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로 보는 우리 고대사 또는 개혁군주 광종
로즈
2025-04-15 09:12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사료로 보는 우리 고대사

도서명 : 사료로 보는 우리 고대사
저자/출판사 : 윤내현, 만권당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7-04-07
ISBN : 9791195872329
정가 : 16000
머리말
들어가며
1 고조선 이전의 사회상을 말한다
사료 1 『삼국유사』 권1 「기이」 <고조선> 조 - 왕검조선
사료 2 『제왕운기』 권 하 「전조선기」의 주석
사료 3 『응제시집주』 「시월이십이일명제십수」 <시고개벽동이주>
2 고대 조선과 단군왕검의 등장을 확인한다
사료 1 『삼국사기』 권17 「고구려본기」 <동천왕 21년> 조
사료 2 『삼국사기』 권22 「고구려본기」 <보장왕> 하
사료 3 『삼국유사』 권1 「기이」 <고조선> 조 - 왕검조선
사료 4 『제왕운기』 권 하 「지리기」
사료 5 『제왕운기』 권 하 「전조선기」
사료 6 『고려사』 권12 「지리지」 <서경유수관평양부> 조
사료 7 『사기』 권38 「송미자세가」
사료 8 『상서대전』 권2 「은전」 <홍범>
사료 9 『관자』 권23 「규도」
사료 10 『관자』 권24 「경중갑」
사료 11 『산해경』 권18 「해내경」
사료 12 『산해경』 권12 「해내북경」
3 고조선의 서쪽 국경은 난하와 갈석산이다
사료 1 『사기』 권6 「진시황본기」 <진시황 26년> 조
사료 2 『사기』 권6 「진시황본기」 <2세 황제 원년>조
사료 3 『사기』 권12 「효무본기」
사료 4 『한서』 권6 「무제기」
4 만리장성의 동쪽 끝은 갈석산 지역이다
사료 1 『사기』 권88 「몽염열전」
사료 2 『사기』 권110 「흉노열전」
사료 3 『태강지리지』 [『사기』 권2 「하본기」의 갈석에 대한 주석인 『사기집해』에 수록]
사료 4 『통전』 권186 「변방」 <동이> ‘고(구)려’
사료 5 『진서』 권42 「당빈열전」
사료 6 『통전』 권178 「주군」 <평주> 노룡현에 대한 주석
5 고대의 요수는 지금의 난하이다
사료 1 『회남자』 권4 「추형훈」
사료 2 『염철론』 권9 「험고」
사료 3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고구려전>
사료 4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고구려전>
사료 5 『삼국유사』 권3 「흥법」 <순도조려>
6 요동은 2가지 의미가 있다
사료 1 『제왕운기』 권 하
사료 2 『한서』 권28 「지리지」 하
사료 3 『한서』 권40 「장진왕주전」
7 고조선의 영역은 한반도와 만주 전부였다
사료 1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예전>
사료 2 『삼국사기』 권1 「신라본기」 <시조 혁거세거서간>
사료 3 『고려사』 권56 「지리지」 <강화현>
사료 4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고구려전>
사료 5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고구려전>
사료 6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부여국전>
사료 7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고구려전>
사료 8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예전>
사료 9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한전>
8 기자는 조선의 거수였다
사료 1 『논어』 「미자」
사료 2 『사기』 권4 「주본기」
사료 3 『사기』 권38 「송미자세가」
사료 4 『상서대전』 권2 「은전」 <홍범>
9 기자의 망명지는 난하 유역이다
사료 1 『한서』 권28 「지리지」 하 「낙랑군」 ‘조선현’에 대한 주석
사료 2 『진서』 권14 「지리지」 상 <낙랑군> ‘조선현’에 대한 주석
사료 3 『위서』 권106 「지형지」 상 <북평군> 조선현에 대한 주석
사료 4 『태강지리지』 [『사기』 권2 「하본기」의 갈석에 대한 주석인 『사기집해』에 수록]
사료 5 『통전』 권186 「변방」 <동이> ‘고(구)려’
사료 6 『대명일통지』 권5 「영평부」 <고적> 조
10 하남성 동부에 기자묘가 있다
사료 1 『사기집해』 (『사기』 권38 「송미자세가」의 주석)
11 준왕은 기자의 후손이다
사료 1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예전>
사료 2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예전>
12 범금8조는 고조선의 법이다
사료 1 『한서』 권28 「지리지」 하
13 위만조선은 요서 서부에 있었다
사료 1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한전>
사료 2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한전>
사료 3 『위략』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한전> 의 주석)
사료 4 『염철론』 권7 「비호」
사료 5 『사기』 권115 「조선열전」
사료 6 『사기』 권115 「조선열전」
14 서한은 위만조선과 어려운 전쟁을 치렀다
사료 1 『사기』 권115 「조선열전」
사료 2 『사기』 권115 「조선열전」
사료 3 『사기』 권115 「조선열전」
15 한사군은 요서 지역에 있었다
사료 1 『사기』 권115 「조선열전」
사료 2 『한서』 권95 「서남이양월조선전」
사료 3 『한서』 권28 「지리지」 하
사료 4 『한서』 권64 「엄주오구주부서엄종왕가전」
사료 5 『한서』 권7 「소제기」 <시원 5년> 조
사료 6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예전>
사료 7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한전>
16 고구려는 고구려현에서 건국되지 않았다
사료 1 『한서』 권28 「지리지」 하 <현도군> 조
사료 2 『후한서』 권23 「군국지」 <현도군> 조
사료 3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한전>
사료 4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예전>
사료 5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동옥저전>
사료 6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고구려전>
사료 7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읍루전>
사료 8 『후한서』 권85 「동이열전」 <부여국전>
사료 9 『위략』 (『삼국지』 권30 「오환선비동이전」 <한전> 의 주석>)
사료 10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시조 동명성왕> 조
사료 11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시조 동명성왕> 조
사료 12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조
사료 13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조
사료 14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조
사료 15 『삼국사기』 권15 「고구려본기」 <태조대왕> 조
17 이제 우리 고대사 체계를 바로 세우자
사료 1 『고려사』 권63 「예지」 「길예소사」 <잡사>
사료 2 『제왕운기』 권 하 「전조선기」
사료 3 『고려사』 권12 「지리지」 <서경유수관평양부> 조
사료 4 『세종실록』 권154 「지리지」 <평양부> 조
사료 5 『삼국유사』 권1 「기이」 <고조선> 조 - 왕검조선 고조선> 평양부> 서경유수관평양부> 잡사> 태조대왕> 대무신왕> 대무신왕> 대무신왕> 시조> 시조> 한전> 부여국전> 읍루전> 고구려전> 동옥저전> 예전> 한전> 현도군> 현도군> 한전> 예전> 시원> 한전> 한전> 한전> 예전> 예전> 고적> 동이> 북평군> 낙랑군> 홍범> 한전> 예전> 고구려전> 부여국전> 고구려전> 고구려전> 강화현> 시조> 예전> 순도조려> 고구려전> 고구려전> 평주> 동이> 진시황> 홍범> 서경유수관평양부> 고조선> 보장왕> 동천왕> 시고개벽동이주> 고조선>
개혁군주 광종

도서명 : 개혁군주 광종
저자/출판사 : 우재훈, 북랩
쪽수 : 208쪽
출판일 : 2017-06-28
ISBN : 9791159876394
정가 : 12800
서문 _ 004
프롤로그 _ 010
1. 포스트 왕건 시대, 혜종 왕무 _ 013
2. 정종 왕요의 서경 프로젝트 _ 041
서경 프로젝트
광군사
3. 광종 왕소와 『정관정요』의 밀월기간 _ 061
4. 마키아벨리 혹은 『한비자』의 길 _ 085
개방적 인사정책
노비안검법
과거제의 도입
관료제 실시
제국으로 가는 길
공포정치 그리고 개혁
개혁의 파트너 불교
광종의 후계구도
광종의 사람들
5. 시대적 사명 그리고 개혁 _ 141
6. 개혁의 광풍 이후 _ 175
7. 광종의 죽음 그리고 보수의 반격 _ 185
에필로그 _ 201
참고자료 _ 20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