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이 되기 전에 꼭 가져야 할 것들 또는 국어와 문학 텍스트의 문체연구
땅끝
2025-05-09 07:09
13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34회 연결
본문
스무 살이 되기 전에 꼭 가져야 할 것들

도서명 : 스무 살이 되기 전에 꼭 가져야 할 것들
저자/출판사 : 전영철, 팬덤북스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2-05-30
ISBN : 9788994792385
정가 : 13000
1. (꿈) 삶의 방향이 꿈이다
2. (꿈) 꿈은 주어지지 않는다
3. (꿈) 꿈만으로 되지 않는다
4. (꿈) 꿈을 이루는 힘은 무엇일까
5. (끼) 재능을 찾아보자
6. (끼)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7. (끼) 환경을 만들어 보자
8. (끼)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는 일
9. (꾀) 공부의 목적
10. (꾀) 지식과 경험이 만나 지혜가 태어난다.
11. (꾀) 먼 데서 찾지 말라
12. (꾀) 씨를 뿌려야 추수를 한다
13. (깡) 학교 우등생이 사회 우등생?
14. (깡) 제대로 해야 한다
15. (깡) 실천이 빠지면 아무 소용없다
16. (깡) 내 생각이 곧 나의 미래
17. (깔) 행복을 빚는 솜씨
18. (깔) 정성과 끈기가 솜씨를 만든다
19. (깔) 솜씨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20. (깔) 배려는 분노를 이긴다
21. (꼴) 태도는 사실상 모든 것이다
22. (꼴) 담배는 독약이다
23. (꼴) 정말 중요한 것은 감추어지지 않는다
24. (꼴) 술은 어른에게 배워야 한다
25. (끈)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
26. (끈) 혼자 하는 일은 없다
27. (끈) 세상의 중심은 나?
28. (끈) 인간관계의 핵심, 경청
29. (꾼) 전문가 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
30. (꾼) 깨어 있자
31. (꾼) 전략의 기본은 공부다
32. (꾼) 잘 모를 때는 가보는 수밖에 없다
33. (끝) 세 번의 기회
34. (끝) 사랑하는 이들의 충고에 귀 기울이라
35. (끝) 우리 삶의 네비게이션
36. (끝) 책은 인생의 길잡이
국어와 문학 텍스트의 문체연구

도서명 : 국어와 문학 텍스트의 문체연구
저자/출판사 : 정은균, 한국학술정보
쪽수 : 384쪽
출판일 : 2011-10-28
ISBN : 9788926827536
정가 : 27000
제1부
국어 문체 연구의 일반론
1. 문체 연구의 기본 관점
2. 국어 문체 연구의 방향
제2부
국어의 시대별 문체 연구
1.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문체
1.1. 석독구결문의 문법과 문체
1.1.1. 석독구결의 ‘?’와 ‘?’
1.1.2. ‘?’의 쓰임새와 의미
1.1.2.1. ‘명사+?’ 형식
1.1.2.2. ‘동명사형어미+?’ 형식
1.1.2.3. ‘부정사+?’ 형식
1.1.3 석독구결 ‘?’ 구문의 문법과 문체 의의
1.1.4. 정리
1.2. 석독구결문의 번역 문체적인 특징
1.2.1. 문제 제기
1.2.2. 석독구결문의 번역 문체적인 양상
1.2.2.1. 문장 종결 유형에 따른 문체
1.2.2.2. 용언류 어휘 사용에 따른 문체
1.2.3. 석독구결문의 문체사적인 의의
1.2.4. 정리
2. 근대 이전 국문 서사체의 문체
2.1. 장문 구성의 문체
2.1.1. 장문 구성과 문체 특징
2.1.1.1. 문제 제기
2.1.1.2. 기존 논의의 검토
2.1.1.3.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2.1.1.4. 장문 구성의 문체 특징과 효과
2.1.1.5. 정리
2.1.2. 장문 구성의 요소와 실현 양상
2.1.2.1. 장문 구성의 특징과 요소
2.1.2.2. 장문 구성의 요소 유형
2.1.2.3. 장문 구성의 문체 특징
2.1.2.4. 정리
2.2. 문장 종결 형식의 문체
2.2.1. 종결 어미 ‘다, 라’의 문체
2.2.1.1. 종결 어미 ‘다’와 ‘라’의 관계
2.2.1.2. ‘다, 라’ 종결 형식의 쓰임새
2.2.1.3. ‘다, 라’ 종결 형식의 문체 특징
2.2.1.4. 정리
2.2.2. 계사 종결 형식의 문체
2.2.2.1. 계사 종결 형식의 특징
2.2.2.2. ‘이다, 이라’의 시대별 쓰임새
2.2.2.3. ‘이다, 이라’의 변천 과정
2.2.2.4. 정리
2.2.3. ‘더시다’의 문체
2.2.3.1. 문제 제기
2.2.3.2. 기존의 관점과 논의 검토
2.2.3.3. ‘더시다’의 쓰임새와 문체 특징
2.2.3.4. 정리
3. 개화기 신소설의 문체
3.1. 신소설의 문장 종결 형식과 문체
3.1.1. 문제 제기
3.1.2.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3.1.3. 문장 종결 형식의 특징
3.1.3.1. ‘더라’와 ‘ㄴ다’의 교체 출현
3.1.3.2. ‘더라’와 ‘ㄴ다’의 기능
3.1.4. 문장 종결 형식과 서술 문체
3.1.4.1. ‘더라’ 구문의 서술 특징
3.1.4.2. ‘ㄴ다’ 구문의 서술 특징
3.2. 신소설의 시점과 문체
3.2.1. 시점에 따른 서술 문체의 변환
3.2.1.1. ‘더라’ 구문의 시점과 문체
3.2.1.2. ‘ㄴ다’ 구문의 시점과 문체
3.2.2. 신소설 시점의 문체사적인 의의
제3부
문학 텍스트의 문체 연구
1. 시 텍스트의 문체
1.1. 시의 언어와 표현
1.1.1. 문제 제기
1.1.2. 시 문장의 통사 특징과 의미
1.1.3. 어휘 쓰임의 양상과 의미
1.1.4. 정리
1.2. 시 텍스트의 의미 구조와 문체
1.2.1. 시 텍스트 해석의 관점
1.2.2.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1.2.3. 어휘의미론적인 텍스트 분석
1.2.3.1. 텍스트 내 의미 단위 규정
1.2.3.2. 어휘 의미를 통해 본 주제 구조
1.2.3.3. 주제 구조와 어휘 관계의 상관성
1.2.4. 통사의미론적인 텍스트 분석
1.2.4.1. 통사 구조의 의미 해석
1.2.4.2. 어휘의 쓰임새와 통사 구조의 상관성
1.2.5. 정리
2. 소설 텍스트의 문체
2.1. 소설 텍스트의 시점과 문체
2.1.1. 시점에 따른 서술 문체의 특징
2.1.1.1 시점과 초점화의 추이에 따른 서술
2.1.1.2. 서술자의 시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서술
2.1.2. 시점의 서술 문체와 텍스트 해석
2.1.3. 정리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