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배신 또는 근대 일본의 국문학 사상
로즈
2025-04-28 10:48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한국 경제의 배신

도서명 : 한국 경제의 배신
저자/출판사 : 강수돌 , 이정환, 굿모닝미디어
쪽수 : 340쪽
출판일 : 2013-09-23
ISBN : 9788989874348
정가 : 15800
1장. 과잉노동 사회, 왜 열심히 일하는데도 행복하지 않은가
지하수 펌핑 효과
한국, 왜 우울사회에 빠졌나
기업의 넘쳐나는 이익, 어떻게 통제하죠?
낮은 노동가치를 올려라
자기 발등만 생각할 건가요?
생산성의 역설
사회적 시선의 폭력
주주자본주의의 몰락
모두 일하되 조금씩
자본의 이동, 또 다른 타자의 희생
‘을’의 연대가 필요하다
재벌 개혁 논쟁
북유럽 복지 모델에서 배울 점
월급이 아니라 사회임금을 높여라
왜 다른 삶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죠?
성장의 과실이 내게 돌아오지 않는 시대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분리
2장. 내 눈을 찌르는 아픔, 우리가 알고 있는 경제는 가짜다
경제 개념, 어떻게 뒤틀렸나
지금의 경제민주화는 요란한 빈 수레
당신이 경제민주화의 주체
생계의 논리를 넘어서야 희망이 있다
민주주의의 함정
성장 담론의 재구성
자본의 내면화
자아 분열, 파괴된 사랑의 관계망
도시농업이 가능한가요?
노인을 위하지 않는 이상한 나라
소득 재분배, 기본소득을 보장하라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라
더 적게 일하고 더 풍성한 인생
자기파업의 시대
이윤 경제가 아닌 인간 경제
아래로부터의 혁명
특권을 깬 김예슬 선언이 남긴 것
보수 기득권 세력에 어떻게 맞서죠?
왜 삼성 없는 한국을 상상 못하나
수출만이 답일까?
복지는 공짜가 아니다
3장. 자본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몸짓
행복이 일상에 깃드는 경제 패러다임
사회가치와 생명가치
민주적 공동결정 문화
사회임금의 확대
GDP에서 GNH로
탐욕에 기초한 성장중독증을 버려라
세계 차원의 경제민주화
굿바이 일중독 사회
‘모두 부자 되세요’가 아니라 ‘모두 행복하세요’
근대 일본의 국문학 사상

도서명 : 근대 일본의 국문학 사상
저자/출판사 : 사사누마 도시아키, 어문학사
쪽수 : 364쪽
출판일 : 2014-03-30
ISBN : 9788961843317
정가 : 20000
서장 지금 ‘국문학 연구’를 다시 읽는다
1. ‘보편’과 ‘특수’의 이데올로기
2. 선행 연구의 정리와 이 책의 과제
1장 근대 ‘국문학 연구’의 형성과 ‘세계’ ― ‘지나’문학과의 관계로부터
1. 한시에서 신체시로
2. 근세의 학문과 ‘세계’
3. ‘서구의 충격(Western Impact)’과 ‘세계문학’
4. ‘세계문학’과 국문학 연구
5. ‘지나’문학의 발견과 청일전쟁
6. ‘타자’로서의 ‘지나’문학
7. ‘국문학’과 ‘지나’문학의 영향 관계
8. ‘지나’문학의 이미지
9. 동아시아적 ‘세계’상의 해체와 근대적 ‘세계’상의 확립
2장 문학사와 서구중심주의 ― ‘영문학자’ 도이 고치의 일본문학론
1. 아베 도모지의 유럽 기행
2. 구미문학 연구의 성립
3. 『문학서설』의 등장과 다이쇼 시대의 세계문학
4. 서사시, 서정시, 극
5. 일본문학의 도피적 성격
6. 세계적 문학과 국민적 문학
7. ‘영문학’과 ‘세계문학’
8. 외국문학 연구와 국문학 연구
3장 ‘미’의 이데올로기 ― 오카자키 요시에와 일본문예의 보편성
1. 사토 하루오와 고전
2. ‘일본문예학’의 등장
3. 미학에서의 국문학론
4. ‘일본문예’의 ‘양식’
5. 미의 이데올로기
6. 미의 보편성과 서구미학 비판
7. 오카자키 요시에의 세계문학론
8.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공범관계
4장 ‘국문학’의 주변 ― ‘대동아공영권’과의 관계
1. 하스다 젠메이와 ‘전장’의 ‘국문학’
2. 일국주의적 ‘국문학’의 논리
3. ‘대동아 건설과 신국문학의 이념’
4. 야스다 요주로와 ‘국문학’
5. ‘문학 연구’와 조선
6. 내선일체와 국문학
7. 동아시아와 일국 ‘국문학’의 행방
5장 문학과 과학의 시대 ― 이케다 기칸과 히사마쓰 센이치의 문헌학 논리
1. 마쓰모토 세이초와 국문학 아카데미즘
2. 일본문예학의 충격과 문헌학
3. 근대 ‘국문학 연구’의 전형으로서의 문헌학
4. 문헌학과 국책
5. ‘진선미’의 국문학 연구
6. 문헌학의 행방
6장 ‘국문학’의 ‘혁신’ ―가자마키 게이지로와 ‘일본문학사’ 서술
1. ‘혁신’으로서의 내셔널리즘
2. ‘문학’의 역사성
3. 근대적 문학의 계보
4. 개인과 국민
5. 국민문학론과 마르크스주의
6. 국민문학의 행방
결장 ‘국문학’의 종언
1. 세계문학과 일국 ‘국문학’
2. 국문학의 영광과 ‘묵은 병’
3. 근대 국문학 연구의 종언
● 저자 후기
● 역자 후기
● 색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