속뜻을 들여다보는 지혜
_ ‘인(仁)’과 ‘지(智)’를 기준으로 삼았을 때 생기는 변화
4장 삶과 죽음_ 묘비명(墓碑銘)은 살아 있다
_ 석가모니의 마지막 가르침
_ 스스로 무너진다 했으나 결코 무너지지 않은 공자의 정신
_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맞는 태도
_ 담백했던 삶의 자취가 고스란히 담긴 이황의 묘비명
_ 인간의 도덕적 선택을 강조한 칸트의 묘비명
_ 현실에서의 자유를 갈구한 니코스 카잔차키스
_ 세계사를 뒤흔들어 놓은 마르크스의 묘비명
자본주의의 끊임없는 수선을 불러온 마르크스의 선언문 / 능동적, 적극적, 주도적인 철학의 역할을 강조
_ 결코 가벼울 수 없는 묘비명의 무게와 울림
5장 심리학의 유용성_ 내 삶을 결정하는 심리학은 무엇인가
_ 자극을 이용한 행동의 통제
_ 서양 철학자들에 의한 인간의 마음 탐구
_ 형이상학과 형이하학을 함께 다룬 동양의 심리학
공자의 성(性)의 개념에서 발전한 맹자의 성선설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논쟁 / 인간의 마음을 대상으로 한 심리학적 접근 / 양명학의 심즉리(心卽理)사상 / 조선에서 벌어진 심성론(心性論) 논쟁 / 이황의 주리론(主理論) 대 이이의 주기론(主氣論) / 인간의 속성에 대한 인식 차이
_ 의식 심리학의 정수, 불교의 유식사상(唯識思想)
8식(八識) -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여덟 가지 영역
_ 인간을 중심으로 한 현대 심리학의 분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성리학, 양명학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의 심리학 / 행동주의 심리학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 심리학의 영역 / 인간의 주체적 의지를 중요시한 인본주의 심리학
_ 심리학 선택이 내 삶을 결정한다
Book Review
6장 행복_ 지금 우리에게는 아타락시아(Ataraxia)가 필요하다
_ 성공 행복론은 가장 보편적인 행복론
_ 무소유 행복론은 욕심을 줄이는 행복론
_ 도덕 행복론은 윤리적 삶을 지향하는 행복론
_ 믿음 행복론에서 요구하는 두 가지 종교적 삶
_ 이성 행복론의 출발은 나와 나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이해
_ 이성 행복론은 행복의 폭을 넓혀주는 행복론
_ 에피쿠로스가 주장한 아타락시아의 의미
물질적, 육체적 쾌락에는 반드시 고통이 따른다
_ 육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의 안배를 중요시한 양주(楊朱)
쾌락은 이기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_ 죽음과 신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난 쾌락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인식 / 신(神)에 대한 인식
_ 정신적 쾌락을 누리기 위한 조건
부와 명예는 쾌락을 방해하는 요건 / 쾌락과 행복의 매개체, 철학·덕·교양
_ 정신적 쾌락의 필수 조건은 철학을 가진 벗
_ 물질이 풍요로워질수록 이성 행복론이 중요해지는 이유
7장 기회비용_ 부자(富者)와 빈자(貧者)가 바치는 정성(精誠)의 가치가 다른 까닭
_ 불교 경전과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정성의 가치
_ 두 가지 공정(公正)의 대립
물질과 정성이라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가치의 크기 / 부(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총 부담비용의 크기
_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의 합
_ 오래된 책은 새로운 개념과 이론의 수원지(水源地)
8장 형식지와 암묵지_ 머리로 배우는 지식과 경험으로 깨닫는 지식
_ 데카르트가 주장한 두 가지 지식의 개념
_ 암묵지는 명시지의 한계를 채우는 지식
_ 깨달음의 이치를 두고 벌인 명시지 대 암묵지 논쟁
암묵지로만 가능한 선종(禪宗)의 깨달음 / 명시지적 입장을 취한 교종(敎宗)의 깨달음
_ 지식이 아닌 지혜를 *다 보면 우리의 옛것이 보인다
Book Review
9장 동양 고전의 배경_ 이백과 두보는 살아 있다
_ 정신적 자유를 *은 이백과 시적 완벽을 추구한 두보
_ 가풍에 따라 달라진 시의 성격
_ 자연과 역사는 문학적 차이를 만드는 가장 큰 배경
토양과 기후에 의해 달라지는 사람의 성향 / 남방의 도가(道家)와 북방의 유가(儒家) / 남방문학과 북방문학의 줄기
_ 기후와 풍토가 만들어 낸 문화와 역사의 변곡점
남방문화권은 중국 혁명가들의 고향 / 정신적 자유에서 시작된 남방의 낙관주의
10장 문명_ 문명은 도둑질로부터 시작되었다
_ 사람 도둑질로 시작된 일본의 도자기문화
_ 약탈해 온 유물들로 채워진 대영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
_ 로마문명의 출발은 사비니족 여인의 강탈
_ 인류사 최대의 통 큰 도둑질로 시작된 미국의 역사
_ 그리스로마신화에서의 문명 도둑질
프로메테우스의 불이 가져다 준 어두운 문명
_ 몰래 따 먹은 선악과에서 시작된 인류의 문화
11장 황제의 역사_ 황제, 위대한 절대자의 연원을 찾아서
_ 황제라는 호칭의 역사적 의미
_ 이름 그대로의 황제 카이사르가 바꿔 놓은 유럽의 역사
유럽의 역사는 카이사르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 내 이름은 왕이 아니라 카이사르요 / 황제의 자리를 뛰어넘어 신의 반열에 오른 절대자
_ 알렉산더, 황제의 칭호를 얻지 못한 제국의 설립자
_ 황제의 역사가 곧 유럽의 역사
오현제(五賢帝) 이후 흔들린 로마 황제의 지위 / 제국의 분열로 사라진 서로마 황제의 역사
_ 교황의 힘을 빌려 되찾아온 서로마 황제의 관(冠)
동·서로마 기독교 세력의 분열 / 교황의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 서로마 황제의 부활
_ 황제의 역사를 이어받은 신성로마제국의 흥망성쇠
교회와 황제 간의 지속적인 영향력 다툼 / 러시아, 동로마 황제의 계승을 선포하다 / 황제의 지위와 권력을 둘러싼 갈등과 제국의 붕괴
_ 유럽의 새로운 황제 나폴레옹의 영광과 몰락
_ 황제의 역사는 곧 그 시대 주류의 역사
Book Review
12장 법의 뿌리_ 모든 법은 자연법으로 회귀한다
_ 헌법이 국가와 국민에게 의미하는 것
_ 자연법사상은 모든 기본권 논리의 중심
아리스토텔레스, 자연법사상의 단초를 제시하다
_ 스토아학파에 의해 등장한, 시대를 초월한 진리법칙
_ 기독교적 자연법으로 변신한 중세의 자연법사상
_ 로크와 홉스의 자연법 논쟁
생명보호와 자유에 대한 홉스의 인식 / 원시자연 상태에 대한 로크의 인식 / 국가와 개인의 역학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 / 로크와 같은 입장을 취한 루소의 사회계약론 /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강조한 몽테스키외의 자연법사상
_ 자연법사상은 모든 법을 규정하는 원칙이자 이데아
13장 실용_ 시대를 대표하는 학문은 모두 실용을 지향한다
_ 실용적인 학문(實學)이 갖추어야 할 두 가지 영역
시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물질과 정신의 무게중심 / 실용성 판단의 주체는 그 시대의 주도세력
_ 공자에게 실학은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따지는 것
_ 분서갱유는 사상통일을 이루려 한 진시황제의 실학적 행위
_ 훈고학은 산실된 경전 해석을 위한 실용적 연구방식
_ 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실용적 학문 변화의 흐름
의리사상을 연구하는 두 가지 관점, 성리학과 육왕학(양명학) / 우리나라에서 성리학 전에 사장학이 실학이 된 이유
_ 고증학은 현실을 바탕으로 사실을 밝히려 한 연구방식
다양한 연구방식의 시도와 태생적 한계
_ 고증학과 서양 학문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조선의 실학
_ 실학은 그 시대의 현실적 유용성에 따라 바뀌는 것
_ 맹목적인 인문학 숭배에 의해 가려지는 것
_ 논어·맹자 공부의 궁극적 목적은 시대적 실용성
현대인의 정신적 결핍을 해결하는 고전의 실학적 쓰임새 / 경영철학으로서의 동양 인문학의 역할
Book Review
14장 이론의 역류(逆流)_ 생산요소는 왜 노동·자본이 아닌, 토지·노동·자본일까?
_ A. 스미스의 생산의 3요소에 대한 입장
_ 차지농업가에 대한 K. 마르크스와 A. 스미스의 생각
두 사람의 주장으로 증명되는 생산요소 이론의 비현실성
_ 제조업시대에 그대로 계승된 오래된 이론
초기 제조업에는 적절했던 중농주의적 관점
_ 산업자본가시대에 적합한 K. 마르크스의 2요소 관점
_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사회과학의 이론과 지식
15장 자유주의와 보호주의_ 곡물법 논쟁을 알면 FTA가 보인다
_ FTA에서 상품별로 관세조건이 달라지는 이유
_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 분업의 유형
_ 영국에서 곡물법을 제정하게 된 역사적 배경
대륙봉쇄령 해제로 인한 곡가의 폭락 / 곡물법 제정의 의도는 지주의 이익 보호
_ 곡물법을 둘러싼 맬서스와 리카도의 논쟁
_ 산업자본가를 옹호하는 리카도의 세 가지 주장
노동가치론(Labour value theory) / 비교우위론(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 / 차액지대론(Differential rent theory)
_ 국가 간 무역자유화의 근거는 리카도의 비교우위론
리카도가 자유무역을 주장한 이유 / FTA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_ 공업후진국들의 환영을 받은 F. 리스트의 유치산업보호론
_ 미국의 남북 전쟁을 불러온 농업과 공업 간의 입장 차이
_ 국가가 자유주의 또는 보호주의를 선택하는 기준
16장 깨달음_ 반야심경 260자에 담긴 삶의 깨달음
_ 반야심경의 핵심 가르침은 ‘공(空)사상’
_ 반야심경 공부를 위해 알아야 할 두 가지 지식
반야심경은 원시불교의 핵심 사상에 대한 부정 / 의역과 음역의 선택적 사용
_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제목에 담긴 의미
_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의 의미
_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역부여시’의 의미
_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의 의미
_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의 의미
_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의 의미
_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의 의미
_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의 의미
_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의미
_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의 의미
_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의 의미
_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의 의미
_ 반야심경, 마음공부를 위한 가르침의 정수
Book Review
17장 치명적 유혹_ 그들은 왜 골프라는 팜므파탈에 희생되었나
_ 골프와 사냥의 용어적 친근성
_ 골프와 사냥이 품고 있는 치명적 중독성
_ 골프는 비즈니스, 사냥은 역사의 변곡이 이루어지는 무대
영국 왕조의 역사를 바꾼 사냥터에서의 비극 / 사냥 때문에 무너진 트로이 전쟁 영웅의 신화
_ 소수를 위해 넓은 땅을 쓰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인식
_ 정직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 자신과의 승부
_ 치명적 유혹을 *는 인간의 태생적 DNA
18장 신화_ 우리는 지금 신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_ 우리가 신화를 접할 때 기시감이 드는 이유
_ 주제에 따라 나누어지는 신화의 유형
창조신화 / 건국신화 / 영웅신화 / 문명신화
_ 창조신화의 핵심은 천지창조
성경에서의 천지창조 / 그리스로마신화에서의 천지창조 / 이집트신화에서의 천지창조 / 이슬람교 이전 조로아스터교의 창조신화 / 북유럽 게르만신화에서의 천지창조 / 중국신화에서의 천지창조
_ 암수 창조원칙에 대한 신화들의 고민
신화들이 암수 창조원칙을 풀어낸 방식
_ 자연과 인간 창조에 대한 신화들의 공통성
_ 우리나라의 건국신화
단군신화 / 고구려의 건국신화 / 신라의 건국신화 / 금관가야의 건국신화
_ 중국의 건국신화
삼황오제 이후 중국 왕조의 건국신화
_ 일본의 건국신화
_ 로마의 건국신화
_ 건국 주도세력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건국신화의 여러 장치들
건국자를 하늘의 신과 연결하는 방식 / 건국자의 신비로운 태생 / 태어난 건국자를 보호하는 동물들 / 건국자의 죽음에 두는 신성화 장치 / 건국시기의 소급을 이용한 정통성 확보
_ 영웅신화는 고난 극복의 이야기
가장 오래된 영웅신화, 길가메시 서사시 / 그리스로마신화에 나오는 다양한 영웅신화들 / 우리나라의 영웅신화 / 모세와 여호수아 이야기
_ 문명창조신화는 인간만의 속성을 부여하는 장치
_ 최초의 시원(始原), 신화를 향해 치닫는 현대인
나가는 말
인용 및 참고자료
Book Review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