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행정실무 또는 NEW+ 경찰학개론. 1(201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그린행정실무 또는 NEW+ 경찰학개론. 1(2012)

땅끝
2025-05-09 07:09 1 0

본문




그린행정실무
9788926836323.jpg


도서명 : 그린행정실무
저자/출판사 : 이순영 , 신범석, 이담북스
쪽수 : 364쪽
출판일 : 2012-08-20
ISBN : 9788926836323
정가 : 25000

Part 1 녹색사고로의 진화
1. 녹색사고
가. 우주와 섭리
나. 인간과 자연
2. 지속가능한 성장
가. 회색성장 사회
나. 지속가능한 성장 사회
3. 녹색 삶터와 녹색 생활실천
가. 녹색 삶터
나. 녹색 생활실천

Part 2 그린행정 추진의 배경과 필요성
1. ‘Green’의 삶과 사고로의 패러다임 변화
2. 기후변화의 심각성
3. 기상이변 대응을 위한 국제체제(Regime) 형성과 우리의 위상
4. 우리 정부의 노력
5. 지자체,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

Part 3 저탄소 그린행정 추진, 정부의 노력과 지자체의 역할
1. 저탄소 그린행정 추진배경
가. 추진배경
나. 정부의 국가전략
다. 부문별 계획 및 일반 계획과의 관계
2. 저탄소 그린행정, 국가의 기본전략 및 5개년 계획
3. 정부 각 부처 저탄소 그린행정 관련 정책 추진사례
가. 녹색성장위원회의 생생도시 추진사례
나. 국토해양부의 U-City 추진사례
다. 행정안전부의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안전도시 추진사례
라. 환경부의 저탄소 그린시티 추진사례
마. 지식경제부의 온실가스감축정책 추진사례
사. 문화체육관광부의 녹색문화전략 추진사례
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전략 및 5개년 계획
4. 저탄소 그린행정 추진, 지자체의 역할

Part 4 저탄소 그린시티 우수사례 분석
1. 우수사례 분석의 기준: 저탄소 그린시티의 범주
가. 저탄소 그린시티에 대한 개념
나. 저탄소 그린시티 우수 선진 사례
2. 해외사례 분석
가. 독일의 프라이부르크(Freiburg)
나.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Amsterdam)
다. 스웨덴의 하마비 허스타드(Hammarby Sjostad)
라. 스웨덴의 벡스웨
마. 영국의 베드제드(BedZED)
바. 캐나다의 선창가 그린 프로젝트(Dockside Green Project)
사. UAE 마스다르 시티(Masdar City)
아. 브라질의 쿠리치바
자. 중국의 충밍 섬
차. 일본의 쓰쿠바
카. 해외사례 분석 시사점
3. 국내 그린시티 추진사례 분석
가. 강원도 강릉시 - 저탄소 그린시티 국가시범사업
나. 서울시 성동구 - 저탄소 그린시티 마스터플랜
다. 경남 창원시 - 자전거도시 조성
라. 경기도 부천시 - 고강 에코시티
마. 서울시 강북구 - 녹색환경 조성
바. 국내사례 분석 시사점

Part 5 지자체 현황 조사 및 주민의견 수렴
1. 지자체의 현황 조사
가. 지자체의 탄생과 역사
나. 지자체의 위치와 면적
다. 인구
라. 기상현황
마. 토지현황
바. 공원녹지면적 및 현황
사. 자원재활용현황
아. 물관리현황
자. 교통현황
차. 자전거 도로 이용현황
카. 전력에너지 소비현황
타. 도시가스 소비현황
파. 석유류 및 LPG 판매현황
하. 폐기물현황
거. CO2 배출현황
2. 추진 중인 주요 대형사업 현황 및 그린시티 고려사항
가. 계획·추진 중인 주요 대형사업 환경성 평가
나. 계획·추진 중인 주요 대형사업 그린시티 고려사항
3. 저탄소 그린시티 구축 주민의견 조사 및 결과 예시
가. 주민의견 조사 개요
나. 주민의견조사 결과(P지자체 주민의견 조사 결과 예시)

Part 6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잠재량 분석
1. 온실가스 인벤토리 이해
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의 및 적용기준
나. 인벤토리 분류체계
다.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산정 과정
라. 지자체 단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2.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사례 중심)
가. 광역단위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사례: A지자체 산출사례
다. 202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BAU)
3.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추정
가. 개요
나. 저탄소 녹색도시구축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추정: A지자체의 예

Part 7 저탄소 그린시티 구축 방향 및 전략
1. 저탄소 그린시티 개념구조
가. 저탄소 그린시티의 개념적 구조
나. 저탄소 그린시티의 핵심요소
2. 저탄소 그린시티의 비전
가. 저탄소 그린시티의 Vision Concept
나. 저탄소 그린시티 구축 핵심사업과 기추진 사업과의 연계
3. 저탄소 그린시티 구축 핵심사업전략
가. 저탄소 녹색에너지 활성화
나. 저탄소 녹색교통시스템 구축전략
다. 물관리 에너지 대책
라. 폐기물 발생 저감
마. U-City 및 그린 IT 구축
바. 녹지공간 확충
사. 지속적 시민참여를 통한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 강화

Part 8 저탄소 그린시티 구축 추진 프로세스
1. 핵심전략 추진 로드맵
가. 단기과제
나. 중기과제
다. 장기과제
2. 핵심전략별 재원조달 방안
가. 전체 재원조달 방안 강구
나. 단기과제 재원조달 방안 강구
다. 중기과제 재원조달 방안 강구
라. 장기과제 재원조달 방안 강구
3. 추진체계 및 조직
가. 지자체의 전담조직 구성
4. 저탄소 그린시티 추진점검(평가지표 활용)
5. 저탄소 그린시티 지속적 추진 제도화: 조례 제정

Part 9 그린행정, 지속가능 발전방안
1. 그린행정 추진은 특정 정부만의 정책이 아니라 지구촌 이슈이다
2. ‘그린행정’은 지금까지의 ‘회색행정’에 대한 진정한 대안이다
3. 그린행정의 지속적 추진, 시민의 참여와 지속가능한 실천력이 관건이다

부록: 저탄소 그린시티 관련 조례 예시




NEW+ 경찰학개론. 1(2012)
9788926832998.jpg


도서명 : NEW+ 경찰학개론. 1(2012)
저자/출판사 : 황규욱, 한국학술정보
쪽수 : 530쪽
출판일 : 2012-04-13
ISBN : 9788926832998
정가 : 38000

책을 펴내며
일러두기

01 통일 경찰론
제1절 서 설
제2절 북한체제와 통치이념
제3절 권력기관
제4절 북한의 대남전략ㆍ전술
제5절 북한의 경찰
제6절 통일의 기본이해와 남북한 통일방안

02 경찰과 경찰학
제1절 경찰의 개념
제2절 경찰의 기본적 임무 및 수단
제3절 경찰의 기본이념
제4절 경찰의 윤리적ㆍ사상적 바탕

03 한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1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제도
제2절 갑오개혁부터 한일병탄(韓日倂呑) 이전의 경찰
제3절 일제강점기의 경찰
제4절 미군정시대 경찰
제5절 정부수립 이후 1991년 이전의 경찰
제6절 「경찰법」 제정 이후의 경찰

04 외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1절 서 설
제2절 영국경찰
제3절 미국경찰
제4절 독일경찰
제5절 프랑스경찰
제6절 일본경찰
제7절 중국경찰

05 경찰과 그 법적 바탕
제1절 법과 경찰행정
제2절 경찰조직법
제3절 경찰공무원법
제4절 경찰작용법

06 경찰 관리
제1절 일반이론
제2절 경찰조직 관리
제3절 경찰인사 관리
제4절 경찰예산 관리
제5절 장비와 물품 관리
제6절 보안 관리

07 경찰 홍보
제1절 서 설
제2절 경찰 홍보의 수단과 기능

08 경찰에 대한 통제
제1절 서 설
제2절 경찰통제의 기본요소
제3절 경찰통제의 유형

09 우리나라 경찰의 개혁과 발전방향
제1절 행정개혁
제2절 경찰제도 개혁의 접근방법
제3절 경찰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