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려치기 전에 직장인 분노 조절 기술 또는 살아있는 역사 재미있는 논술. 2: 고려 건국에서 병자호란까지
시니
2025-04-14 05:42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때려치기 전에 직장인 분노 조절 기술

도서명 : 때려치기 전에 직장인 분노 조절 기술
저자/출판사 : 요코야마 노부하루, 리텍콘텐츠
쪽수 : 208쪽
출판일 : 2018-06-04
ISBN : 9791186151136
정가 : 14800
<화 체크 시트>
<화 해소 시트>
서문
제1장 쓸데없이 화내지 않도록 도와주는 10가지 습관
1-01 “화”의 정체는 무엇일까·26
1-02 상대방에게 너무 기대하면 실망이 찾아온다·30
1-03 나에게 당연한 것이 남에게도 당연한 것일까·35
1-04 화가 난 이유는 의외로 다른 감정에 있다·39
1-05 화도 잘 내면 득이 된다·43
1-06 남 탓하면 뚜껑만 더 열린다·46
1-07 이상하게 얄미운 사람이 있으면 열등감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50
1-08 나도 몰랐던 나 자신을 화내면서 발견한다·54
1-09 불편한 상황이 닥치면 물어보는 게 답이다·58
1-10 어떻게든 화를 해소하기로 결심한다·64
제2장 때려치기 전에 화를 멈추는 10가지 기술
2-01 일단 그대로 받아들이면 조금 기분이 침착해진다·70
2-02 짜증이 났다면 들숨 날숨을 반복하자·74
2-03 쉽게 풀리지 않는 화도 종이에 적어보면 잘 풀린다·78
2-04 누군가에게 무엇을 해 줄 때는 보답을 기대하지 않는다·82
2-05 미리 자신이 원하는 것/기대하는 것을 말해 두자·87
2-06 ‘이성적이지 않은 사람’의 비판은 신경 쓰지 않는다·91
2-07 언제나 화가 나 있는 상사 대처법·95
2-08 자신에게 있어 예민한 부분은 참지 말고 확실히 말해 두자·100
2-09 때로는 이기적 용서가 답이다·103
2-10 실수를 인정하면 화의 반응도 바뀐다·107
제3장 직장의 부당함에 화내지 않고 온화하게 일하는 8가지 기술
3-01 화내는 상사에게 휘둘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흘려듣는 법·112
3-02 부당한 지시에 즉시 욱하지 말고 미래를 위한 수행이라고 생각하며 견뎌본다·117
3-03 사사건건 참견하고 괴롭히는 상사 활용법·121
3-04 기회주의 상사에게는 사실을 보고하지만 반론은 않는다·125
3-05 입을 열 때마다 말이 바뀌는 상사에게는 우선 “YES”라고 대답한다·130
3-06 자기가 민폐인지 모르는 사람에게는 화가 아닌 명쾌한 말로 설명한다·134
3-07 동료나 부하의 푸념에 짜증이 난다면 오히려 이야기를 끝까지 조용히 듣는다·137
3-08 타인과의 비교는 직장 내 모든 갈등과 화를 낳는다·141
제4장 화를 오히려 활용하는 7가지 기술
4-01 참아온 화, 낼 때는 내야 협상에 유리하다·146
4-02 화가 너무 없어도 사람은 매너리즘에 빠진다·149
4-03 굴욕당한 화는 성공으로 향하는 기폭제로 쓰일 수 있다·154
4-04 화를 경쟁심으로 바꾸면 막강한 에너지가 생긴다·158
4-05 화는 사람을 오히려 더 과감하게 만들 수 있다·162
4-06 화는 지금의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신호를 준다·165
4-07 윗사람이나 상사에게 화났을 때 올바르게 화내는 법·170
제5장 어떻게 해도 참을 수 없는 화를 누를 수 있는 7가지 훈련
5-01 화도 우리에게 필요한 하나의 감정임을 인식한다·176
5-02 화내고 있는 자신을 또 다른 자신의 입장에서 바라본다·181
5-03 화를 잠재우기 위한 들숨 날숨 연습, 그 첫 번째·184
5-04 화의 긴장을 풀기 위한 화 명상법, 그 두 번째·187
5-05 화난 마음을 다스리기 위한 자기관찰 습관·192
5-06 억지 미소도 화에는 약이 된다·195
5-07 적게나마 누군가를 기쁘게 하면 화나지 않는 체질이 된다·199 화> 화>
살아있는 역사 재미있는 논술. 2: 고려 건국에서 병자호란까지

도서명 : 살아있는 역사 재미있는 논술. 2: 고려 건국에서 병자호란까지
저자/출판사 : 모난돌역사논술모임, 성안당
쪽수 : 152쪽
출판일 : 2018-06-11
ISBN : 9788931581577
정가 : 17000
추천의 글|체험학습연구회(사) 모아재 선생님들(김봉수, 김진호, 신대광, 조성래)
저자의 글|최신개정판에 부쳐
이 책의 생김새와 쓰임새
01 고려, 기틀을 다지다
역사 탐구 1 후삼국 통일 뒤 왕건이 펼친 정책
2 왕권을 강화시킨 광종과 성종
3 토지, 조세 제도와 중앙 정치 기구
역사 해석 1 왕건이 부인을 29명이나 둔 까닭은?
2 노비안검법과 과거제 실시가 왕권 강화에 도움이 되었나?
역사 토론 왕건이 부인을 29명이나 둔 것이 나라 안정에 도움이 되었을까?
02 고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
역사 탐구 1 신분 제도
2 대외 무역
3 과거제와 교육 기관
역사 해석 1 고려 시대에 여자는 당당했다
2 외국인이 본 고려 이야기
역사 토론 고려 시대에 여자는 차별받았을까?
03 거란 침입과 여진 정벌
역사 탐구 1 고려 초 국제 정세와 거란(요) 1차 침입
2 거란(요) 2차, 3차 침입
3 여진을 정벌한 윤관
역사 해석 1 서희는 어떻게 강동 6주를 얻을 수 있었을까?
2 고려와 거란은 강동 6주를 통해 무엇을 얻었나?
역사 토론 윤관이 개척한 동북 9성을 고려가 돌려준 것은 잘한 일일까?
04 문벌 귀족과 서경 천도 운동
역사 탐구 1 문벌 귀족이 생겨나다
2 이자겸의 난
3 서경 천도 운동
역사 해석 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2 신채호가 평가한 서경 천도 운동
역사 토론 묘청은 반역자일까, 선각자일까?
05 무신 정변, 그리고 농민과 천민 봉기
역사 탐구 1 차별받던 무신이 난을 일으키다
2 무신 정권 100년
3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
역사 해석 1 무신 정권이 가진 한계
2 신분 의식이 흔들리다
역사 토론 무신 정권이 등장한 것은 나라를 바로 세운 일일까?
06 몽골과 벌인 전쟁
역사 탐구 1 몽골 침입
2 삼별초 항쟁
역사 해석 1 백성들이 몽골에 맞서 싸운 까닭은 무엇일까?
2 삼별초는 무엇을 위해 싸웠나?
역사 토론 강화 천도는 나라를 지키기 위한 것일까? 권력을 지키기 위한 것일까?
07 빛나는 문화를 꽃피운 고려
역사 탐구 1 고려청자
2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팔만대장경)
3 금속 활자
역사 해석 1 팔만대장경을 온전하게 지킨 비결은?
2 문익점은 목화씨를 붓두껍 속에 몰래 숨겨서 들여왔을까?
역사 토론 구텐베르크는 고려 인쇄술을 모방했을까? 스스로 발명했을까?
08 원나라 지배와 공민왕
역사 탐구 1 원나라 속국이 된 고려
2 기황후와 신돈
3 공민왕이 펼친 개혁 정치
4 몽골풍과 고려양
역사 해석 공민왕이 벌인 개혁은 무엇이 부족했을까?
역사 토론 공민왕이 펼친 개혁은 성공한 것일까? 실패한 것일까?
09 고려 말 혼란과 신진 사대부 성장
역사 탐구 1 권문세족과 신진 사대부
2 왜구로 인한 피해와 토벌
3 화약을 만들어 왜구를 물리친 최무선
역사 해석 1 신진 사대부가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까닭은?
2 화통도감은 왜 폐지되었나?
역사 토론 정몽주와 정도전, 누가 더 옳았을까?
10 새로운 나라, 조선이 세워지다
역사 탐구 1 고려 말 두 명장, 최영과 이성계
2 위화도 회군
3 정도전과 이방원
역사 해석 1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뀌면서 무엇이 달라졌을까?
2 정도전이 꿈꾼 조선
역사 토론 왕권 정치와 신권 정치 가운데 어떤 정치가 더 백성을 위한 것인가?
11 조선, 나라 틀을 갖추다
역사 탐구 1 조선 시대 토지 제도
2 유교와 풍수지리를 조화시킨 한양 천도
3 태종, 왕권을 강하게 만들다
역사 해석 1 토지 제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다
2 천도는 왜 했을까?
역사 토론 태조 이성계는 왜 한양으로 가려고 했을까?
12 빛나는 세종 시대
역사 탐구 1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2 조선 최고 과학자, 장영실
3 천문 기지 제작과 역법서 편찬
역사 해석 1 신하들은 왜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을까?
2 세종, 인재 등용에 특별함이 있었다
역사 토론 장영실은 왜 다시 등용되지 않았을까?
13 세조와 성종, 그리고 《경국대전》
역사 탐구 1 계유정난, 수양 대군이 왕위를 빼앗다
2 단종 복위 운동, 사육신과 생육신
3 국가 안정을 이룬 성종
역사 해석 1《경국대전》은 왜 만들어졌을까?
2 《경국대전》도 한계가 있었다
역사 토론 계유정난은 반역이었을까, 나라를 위한 결단이었을까?
14 사림이 화를 입다, 4대 사화
역사 탐구 1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사화가 시작되다
2 중종반정과 기묘사화
3 을사사화
역사 해석 1 중종은 훈구파 음모 때문에 조광조를 버린 것일까?
2 임꺽정은 의적일까? 도적일까?
역사 토론 문정 왕후는 악녀일까? 당당한 여성 정치가일까?
15 임진왜란과 전후 복구
역사 탐구 1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2 이순신과 한산도 대첩
3 스스로 일어나 전세를 뒤집은 의병
4 전후 복구와 중립 외교
역사 해석 임진왜란 초반 조선이 무기력하게 당한 까닭은?
역사 토론 조선은 임진왜란에서 승리했을까? 패배했을까?
16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역사 탐구 1 인조반정과 정묘호란
2 병자호란
3 효종과 북벌 정책
역사 해석 1 엇갈린 두 형제,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
2 북벌은 가능한 정책이었나?
역사 토론 인조반정은 반정일까, 반란일까?
첨삭 지도
-학습 가이드 & 예시 답안
테마가 있는 부록
-지역별로 알아보는 유물과 유적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