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곤지와 동성왕 또는 한글 성명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백제 곤지와 동성왕 또는 한글 성명학

로즈
2025-04-15 09:12 3 0

본문




백제 곤지와 동성왕
9791159874895.jpg


도서명 : 백제 곤지와 동성왕
저자/출판사 : 오윤 성춘, 북랩
쪽수 : 222쪽
출판일 : 2017-05-29
ISBN : 9791159874895
정가 : 12800

시작하는 글 7

1장 말다, 일본열도에서 한반도로 건너오다
1. 이 사람은 누구 20
末多 / 牟大 / 摩牟 / 牟都 / 麻帝 / 牟太 / 泰 / 餘太 / 男弟 / 募秦 20
2. 웅략천황은 곤지왕, 곤지는 웅략천황과 동일인물 28
곤지왕 신사 = 아스카베 신사 28
곤지왕은 백제 비유왕의 아들 30
정로장군 좌현왕 여곤 31
신라본기 자비마립간기에 나오는 왜인은 웅략천황의 군사 32
백제 천도에 앞장서는 웅략천황 34
곤지, 일본열도로 되돌아가다 34
웅략천황은 가라국 취희왕이었다 36
3. 5세기 한반도로 들어온 모용선비족 42
웅략천황의 출신 42
고구려로 들어온 모용선비족 44
신라로 들어온 모용선비족 45
백제에 나타난 모용선비족 48
일본열도의 특이한 5세기 49
4. 477년 51
웅략천황, 아들 말다를 한반도로 보내다 51
말다, 구마나리에 내리다 52
말다, 가라국 하지왕이 되다 54

2장 본국 왕 시대(479년~482년)
1. 479년 58
웅략천황, 가라국 하지왕을 남제에 조공하게 하다 58
죽막동 유적 61
말다, 익산에 본국을 세우다 62
『관세음응험기』의 무광왕은 말다 64
2. 말다, 자비마립간에 반역하는 박비처를 지원하다 65
흉노족 출신 박비처, 신라 소지마립간이 되다 67
고구려의 그늘에서 벗어나 말다에게 신속하는 소지마립간 69
금관총의 이사지왕은 소지마립간? 70
말다는 흉노족 70
3. 본국왕 말다, 웅진백제 삼근왕을 치다 73
4. 480년 본국왕 말다, 남제에 조공했으나 백제왕은 제수받지 못하다 75
5. 481년 말다, 신라를 도와 고구려를 물리치다 77

3장 백제 동성왕 시대(482년~501년)
1. 482년 80
말다, 마침내 백제의 왕이 되다 80
모대 81
고구려 장수왕, 한산성을 함락시키다 82
2. 483년 83
3. 484년 85
2월 남제 조공 성공, 고구려의 방해로 7월 남제 조공 실패 85
모산성에서 신라와 합격하여 고구려의 침입을 막다 86
4. 485년 5월에 소지마립간에게 사신을 보내다 88
5. 486년 89
남제로부터 드디어 백제왕으로 인정받다 89
소지마립간과 크게 열병하는 동성왕 89
6. 487년 91
삼한왕이 되려는 기생반숙녜를 진압하다 91
기생반숙녜의 할아버지는 이중천황으로 백제의 전지왕 93
7. 488년 97
북위와 싸워 이기다 97
백제는 처음 중국대륙에 있었다 100
8. 계속 대륙백제에 머물고 있는 동성왕 105
북위, 남제에게 화호를 청하다 106
9. 490년 107
남제에 표문을 올리다 107
남제로부터 백제왕으로 인정받다 109
신라에 용이 출현하다 109
10. 491년 고구려 장수왕 죽다 111
11. 492년 112
12. 493년 113
신라 소지마립간과 혼인동맹을 맺다 113
서동설화의 무강왕은 동성왕이다 115
13. 494년 122
왜 인현천황의 황태자가 되다 122
지대로의 등장 123
살수 싸움 123
14. 495년 127
남제에 표문을 올리다 127
지대로, 백제를 공격하다 129
15. 496년 소지마립간에게 흰 꿩을 보내다 131
16. 497년 일본열도로 일시 도해하다 132
17. 498년 왜 무열천황이 되다 134
18. 499년 136
19. 500년 137
지대로, 왜 계체천황이 되어 신라에 나타나다 137
우두성 싸움에서 소지마립간과 함께 계체천황에게 지다 139
20. 501년 죽지 않고 일본열도로 되돌아가다 141

4장 왜 무열천황 시대(498년~506년)
1. 502년 146
무열천황으로 사는 동성왕 146
양나라로부터 왜왕 무로 책봉 148
2. 503년 149
스다하치만 인물화상경 149
남제왕은 무열천황이요, 곧 동성왕이다 150
포항 냉수리 신라비 156

5장 반파국 가실대왕 시대(506년~516년)
1. 506년 160
『일본서기』에서 죽는 무열천황 160
반파국으로 되돌아온 무열천황, 곧 동성왕 161
가실왕과 하지왕은 동일인물 161
반파국은 본파국 163
가실대왕 163
2. 512년 168
위천의 북쪽 전투에서 고구려를 대파시킨 백제왕 168
양나라에 송사하여 사마를 백제왕으로 책봉 받게 하다 170
임나 4현 할양을 요청 173
3. 513년 빼앗은 백제 땅 기문을 도로 빼앗기다 176
4. 514년 178
계체천황과의 3월 전투에서 이기다 178
아라가야 정벌 182
5. 515년 기문을 되찾지 못하고 184

6장 신라 법흥왕 시대(516년~540년)
1. 516년 신라의 법흥왕이 되다 188
2. 일본인인가? 한국인인가? 190

부록
신라본기 중 관련 왕기 194
백제본기 중 관련 왕기 204
마치는 글 213
참고 문헌 218




한글 성명학
9791159872648.jpg


도서명 : 한글 성명학
저자/출판사 : 박기순, 북랩
쪽수 : 476쪽
출판일 : 2017-05-04
ISBN : 9791159872648
정가 : 19000

|머리말 04

제1장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문 해석
1.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例義)편 12
2.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制字解) 16
3. 훈민정음 해례본 초성해(初聲解) 32
4. 훈민정음 해례본 중성해(中聲解) 34
5. 훈민정음 해례본 종성해(終聲解) 37
6. 훈민정음 해례본 합자해(合字解) 42
7. 훈민정음 해례본 용자례(用字例) 49
8. 정인지 서(鄭麟趾 序) 85

제2장 훈민정음 한글과 음양오행
1. 훈민정음 한글 초성으로 자음과 음양오행 95
2. 훈민정음 한글 중성으로 모음과 음양오행 102
3. 훈민정음 한글 음양오행의 변화 109
4. 훈민정음 한글 초성으로 자음의 사계절과 방향 115
5. 훈민정음 한글 초성·중성으로 자음·모음과 숫자 118
6. 훈민정음 한글 소리와 음양오행 123

제3장 이름
1. 이름의 중요성 132
2. 이름의 작명 136
3. 이름의 작용과 효과 143

제4장 명리학과 이름
1. 명리학 150
2. 사주와 음양오행 155

제5장 사주의 용신과 이름
1. 사주의 용신 160
2. 사주의 용신과 한글 164

제6장 사람과 음양오행
1. 목화토금수의 기운 170
2. 이름과 음양오행 178

제7장 훈민정음 한글과 한자 응용 199

제8장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205

제9장 이름의 삼원 음양오행
1. 이름과 삼원 210
2. 이름의 삼원 음양오행 212

제10장 작명하는 순서 및 요령
1. 일반적인 작명 224
2. 사주를 기준한 작명 227
3. 한글과 한자 이름의 작명 238
4. 성씨가 2자인 작명 272
5. 작명서 278

제11장 이름의 분석
1. 사람과 대우주와 대자연의 이치 282
2. 천간(天干)과 용신(用神) 290
3. 이름과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298

제12장 삼원 음양오행과 생극제화
1. 이름의 삼원 음양오행의 분석 308
2. 한글 이름의 삼원 음양오행 317

제13장 인명용 한자와 음양오행 325

| 마치는 글 47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