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안 우쿨렐레 곡집 또는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하와이안 우쿨렐레 곡집 또는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하와이안 우쿨렐레 곡집
9788997185849.jpg


도서명 : 하와이안 우쿨렐레 곡집
저자/출판사 : 이치카와 카츠미, SRMUSIC
쪽수 : 104쪽
출판일 : 2014-09-30
ISBN : 9788997185849
정가 : 15000

1)블루 하와이 Blue Hawaii
2)작은 대나무 다리 위에서 On a Little Bamboo Bridge
3)산호초 너머 Beyond the Reef
4)알로하 오에 Aloha Oe
5)오요메니 오이데(나와 결혼해 줘) Oyomeni Oide
6)남국의 밤 On a Tropic Night
7)타후와후와이 Tafuwafuwai
8)진주조개잡이 Pearly Shells
9)카이마나 힐라 Kaimana Hila
10)하와이안 웨딩송 Ke Kali Nei Au
11)눈물이 주룩주룩 Ka Nohona Pili Kai
12)발리 발리 해변 On the Beach at Bali Bali
13)힐라웨 Hi’ilawe
14)아카카 폭포 Akaka Falls
15)푸아마나 Puamana
16)후킬라우 송 The Hukilau Song
17)하날레이 문 Hanalei Moon
18)헤 우이 He Ui
19)라하이나 루나 Lahaina Luna
20)폴리아후 Poliahu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9788997889181.jpg


도서명 :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저자/출판사 : 이주여성인권포럼, 오월의봄
쪽수 : 318쪽
출판일 : 2013-03-05
ISBN : 9788997889181
정가 : 18000

들어가는 말 - 다문화 공존, 당위성에서 자발적 생성으로ㆍ4

1부 누가 한국인인가

누가 100퍼센트 한국인인가ㆍ16

한국인은 어떻게 한국인이 되었는가|누가 100퍼센트 한국인인가|배제와 추방의 이주사|외국인은 한국인이 될 수 없는가|순혈주의에 대한 성찰과 반성

사라지는 혼혈인ㆍ36
차별의 시작|만나기 힘든 혼혈인|기지촌의 낙인과 혼혈인이라는 명칭|혼혈인, 낙인의 흔적혼혈인 박명수, 외롭고 희망 없는 삶|스스로 사라지는 혼혈인

2부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

문화란 무엇인가ㆍ64

왜 타문화를 이해해야 하는가|문화를 바라보는 인식과 시선들|문화는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

타자에 대한 환대와 상호인정ㆍ79
움직이는 지구촌, 타자의 권리|현실 속 환대의 모습|다문화사회를 위하여, 상호인정과 관용|환대를 다시 생각한다

반다문화주의의 이데올로기적인 환상에 대하여ㆍ100
한국은 다문화사회일까|미등록 이주자를 희생양으로 삼는 사회|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적 환상|반다문화 담론이 은폐하는 것|그들을 위한 투쟁이 아니라 우리를 위한 투쟁

3부 변화하는 현장을 찾아서

트랜스젠더 이주노동자 미셸 이야기ㆍ124

이주자이고, 노동자이며, 트랜스젠더|차별과 모욕, 이주노동자의 생활|나 자신을 속일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커밍아웃|서로 차별하지 않고 공존하는 방법 찾기|트랜스젠더 이주노조 위원장의 탄생|끝나지 않은 미셸의 이야기

귀환 이주노동자 제이의 삶ㆍ142
이주|마석|농성|사랑|추방|재회|브레이크 투|사회자본

나의 ‘home’은 어디인가 - 필리핀 이주여성들의 ‘home’ 만들기ㆍ164
나의 ‘home’은 어디인가|‘home’ 대 ‘away’, 그리고 맥도널드|사회적 안전망으로서 공동체|문화적 거처로서 공동체|진정한 ‘home’을 찾아서|문화적 권리, 공정한 통합을 위한 조건

쉼터, 다/문화와 치유가 있는 공간ㆍ188
풍경, 이주여성들 속으로 들어가다|제니의 이주, 한국에서 가수의 꿈을 꾸다|그녀의 한국생활, 야한 옷과 성매매|임신, 쉼터, 출국|귀환… 다시 한국으로|표현예술심리치료, 그녀의 진짜 삶을 말하다|쉼터, 긍정과 희망을 찾다|그리고 남은 질문들

다문화공생의 문화적 실천 - 일본 FMYY의 사례ㆍ213
일본, 다문화공생|대지진의 경험과 FMYY의 탄생|마이너리티의 공론장 FMYY|지역사회에서 누구도 제외되지 않는 마을 만들기

4부 법과 제도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 선 이주여성ㆍ236

국제결혼, 평등한 부부관계는 불가능하다|한국인 남편이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이혼을 선택할 권리가 없는 여성들|국적과 영주권, 한국에서 안전하게 살 권리는|모성과 양육권도 부정하는 한국 사회|부모가 모두 이주노동자라면 아동의 권리는 없다|국민국가주의의 한계에 갇힌 법, 이주여성의 인권은

자베르 형사가 된 한국 사회ㆍ260
장발장과 이주노동자|법 안으로 들어가기 위한 투쟁|다시 법 앞에선 이들|법을 넘어선 휴머니즘, 자베르의 법|타자의 얼굴로 온 이주민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법

미등록 이주민 정책, 추방과 인권 사이ㆍ283
이주 정책에 대한 문제제기|불법체류자가 아니라 미등록 이주민|국민국가의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세 가지 정책|인권주의 미등록 정책을 생각하며

부록 1
미디어는 소수자를 어떻게 그려야 하는가 - 캐나다 방송 사례를 중심으로ㆍ295
문화다양성의 재현 방식|캐나다 방송의 문화다양성|‘공정묘사규정’의 내용|‘공정묘사규정’의 적용과 집행|다문화사회로 가기 위한 방송 미디어의 역할

부록 2
다문화 추천 자료ㆍ309

글쓴이 소개ㆍ31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