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또는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또는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로즈
2025-04-28 10:48 2 0

본문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9788961843010.jpg


도서명 :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저자/출판사 : 호소미 가즈유키, 어문학사
쪽수 : 260쪽
출판일 : 2013-06-12
ISBN : 9788961843010
정가 : 18000

●『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한국어판에 부쳐┃5
● 머리말 -「클레멘타인의 노래」┃10

제1장 출발선에 선 김시종
- 제1시집 『지평선』과 시동인지 『진달래』┃26


1. 시집『 지평선』의 세계┃29
2. 시지『 진달래』와 김시종┃41
3.『 진달래』에 나타난‘ 유민의 기억’ 논쟁┃48

제2장 『일본풍토기』와 유령시집 『일본풍토기Ⅱ』의 작품세계┃61

1.『 일본풍토기』 두 개의 세계┃65
2. 고래의 페니스와 4·3 사건
- 복원된『 일본풍토기Ⅱ』의 세계⑴┃81
3. 어머니에 대한 통곡의 노래
- 복원된『 일본풍토기Ⅱ』의 세계⑵┃91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본문(최종).indd 22 2013-05-29 오후 2:22:46

제3장 장편시집 『니가타(新潟)』가 내포한 기억┃103

1. 장편시집『 니가타』의 구조┃107
2. 제1부‘ 간기의 노래’┃110
3. 제2부‘ 바다의 울음 속을’┃124
4. 제3부‘ 위도가 보인다’┃142

제4장 김시종과 하이네, 첼란
-『 이카이노 시집(猪飼野詩集)』의 사정(射程)┃159


1. 『이카이노 시집』의 두 개의 리듬┃163
2. 하이네와 김시종┃171
3. 하이네의「 슐레지엔의 직공」┃177
4. 유창한 말과 보복의 말┃183
5.「 죽음의 푸가」와「 슐레지엔의 직공」┃187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본문(최종).indd 23 2013-05-29 오후 2:22:46

제5장 요시모토 다카아키와 김시종
-‘전후’의 마땅한 도래(到來)를 위하여┃193


1. 두 사람의‘ 패전’ 체험┃195
2.‘ 자립의 사상’을 둘러싸고┃198
3. 구라하시 겐이치와 요시모토 다카아키, 김시종┃205
4. 요시모토 다카아키『 전후 시사론(戰後詩史論)』과 김시종『 이카이노시 집(猪飼野詩集)』┃210
5. 요시모토 다카아키『 매스 이미지론』과 김시종『 광주시편』┃217
6. 편집자 데라다 히로시의 혜안┃224
7. ‘자국어와 이민족어의 교환’┃228
8.『 광주시편』에 관해 덧붙임(『아이덴티티/타자성』에서)┃231

제6장 『 잃어버린 계절-김시종 사시 시집(四時詩集)』을 읽다┃239
● 역자 후기┃247
● 색인┃254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9788926845455.jpg


도서명 :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저자/출판사 : 임경순 , 김춘식 , 송성수, 한국학술정보
쪽수 : 176쪽
출판일 : 2013-09-06
ISBN : 9788926845455
정가 : 18000

서문

1. 과학기술과 환경 인식 및 실천: 침묵의 봄50년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 출현 배경 및 그 영향
- 임경순(포스텍 인문사회학부)

환경의식과 환경보호 목표 그리고 그 실천의 문제
- 김완구(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침묵의 봄50년: 레이철 카슨의 과학커뮤니케이션과 그 영향:
미국과 독일에서의 영향을 중심으로
- 김춘식(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송성수(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박정연(부산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융합 사례 연구:
독일의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 김춘식(포스텍 인문사회학부)

2.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식품 위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식품의 환경호르몬 오염을 중심으로
- 김미지(대구보건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부)

환경호르몬의 중심에 있는 소재 플라스틱:
아줌마들의 과학수다?를 통한 위험소통
- 최동수(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구제역을 둘러싼 과학적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영국과 한국의 사례비교
- 김기흥(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나노윤리를 찾아서: 나노기술의 윤리적 쟁점과 교육
- 송성수(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최경희(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이향연(이화여자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