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의 노래 또는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땅끝
2025-05-09 07:09
13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4회 연결
본문
붓의 노래

도서명 : 붓의 노래
저자/출판사 : 피터 드러커, 21세기북스
쪽수 : 255쪽
출판일 : 2011-08-10
ISBN : 9788950930820
정가 : 15000
피터드러커의 『붓의 노래』를 읽고_ 손철주
'다음에 나올 드러커 연구'를 기다리며_ 김종욱
역자 서문
제 1장 산소 컬렉션 및 일본화 관람기_ 이재규
피터드러커의 클레어몬트 자택
한국의 예술을 높이 평가한 드러커
2005년 11월 추도식ㅣ2009년 11월 탄생 100주년 기념식
산소 컬렉션 전시회ㅣ불화와 선 문화ㅣ일본의 가면극
도쿄 국립 박물관 세슈 특별전ㅣ야마토에와 가라에
일본 미술의 흐름ㅣ풍속화ㅣ세슈와 겟센 겐즈이
제 2장 드러커와 일본과 일본 예술_ 이재규
자포니즘ㅣ같은 말 다른 뜻, 우키요에ㅣ사생관
미국 경영학자를 초대한 일본ㅣ남화 혹은 문인화
제 3장 일봉화로 본 일본_ 피터 드러커
이에家 전통과 개인주의가 혼환된 나라, 일본
일본의 시대별 개인주의와 서양의 시대별 보편주의
일본인들의 협동 정신의 허구성
서구에서는 전문가만 동물화를 그리지만, 일본 화가는 모두가 동물화를 그린다
일본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조류 그림
공동체를 위한 협조와 자발적인 경쟁
특정 유파에 속한 개인주의
겉과 속이 다른 일본의 이중성ㅣ모순의 해결
일본 문화의 유일한 특성:모순의 포괄ㅣ모순과 양극성의 차이
양극성의 포괄은 유교를 받아 들인 결과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한자의 다른 역할
인간관계와 조직에서 발견되는 양극성
일본 조직은 전제주의의 표본이자 민주적 참여의 모범이다
민주주의와 전제주의의 종합
외국 문화의 흡수와 일본 문화의 보존
'와레와레 니혼진'의 의미ㅣ일본화의 풍경을 보는 법
신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ㅣ일본인의 미의식
중국인이 불편하게 느낀 일본적 미학은 무엇인가
중국화와 일본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기하학, 대수학, 위상 수학ㅣ서양화와 일본화의 차이
위상 수학적 그림이란 무엇인가
불교도 중국과 한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곧 일본식으로 바꾸었다
화혼양재ㅣ일본과 외국을 구분하는 일본의 미의식
일본의 수용 관계 능력은 유지될 것인가
10분만에 그리기 위해 80년을 배웠지요ㅣ인간관의 차이
학습 곡선 이론:서구와 일본은 다르다
일본의 학습 개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일본의 전통은 무너지는가
일본화 전통에서 본 일본인의 지각知覺능력ㅣ마셜 맥루언의 통찰
일본화는 현대 서구의 회화보다 1000년이나 앞섰다
토마스 아퀴나스와 무라사키 시키부
결론:일본은 지각력이 남다르다
제 4장 일본의 역사와 전통 회화의 이해
고구려 불화에서 우키요에까지_ 김재규
아스카 시대와 나라시대:일본에 불교와 불화가 전해지다
가라에와 야마토에
헤이안 시대:야마토에가 일본 회화의 고전양식으로 자리 잡다
가마쿠라 시대:무가정권 시대가 열리다
수묵화 시대가 열리다ㅣ무로마치 시대 회화
세슈ㅣ히가시야마 시대와 카노파의 탄생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카노파의 전성시대
카노파 계보ㅣ도사파
카노 에이도쿠와 카노 신라쿠
에도 카노파를 연 카노 타뉘
에도 시대의 시대 구분
에도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
마츠오 바쇼와 요사 부손, 하이쿠와 하이가
에도 시대 초기 일본 회화
린파와 오가타 코린ㅣ일본의 문인화와 조선 통신사
에도 시대 중기의 회화ㅣ마루야마 시조파와 교토 기상화파
도시와 상업의 발달
우키요에:뜬구름 세상에서 쾌락적 삶으로
에도 시대 후기의 사회변화와 회화의 흐름
타니 분초와 와타나베 카잔
에도 카노파, 에도 린파, 복고 야마토에
기인 하쿠인 에카쿠와 센가이 기본
에도에서 황금기를 맞은 우키요에
호쿠사이와 히로시게
에필로그 산소를 찾아서
부록
「일본화로 본 일본」에 등장하는 일본화가
한중일 연대표
인명색인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도서명 :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저자/출판사 : 박선희, 지식산업사
쪽수 : 536쪽
출판일 : 2011-06-20
ISBN : 9788942311453
정가 : 35000
제1장 .유물로 본 고조선 이전 시기 복식문화
1.고조선 이전 시기 복식문화를 찾는 길
2.방직도구와 재봉도구의 종류와 특징
3.머리꽃이의 특징과 머리양식의 형성
4.고조선 형성기 선사문화영역의 설정
제2장 .홍산문화와 고조선복식의 지속성
1.홍산문화 복식유물의 성격과 고조선복식
2.옥으로 만든 복식유물과 고유양식의 지속
3.홍산문화 채색기법의 성격과 채색의 발달
4.홍산문화의 전통과 고조선복식의 특징
제3장 .고조선 의복재료와 생산기술의 고유성
1.가족과 모직물 가공기술의 우수성
2.마직물 생산과 직조기술의 고유성
3.생태계의 차이로 본 고조선 면직물
4.낙랑유적 사직물 특성과 최씨낙랑국
제4장 .고조선복식과 장식기법의 독창성
1.복식양식의 조형의지와 정형화
2.관모양과 장식기법의 우수성
3.윗옷양식과 장식기법의 독창성
4.복식양식과 장식기법의 갖춤새
제5장 .고조선의 장식양식과 문양의 발달
1.복식문화의 장식기법과 조형적 전통
2.신석기시대 장식단추와 장식기법의 시작
3.고조선의 장식단추와 장식기법의 발전
4.여러나라와 삼국시대 장식기법의 지속
5.장식양식과 장식기법의 통시적 전승 제1장. 유물로 본 고조선 이전 시기 복식문화
1.고조선 이전 시기 복식문화를 찾는 길
2.방직도구와 재봉도구의 종류와 특징
3.머리꽃이의 특징과 머리양식의 형성
4.고조선 형성기 선사문화영역의 설정
제2장. 홍산문화와 고조선복식의 지속성
1.홍산문화 복식유물의 성격과 고조선복식
2.옥으로 만든 복식유물과 고유양식의 지속
3.홍산문화 채색기법의 성격과 채색의 발달
4.홍산문화의 전통과 고조선복식의 특징
제3장. 고조선 의복재료와 생산기술의 고유성
1.가족과 모직물 가공기술의 우수성
2.마직물 생산과 직조기술의 고유성
3.생태계의 차이로 본 고조선 면직물
4.낙랑유적 사직물 특성과 최씨낙랑국
제4장. 고조선복식과 장식기법의 독창성
1.복식양식의 조형의지와 정형화
2.관모양과 장식기법의 우수성
3.윗옷양식과 장식기법의 독창성
4.복식양식과 장식기법의 갖춤새
제5장. 고조선의 장식양식과 문양의 발달
1.복식문화의 장식기법과 조형적 전통
2.신석기시대 장식단추와 장식기법의 시작
3.고조선의 장식단추와 장식기법의 발전
4.여러나라와 삼국시대 장식기법의 지속
5.장식양식과 장식기법의 통시적 전승
제6장. 고조선 장식을 이은 고구려 문양
1.기하학문양 종류와 조형의지의 지속
2.기하학문양 생산기법의 종류와 특징
3.복식양식과 색상의 창조적 발달
제7장. 복식양식과 장식기법으로 본 고조선의 복식 문화권
제6장 .고조선 장식을 이은 고구려 문양
1.기하학문양 종류와 조형의지의 지속
2.기하학문양 생산기법의 종류와 특징
3.복식양식과 색상의 창조적 발달
제7장 .복식양식과 장식기법으로 본 고조선의 복식 문화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