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Re-Start 또는 세상의 모든 고전: 서양사상편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통일 Re-Start 또는 세상의 모든 고전: 서양사상편

로즈
2025-04-28 10:48 1 0

본문




통일 Re-Start
9788928625222.jpg


도서명 : 통일 Re-Start
저자/출판사 : 코리아연구원, 타임북스
쪽수 : 368쪽
출판일 : 2014-04-16
ISBN : 9788928625222
정가 : 20000

1부. 정치?통일

1.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나는 당신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지만”: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정치 제도에 대한 불신과 불안한 한국 민주주의
한국의 인종주의
혼합체제와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채동욱 논란과 민주주의
동북아시아 각국의 국민행복 슬로건
안보교육, 효과와 역효과
복지국가 건설과 창조경제 실현

2. 남북관계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성공 조건
B-52 출현과 한반도의 봄
개성공단, 정상화의 길?
북한핵 피로감과 정치군사적 대응전략
1차 ‘신뢰 프로세스’ 위기, 그 실태와 해법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위기관리 능력 진단
한반도 위기와 통일개념 재정립의 필요성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체화를 위한 4대 과제
이산가족 고령화와 이산가족 상봉 신속추진 필요성
2차 남북관계발전 기본계획의 내용과 과제
끝나는 정전 60주년, 새로 시작할 평화 프로세스
청와대 NSC 부활의 의미
이산가족 상봉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통일준비위원회와 2015년 분단 70년의 전망

3. 북한의 정치와 군사

북핵문제 대타협과 대파국의 갈림길
2013년 한반도 위기의 실체
북핵위협, 억지용인가? 협상용인가? 국내정치용인가?
북한의 대남정책 결정기구와 편제
북한, 강화된 핵능력 위에 경제와 평화로 가는가?
노동당의 기능 강화와 김정은 체제
‘초보권력’ 김정은 정권의 ‘민심’ 장악 전략
장성택 처형과 한국의 민주주의

2부. 외교?통상

1. 한반도와 미국

오바마 제2기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한반도
미국의 한반도정책 결정요인과 전망
북미 직접대화를 위한 북한의 선택지
미국외교의 딜레마: 신고립주의와 매권안정론 사이에서
미국인들의 남북한에 대한 무지와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2. 한반도와 중국

중국의 부상과 한국 외교의 방향: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한반도 위기와 중국 역할론
2013년 한반도 위기와 중국의 고민
북한에게 의표를 찔린 중국, 어떤 수를 던질 것인가?
“한반도 안정과 평화,” 대중정책의 키워드
애물단지 한중 FTA를 어떻게 처리할까?
중국의 대외정책 변화에 대한 논쟁

3. 한반도와 일본

아베(安倍)정권의 동아시아정책과 한반도
일본 아베정권의 우경화, 그리고 대북한 접근
아베정권의 전략외교: 이념과 실체
동북아 군비경쟁과 지역통합의 대안모색
중일간 영토분쟁과 한일 갈등 : 분석과 모색

4. 한반도와 러시아

동북아 평화번영 위한 대러시아 외교 방향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결정요인
러시아 비자 면제와 동북아 정세 변화
한러 정상회담 한러 FTA




세상의 모든 고전: 서양사상편
9788984353343.jpg


도서명 : 세상의 모든 고전: 서양사상편
저자/출판사 : 반덕진 엮음, 가람기획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4-10-10
ISBN : 9788984353343
정가 : 20000

추천의 말
머리말

41. 역사 - 기원전 5세기 동서양 최초의 전쟁사
42. 국가 - 철인 왕이 다스리는 이상 국가
43. 정치학 - 국가와 정치 그리고 행복의 문제를 다룬 정치철학서
44. 의무론 - 사람의 도리를 담아 아들에게 보낸 편지
45. 게르마니아 - 고대 게르만 민족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
46. 고백록 - 젊은 날의 방황을 담은 아름다운 구원의 서
47. 군주론 -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48. 유토피아 - 세상 어디에도 없는 곳
49. 전쟁과 평화의 법 -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
50. 두 우주 구조에 관한 대화 - 그래도 지구는 돈다
51. 신논리학 - 지식이 힘이다
52. 방법서설 -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53. 리바이어던 -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중단하라
54. 프린키피아 - 천상의 법칙과 지상의 법칙을 통일하다
55. 정부론 - 300년 전에 그린 근대 자유민주주의의 설계도
56. 신학문의 원리 - 데카르트의 학문론을 비판한 새로운 학문론
57. 법의 정신 - 삼권분립론에 의한 법치주의 이론서
58. 사회계약론 - 프랑스혁명 정신의 횃불
59. 범죄와 형벌 - 사회계약설에 기초한 형벌권 확립
60. 국부론 - 정치경제학의 고전
61. 형이상학 서설 - 형이상학을 새롭게 말하다
62. 역사철학강의 - 세계 역사는 ‘세계 정신’의 변증법적 과정
63. 미국의 민주주의 - 미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최초의 이론서
64. 실증철학강의 - 경험적 관찰을 통한 실증주의의 확립
65. 권리를 위한 투쟁 - 권리는 싸워서 얻는 것
66. 종의 기원 - 인간은 원숭이에게서 왔는가?
67. 자유론 -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이론서
68. 고대법 - 신분에서 계약으로
69. 자본론 - 자본주의를 비판한 사회주의 성서
70.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신은 죽었다
71. 자살론 - 자살은 사회적 현상이다
72. 꿈의 해석 - 의식의 세계에서 무의식의 세계로
73. 창조적 진화 - 진화란 기계적 과정이 아닌 창조적 과정
74. 슬픈 열대 - 서양의 눈으로 비서양을 보지 말라
75. 생의 비극적 감정 - 조국의 참담한 현실을 보는 스페인 지성의 철학적 성찰
76. 일반언어학 강의 - 구조주의 언어학의 출발점
77.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자본주의적 인간의 일생 보고서
78. 옥중수고 - 감옥에서 쓴 마르크스주의 이론서
79. 존재와 시간 - 인간은 존재 물음을 던지는 유일한 존재자
80. 중세사회 - 봉건제를 통해서 본 총체적 중세사
81. 아동지능의 근원 - 인간은 태어나서 어떻게 성장하고 발달하는가?
82.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 자본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83. 예종에의 길 - 사회주의는 인간을 노예로 만든다
84. 심리학과 종교 - 집단 무의식으로 심리학의 새로운 장을 열다
85. 지각의 현상학 - 철학의 관심을 의식에서 몸으로 바꾸다
86. 생명이란 무엇인가 - 물리학적 관점에서 본 생명 현상
87. 철학적 성찰 - 철학의 문제는 언어에 대한 오해에서 생긴다
88. 시각예술에서의 의미 - 인문학적 관점에서 쓴 미술사
89. 인간현상 - 우주의 생성에서 인간의 출현까지의 진화 과정 묘사
90. 순수법학 - 법은 오직 당위로부터 도출된다
91. 진리와 방법 - 진리의 복권을 향한 ‘철학적 해석학’의 대장정
92.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 계급 형성과 노동사 연구의 빛나는 이정표
93. 인식과 관심 - 모든 인식은 인식 주체의 삶의 관심에서 나온다
94. 부분과 전체 -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
95. 지식의 고고학 - 푸코 철학의 해설서
96.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은 혁명적으로 변화한다
97. 정의론 - 공정으로서의 정의를 말하다
98. 성과 속 - 거룩한 시간과 공간을 찾아서
99.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민중생활로 본 15~18세기 세계경제사
100. 책임의 원리 - 인간 중심적 자연관에 책임의 윤리를 묻다

부록 - 서울대 선정 동서고전 200선 목록 및 분류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