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딱경제 여의도 밥집 시계는 왜 빠를까 또는 창발 경영
땅끝
2025-04-24 13:25
6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9회 연결
본문
삐딱경제 여의도 밥집 시계는 왜 빠를까

도서명 : 삐딱경제 여의도 밥집 시계는 왜 빠를까
저자/출판사 : 이규창, 북랩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5-05-04
ISBN : 9791155855775
정가 : 13800
들어가는 글 4
1부
나무늘보 경제는 멸종위기 15
‘천지개벽’ 보수정부가 대기업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다 16
물이 떨어지지 않아 삶이 팍팍한데 20
시끄럽지만 분배 있는 성장이 답 24
세금의 거짓말 29
소득세, 법인세 올리면 투자가 위축된다고? 30
그렇다고 세금 매기면 투자가 늘어나나 33
곳간이 줄줄 새는데 36
오른손이 일을 하지 않는다면 정부가 해야 39
일자리 없어서 아우성인데 왜 애를 많이 낳아야 하나 43
실업률이 얼마라고? 44
출산장려운동은 실업자양산운동 46
산아제한·출산장려운동의 노림수 49
경제를 ‘계획’하지 않으면 실업은 해결하지 못한다 52
장그래를 정규직으로… 그런데 나머지를 해고한다면 55
‘고령화 시대’ 연기금에 대한 오해와 이해 58
부동산 불패(?) 필패의 시대가 온다 63
여의도 밥집 시계가 빠른 이유 64
부자나라의 가난한 국민 67
부동산 가격 폭락은 온다 71
‘집 사세요, 건물 사세요’ 언론의 부동산 띄우기 74
실패의 무한반복 77
정부와 시장은 늘 실패한다 78
‘비싸도 산다, 비싸서 산다(?)’ 소비자의 실패 82
환율은 개입해야 하지만 엄살은 그만 84
물가지수는 낮은데 왜 장보기가 무서울까 87
특히 우리나라는 중앙은행의 독립이 필요하다 89
운동 경기 중에 규칙을 바꾸는 황당한 나라 93
빈수레 경제 97
‘엿장수’ 마음대로 바꾸는 경제정책 98
규제의 해소와 규제의 기술 100
지역 축제를 좇아가는 ‘허브 시리즈’ 102
국제행사 과대선전… 처벌이라도 해야 하나 105
민영화가 민영화로 들리지 않는 이유 109
없는 살림에 서러운 자원 개발 112
창조경제가 뭐유 115
불평등의 경제 117
정부발 정보 비대칭이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118
기업과 국회, 언론의 삼각 커넥션 121
어떤 논리로 반대하든 지역 균형 발전은 무조건 옳다 123
국민을 투기판으로 모는 사회 127
대체 회사채 기사를 왜 씁니까 128
주식 없는 사람조차 주가 스트레스 131
주식 직접투자는 하지 마라 134
채권형 펀드 이상의 수익률 노렸으면 원망도 말아야 138
저축은행, 공제회가 힘들어하는 이유 140
투자처가 없어 사기꾼이 날뛴다 142
2부
재벌, 대기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147
그나마도 시들해진 동반성장 148
안티를 키우는 국민기업들 151
재벌도 각각 아킬레스건이 있다… 원인은 154
재벌 3~4세에 대한 기대(?) 158
‘재벌 해체’ 161
기업경영 ‘뭔가 있을 것 같지만’ 165
컨설팅을 위한 경영 컨설팅 166
M&A는 경영의 종합예술(?) 169
‘M&A의 달인’, ‘저주받은 승자’는 한 끗 차이 172
점(占) 보는 CEO들 175
‘내 피 같은 회사를…’ 손절 못 하는 오너 177
21세기 직원과 20세기 조직문화 181
무늬만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182
‘내 방문은 항상 열려 있다’ CEO의 거짓말 185
농업적 근면성을 요구하는 조직 187
과도한 연봉 격차와 인센티브는 호봉제만 못하다 190
외부 전문가를 쫓아내는 우리네 조직문화 193
이런 기업, 저런 기업 197
기업이 물류와 건설을 좋아하는 이유 198
네이버는 벤처 잡아먹는 재벌 공룡일까 201
‘담당자가 없어요’ 어설픈 기업도 많다 205
‘진짜 투기’ 스타트업(Start-up) 기업 209
농수축산업계 재벌도 있다 212
공시의 미학… 기업의 돌려 말하기 215
비관적 사업 전망과 주가 띄우기 사이 218
덕지덕지 벽에 걸린 상을 믿지 말라 220
녹아들어가지 못하면 당한다 222
금융시장의 허와 실 225
‘형님 아우’ 연(連)이 판치는 여의도… 아니면 결국 수수료 226
금융시장의 덤핑 228
국부 유출의 기준이 무엇인가 230
신용평가사를 위한 한 가지 변명 233
‘돈 빌려 쓰세요’ 필요악 대부업 235
쏟아지는 파생상품… 이해 못 하는 위험! 238
STOP! 공존의 미래를 다시 그리자 241
식량으로 위협받는 일이 없기를 242
‘사분오열’ 강성 노조보다 때로는 ‘주고받는’ 어용 노조가 낫다 246
‘블랙컨슈머’ 경제 시민단체 249
바보야 중국이야 251
푸른 바다는 없지만 255
공유경제를 대기업은 감당할 수 있나 258
다품종 소량생산을 외면했다가는… 262
참고문헌 265
창발 경영

도서명 : 창발 경영
저자/출판사 : 이장우, 21세기북스
쪽수 : 340쪽
출판일 : 2015-01-09
ISBN : 9788950957278
정가 : 16000
책 발간에 부쳐
서문_대한민국, 속도 경영을 넘어 창발성 시대로
PART 1. 한국식 속도 경영
1. 신바람 경영
‘하면 된다’가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현대 정주영 신화
삼성 이병철 신화
‘잘 살아보세’와 신바람
신바람 유감
신바람 경영의 틀
2. 융합 경영
정보화 시대는 스피드가 경쟁력
삼성의 스피드 경영
현대자동차의 기술 융합
역설과 상생의 논리에 기반을 둔 융합 경영
융합 경영의 틀
3. 속도 경영의 특징과 한계
한국식 속도 경영의 진화 과정
속도 경영의 성과
속도 경영의 실체
속도 경영의 한계: 붉은 여왕 경쟁의 세계
속도 경영이 가져다준 혜택과 부작용
PART 2. 한국식 기업 경영의 평가와 미래
1. 비판과 도전
한국식 기업 경영에 관한 비관적 견해
한국 기업의 도전
실패와 성공의 원인이 똑같다
성공 기업이 남다른 점
융합 경영의 등장
2. 한국 기업들의 성공 패턴
성공이란
21세기 강소기업의 성공
강소기업들에서 발견한 성공 패턴
3. 생태계 경쟁과 과제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성공 요인
새로운 경영 방식이 필요한 이유
생태계 전쟁과 전략 혁신
재벌 기업이 위험한 이유
4. 한국 기업의 성공 패러다임과 미래 도전
기업가정신의 진화
한국식 기업 경영의 3가지 패러다임
새로운 혁신 모멘텀을 위해서
성공 기업으로 가는 길
PART 3.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창발 경영
1. 창조경제에서의 도전
창발하는 인간의 힘
혁신과 조직화
스피드 시대 이후의 세상
새로운 패러다임
소프트 경영으로
‘하면 된다’와 ‘빨리빨리’에서 ‘이룰 때까지’
힐링(healing)에서 히팅(heating)으로
성공자의 마음
2. 창발 경영이란
창발 경영의 원형으로서 강태공과 웅녀 이야기
LINE 이야기
한류 콘텐츠 이야기: SM엔터테인먼트 사례
창발 경영의 사례들
3. 왜 창발 경영인가
창발 경영은 미래 패러다임
창조형 산업 생태계의 등장
다초점 사회로의 이동
더 위험한 세계로 몸을 던져야 하는 시대
4. 창발 경영의 실천 프로세스
1단계: 뜻과 비전 세우기
2단계: 생존과 반복, 그리고 실패와의 동거
3단계: 절실함 속에서 기회의 인지
4단계: 기회의 창으로 진입과 재빠른 가치 창출
에필로그_1994년 데쟈뷰와 위기의 한국 경제
주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