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와 철학 또는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
로즈
2025-04-15 09:12
1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다문화 사회와 철학

도서명 : 다문화 사회와 철학
저자/출판사 : 이정은 , 이병욱 , 정창호, 자유문고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7-03-17
ISBN : 9788970301075
정가 : 13000
머리말_ 5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_ 21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_ 23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_ 25
1) 문화 상대성과 문화 절대성_ 25
2) 관용_ 29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_ 33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_ 37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헤겔과 낭만주의_ 41
7. 동양은 어떠한가?-동아시아의 변화_ 44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_ 48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_ 57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_ 59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_ 65
1) 타자를 문화적 차원에서 의식적으로 고려하고 이해하라는 요구_ 67
2)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지각방식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방식_ 67
3) 협동적인 자기이해 및 동반자(파트너) 관계 형성의 방식_ 68
4) 문화적인 교차상황의 구성과정 및 그것의 표현_ 69
5) 능동적 관용의 창조적 분위기-제3의 세계를 형성하는 과정_ 72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_ 74
1) 철학의 딜레마와 서양철학의 자기반성_ 74
2) 모든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다자간 대화(Polylog)’의 이념: F. Wimmer의 논의를 중심으로_ 78
(1) 서양철학의 편견_ 78
(2) 문화적 중심주의의 제 형태_ 82
(3) ‘Polylog’ 또는 다자간 대화_ 86
3) 상호문화적 해석학: R. A. Mall의 논의를 중심으로_ 87
(1) 문화와 철학_ 89
(2) 영구 철학_ 90
(3)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겹침’의 영역 _ 91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_ 94
1) 용어의 문제_ 94
2)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의 역사적 배경: 이주 노동자의 유입_ 98
3)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전개과정_ 100
(1) 최초의 자연발생적인 조치로서의 ‘외국인교육학’_ 100
(2) ‘외국인교육학’에 대한 비판_ 102
(3) 비판의 귀결: 독일 상호문화교육학의 등장과 발전과정_ 105
4) 외국인교육학과 상호문화교육학의 비교_ 109
(1)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 ‘결핍’ 대 ‘차이’_ 110
(2) 교육대상의 설정: ‘외국인 학생’ 대 ‘모든 학생’ _ 112
(3) 수업 및 교육의 실행방식: ‘부가적 보완교육’ vs ‘일반교육’_ 114
(4) 교육의 목표: ‘동화/배제’ vs ‘다원주의적 통합’_ 115
(5) 사회모델: 단일한 국민국가 vs 다문화적 이주국가_ 117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_ 118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_ 131
1) 삶의 목적-행복_ 131
2) 21세기 한국인의 행복-헤겔의 동양관을 조망하여_ 133
(1) 늘어나는 외국인_ 133
(2) 서양의 동양관, 그 일반적 모델-오리엔탈리즘_ 135
(3) 서양의 동양관의 반전-헤겔?_ 136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_ 137
1) 철학 교사를 꿈꾸는 청년 헤겔_ 137
(1) 종교적 민중 교사를 꿈꾸는 신학도 헤겔_ 139
(2) 민중 교사에서 철학 교사로 궤도 전환_ 140
(3) 종교 문제와 정치 문제의 연관_ 142
2) 유럽의 동양 이해를 반영하는 후기 헤겔_ 143
(1) 동양 연구의 시작-13세기 오리엔탈리즘?_ 144
(2) 분류와 체계화-18세기_ 146
(3) 아시아에 대한 야릇한 이중 감정_ 149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_ 152
1) 청년기의 자기의식에서 노년기의 정신으로_ 152
(1) 헤겔의 도발적 착상-신 인식의 문제_ 153
(2) 신 인식을 위한 청년기 철학 개념-자기의식_ 154
(3) 자기의식에서 절대 정신으로_ 156
2) 정신의 자기 전개-차이와 동일성의 관계_ 157
(1) 전체와 부분_ 158
(2) 본질과 현상_ 159
(3) 특수와 보편_ 160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_ 163
1) 역사철학의 원리-정체와 문화_ 164
(1) 역사철학의 대상-국가와 법_ 165
(2) 법 제도와 문화의 관계_ 167
(3) 세계사의 발전 단계-세계사적 국가_ 169
2) 헤겔의 동양관-동양 문화에 대한 헤겔의 평가_ 173
(1) 세계사의 시작-중국인가?_ 173
(2) 중국 문헌에 대한 이해-공자의 철학_ 176
(3) 동양 사상에 대한 총론_ 178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_ 179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_ 187
1)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정책_ 187
2) 이방인에 대한 해석학과 다문화교육_ 190
2. 불교사상의 전개_ 195
1) 초기불교의 사상_ 195
(1) 사성제_ 196
(2) 3법인三法印 또는 4법인四法印_ 197
(3) 연기緣起_ 201
2) 부파불교의 전개: 상좌부와 대중부의 분열_ 202
3) 대승불교의 등장과 밀교의 출현_ 205
4) 중국불교의 특징_ 212
5) 천태종의 사상_ 214
(1) 교판론_ 216
(2) 일념삼천설과 일심삼관_ 218
6) 화엄종의 사상_ 220
(1) 교판론_ 222
(2) 십현연기十玄緣起_ 224
7) 선종의 사상_ 227
(1) 선종의 이해_ 227
(2) 선종의 형성: 홍주종과 5가7종_ 228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_ 233
1) 상호의존성에 대한 자각_ 233
2) 동일성과 정체성에 대한 부정_ 236
(1) 3법인 또는 4법인_ 237
(2) 『금강경』의 공空사상_ 238
(3) 중관학파의 4구四句 부정_ 240
3)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평등하다_ 243
(1) 초기불교에서 4성계급의 평등을 주장함_ 244
(2) 『대방등여래장경』의 여래장 사상과 『열반경』의 불성사상_ 248
(3) 천태종의 일념삼천설_ 250
4. 결론_ 253
찾아보기_ 257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

도서명 :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
저자/출판사 : 이금이, 사계절
쪽수 : 612쪽
출판일 : 2017-07-03
ISBN : 9791160940602
정가 : 18000
프롤로그 -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1부 떠나는 사람들(1920년~1939년)
가회동 저택 / 생일 선물 / 여덟 번째 아이 / 선망과 경멸 / 그들의 꿈 / 떠나는 사람들 1 / 떠나는 사람들 2 /
봄에서 여름까지 / 가을에서 겨울까지 / 테라오 히카리 / 자작의 딸 / 출렁이는 아침
2부 저물지 않는 시간(1939년~1954년)
깰 수 없는 꿈 / 샌프란시스코 / 삶으로의 횡단 / 안개의 삶 / 환한 밤 / 나무 없는 과수원 / 뉴욕 / 저주받은 집 /
여기에서 거기까지 / 저물지 않는 시간 1 / 저물지 않는 시간 2
에필로그 - 새롭게 시작될 이야기
작가의 말
참고 자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