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의 여왕 또는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공부방의 여왕 또는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다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공부방의 여왕
9788965701705.jpg


도서명 : 공부방의 여왕
저자/출판사 : 원영빈, 쌤앤파커스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3-08-07
ISBN : 9788965701705
정가 : 14000

프롤로그. 공부방의 여왕이 되고 싶은 당신에게
1장. 나의 운명, 공부방을 시작하다

내가 공부방의 여왕이 된 이유
극성 엄마의 무모한 도전
- 뉴질랜드 맨땅 헤딩기
- 구세주, 스티븐 김을 만나다
뉴질랜드 스쿨캠프, 겁 없는 도전
- 초보 엄마의 첫 번째 창업 도전기
캠프, 두 손 들고 퇴장하다
‘경험’에서 아이디어를 찾아라
- 세상에서 제일 작은 영어도서관
- 시련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공부방 창업,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
“공부방 창업, 필수 체크 리스트”

2장. 공부방, 어떻게 가르칠까?
천국 같은 영어도서관에 도전하다
- 많이 읽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영어가 공부라는 생각부터 버려라
- 책만 읽어서 영어가 늘까?
수준보다 한 단계 낮은 책을 읽혀라
- 공부방도 배워야 산다
특성별 리딩 로드맵을 완성하다
특명! 나만의 공부법을 만들어라
- 무한반복 서비스는 기본이다
공부방만의 장점을 살려라
공부방 여왕이 말하는 영어책 잘 읽는 법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어책 BEST 10

3장. 아이들이 ‘오고 싶은’ 공부방을 만들어라
공부방 같지 않은 공부방에 도전하다
공부방의 경쟁자는 공부방이 아니다
- 차별화는 있어도 차별화된 인테리어는 없다
공부방의 얼굴, 카페와 블로그로 홍보하라
- 온라인 이벤트, 공부와 재미를 잡아라
- 눈에 ‘보이는’ 동기부여를 선물하라
아이들을 ‘대접하는’ 공간을 만들어라
- 최고급 호텔식 서비스를 선물하다
대기자 100명을 만드는 ‘성취감’
대기자 100명을 만드는 ‘소통과 공감’
대기자 100명을 만드는 ‘칭찬’
아이들이 오고 싶은 공부방, 어떻게 꾸밀까?
“공부방 홍보, 이것만 알아도 성공한다!”

4장. 공부방의 여왕, 이것만은 갖춰라
정말 아이들을 가르치고 싶은가
테크닉에 정성을 더하면 성공이 된다
가장 먼저 경험에 투자하라
작게 시작해야 성공이 보인다
내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다
‘리액션’의 고수가 돼라
공부방의 ‘전속모델’로 거듭나라
문자와 전화통화, 매너를 지켜라
슬럼프는 영원한 동반자다
사소함이 위대함을 만든다
나만의 주문을 외워라
성공한 공부방 여왕의 조건
“공부방, 나는 이래서 시작했다!”

부록. 성공한 공부방의 여왕들
“아이들과 마음으로 만나세요.” _성북돈암 김선순 원장
“나는 가장 행복한 리더입니다.” _상암 3호 이정아 원장
“어떻게 해야 더 신나게 놀 수 있을까?” _강서발산 김다혜 원장
“아이들의 마음에 힘이 되고 싶습니다.” _상암본원 이은경 원장
“다르면 다른 대로, 생긴 대로 살자.” _마포성산 손혜진 원장
“책 읽기는 공부의 든든한 버팀목입니다.”_ 은평진관 박지숙 원장
에필로그. 공부방이 빚어낸 작은 기적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다
9788926860878.jpg


도서명 :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다
저자/출판사 : 조항민, 한국학술정보
쪽수 : 349쪽
출판일 : 2014-02-14
ISBN : 9788926860878
정가 : 24000

서문ㆍ5

1부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기초 개념 짚기
제1장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의 기초적 특성과 이해 / 17
1.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본질 / 17
2. 미디어의 유형과 내용 / 25
제2장 미디어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사회구성력 / 89
1. 매스미디어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기능 / 89
2. 미디어의 이론과 효과 / 101

2부 과학, 사회와 커뮤니케이션하다
제1장 과학기술의 소통 왜 필요할까? / 125
1.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125
2. 과학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특성 / 129
제2장 과학과 대중의 매개체로서 미디어의 역할 / 166
1. 과학과 대중의 매개체로서 미디어의 중요성 / 166
2. 과학과 대중을 잇는 중요 매개체로서의 과학 전문채널: 국내 과학전문채널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홍보전략 / 172

3부 과학뉴스와 과학저널리즘
제1장 뉴스 속의 과학보도 / 197
1. 과학뉴스의 정의와 분류 / 197
2. ‘과학’ 뉴스 vs. 과학 ‘뉴스’ / 210
제2장 과학기자 그리고 과학저널리즘 / 214
1. 대중과 과학자를 잇는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기자 / 214
2. 과학저널리즘의 의미와 미래 / 232

4부 미디어 속의 과학보도 사례
제1장 新주치의(主治醫)로서 건강보도의 부상 / 249
1. 건강뉴스의 개념과 의학전문기자의 특징 / 249
2. 뉴스소비자와 건강관련 뉴스 / 255
3. 건강관련 콘텐츠 소비의 新경향 / 258
제2장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충돌, 생명공학보도의 실제 / 263
1. 생명공학보도의 특성과 현황 / 263
2. 생명공학에 대한 언론보도의 실제: GMO보도와 배아복제보도 / 266
제3장 환경보도, 더 나은 삶을 위한 언론의 사명 / 273
1. 환경보도의 특징과 중요성 / 273
2. 환경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78
제4장 재난ㆍ재해보도의 실제: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에 관한 연구 / 285
1. 문제제기 / 285
2.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 검토 / 288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296
4. 연구결과 / 302
5. 결론 및 논의 / 318
제5장 보이지 않는 혜택과 위험: 나노기술에 대한 언론보도 / 323
1.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과 위험인식 / 323
2. 언론 속의 나노기술 보도의 실제 / 331

참고문헌ㆍ338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