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으로 본 조선 또는 전문가를 위한 10년 활용 리눅스 시스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논쟁으로 본 조선 또는 전문가를 위한 10년 활용 리눅스 시스템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논쟁으로 본 조선
9788936810627.jpg


도서명 : 논쟁으로 본 조선
저자/출판사 : 이한, 청아출판사
쪽수 : 440쪽
출판일 : 2014-08-30
ISBN : 9788936810627
정가 : 18000

논쟁1. 한성 천도 논쟁
한성 천도 논쟁 일지
주요 인물
들어가는 글 - 서울이 아직 서울이 되기 전

천도의 첫 번째 발안자, 태조 이성계
첫 번째 수도 예정지, 계룡산
천도의 또 다른 걸림돌, 중국과의 외교 분쟁
새로운 도읍 예정지 무악 그리고 풍수지리의 대두
무악 도읍 토론회
정종, 개경으로의 환도
태종, 두 번째 천도 논쟁
훌륭한 핑계 거리, 한양 천도
막판 뒤집기, 아버지의 부탁
한성인가, 무악인가? 2차 토론회
도읍의 운명을 정한 동전 던지기

맺음말 - 태조와 태종, 신하를 휘두르다

논쟁2. 공법 실시 논쟁
공법 실시 논쟁 일지
주요 인물
들어가는 글 - 토론왕, 세종

1차 공법 시행 논쟁
조선 최대 규모의 관리, 백성 합동 여론조사
9년 후, 2차 공법 시행 논쟁
사람이 할 일을 다했거늘, 하늘이 따라주지 않다
난장판 토론 그리고 날치기 통과
계속되는 시행, 계속되는 반대
마침내 시행!
세종,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다
또다시 시작된 공법 토론
나물을 먹는 백성들, 청안현의 토지 구획 실험

맺음말 - 조선 최대의 마라톤 토론

논쟁3. 1차 예송 논쟁
1차 예송 논쟁 일지
주요 인물
들어가는 글 - 사대주의의 폐해, 예송 논쟁

예송 논쟁의 원인
효종의 승하
허목 VS 송준길, 첫 번째 논쟁의 막이 오르다
실록을 참고하다
송시열, 반격에 나서다
윤선도, 불꽃에 기름을 퍼붓다
학술적인 토론에서 패싸움으로
비난하는 자와 옹호하는 자
서인 원두표, 3년 복을 옹호하고 나서다
1차 예송 논쟁의 정리

맺음말 - 예송 논쟁, 또 하나의 마무리

논쟁4. 2차 예송 논쟁
2차 예송 논쟁 일지
주요 인물
들어가는 글 - 1차 예송의 후폭풍

1차 예송에서 2차 예송으로
2차 예송 논쟁의 시작
현종, 서인에게 칼을 빼들다
왕과 신하, 맞짱을 뜨다
2차 예송 논쟁, 둘째 날
현종 VS 김수흥, 한판 붙다
2차 예송 논쟁의 종말
그 후의 이야기

맺음말 - 이기심과 아집의 대결

논쟁5. 문체반정 논쟁
문체반정 논쟁 일지
주요 인물
들어가는 글 - 문체반정의 시작

타락한 문체
소설체의 등장
정조, 신하들과 과거의 폐단을 논하다
본보기 희생자, 이옥
잘못된 문체는 나라의 탓이다, 고로 반성문을 써라
박지원의 반성문

맺음말 - 문체반정의 끝

참고 문헌




전문가를 위한 10년 활용 리눅스 시스템
9788994506524.jpg


도서명 : 전문가를 위한 10년 활용 리눅스 시스템
저자/출판사 : 나카이 에츠지, 제이펍
쪽수 : 424쪽
출판일 : 2013-04-24
ISBN : 9788994506524
정가 : 27000

01장 모르면 손해 본다! 꼭 알아두면 좋은 Linux 내부 구조 1
1.1 Linux의 기초는 디스크, 프로세스, 메모리 2
1.2 디스크와 파일에 관련된 이것저것 4
1.2.1 디스크의 기하학 4
1.2.2 오래됐지만 새로운 파티션 테이블 8
1.2.3 파일 시스템과 I/O 서브시스템을 생각하다 15
1.3 프로세스를 정복하는 자가 Linux를 정복하리라 28
1.3.1 fork와 exec는 프로세스의 분신과 변신 28
1.3.2 작업 제어의 이것저것 36
1.3.3 파이프라인으로 하는 빠른 데이터 처리 42
1.4 메모리 관리의 세계로 한 발 더 나아가자 54
1.4.1 물리 메모리의 분류 55
1.4.2 메모리 할당과 릴리즈 68
1.4.3 컨텍스트 스위치와 페이지 테이블 75

02장 장치가 없다고 변명하지 말자! 가상화를 이용한 인프라 환경 구축 81
2.1 인프라 엔지니어의 성장은 혼자 하는 연습에서부터 82
2.2 Linux KVM으로 가상 네트워크 삼매경 86
2.2.1 가상 네트워크 구성과 가상 머신의 구축 87
2.2.2 DNS 서버의 구축 101
2.2.3 메일 서버 구축 119
2.3 가상 머신으로 HA 클러스터도 혼자 연습해 보자! 128
2.3.1 HA 애드온의 이해 128
2.3.2 호스트 Linux 준비와 가상 머신의 구성 134
2.3.3 HA 애드온 도입과 구성 142
2.3.4 HA 애드온 도입과 구성 159

03장 열 번 승부! 스스로 만든 스크립트를 이용한 커맨드의 활용 163
3.1 간단하고 효과적인 쉘 스크립트 164
3.2 쉘 스크립트의 기본 룰 166
3.2.1 쉘 스크립트의 동작 확인 166
3.2.2 인용부의 사용법 167
3.2.3 조건 판단을 작성하는 법 170
3.2.4 배열과 위치 파라미터의 사용법 174
3.2.5 커맨드 치환과 수치 연산 176
3.3 쉘 스크립트로 승부! 179
3.3.1 [첫 번째 승부] 경유 서버로 배우는 핵심: 기본 파라미터 + 예외 처리 179
3.3.2 [두 번째 승부] 분산 쉘로 배우는 핵심: 기본 패턴과 파이프라인 184
3.3.3 [세 번째 승부] 프로세스 감시로 배우는 핵심: 상태 이동 다루기 192
3.3.4 [네 번째 승부] 핵심 번외편: 일괄 작업(batch)은 make에게 맡기자 197
3.3.5 [다섯 번째 승부] 스냅샷으로 배우는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로그를 다루자 202
3.3.6 [여섯 번째 승부] 클라우드 백업으로 배우는 핵심: 사고 실험으로 처리의 흐름을 생각하자 207
3.4 Perl 스크립트로 승부! 218
3.4.1 [일곱 번째 승부] 자동 집필로 Perl을 즐기자 218
3.4.2 [여덟 번째 승부] 자동 트윗으로 Perl의 편리함을 체험 232
3.4.3 [아홉 번째 승부] 프로세스 감시로 fork를 마스터하자 236
3.4.4 [열 번째 승부] 마지막 필살기: Perl과 파이프라인의 연동 243

04장 최후의 보루, 커널 소스를 읽자! 251
4.1 소스 코드를 책을 읽듯이 읽자 252
4.2 커널 소스가 걷는 법 254
4.2.1 LIinux 커널의 빌드 순서 254
4.2.2 커널 소스 탐색 입문 259
4.2.3 구조체와 포인터 완전 분석 266
4.3 주요 서브시스템을 탐색하자 276
4.3.1 프로세스 관리 서브시스템 276
4.3.2 메모리 관리 서브시스템과 만나다 294
4.4 커널 소스 분석의 예 313
4.4.1 커널 내부의 시스템 시각 313
4.4.2 윤초 발생의 시간 317
4.4.3 더 깊은 탐구를 위한 가이드 331

05장 한 걸음 더 나아가자! RHEL6 신기능 총집합 333
5.1 코모디티화되는 하드웨어를 지탱하는 ‘진화하는 OS’ 334
5.1.1 ex4 파일 시스템의 채용 335
5.1.2 NetworkManager 서비스의 도입 337
5.1.3 dracut에 따른 초기 RAM 디스크의 작성 340
5.1.4 anacron에 따른 정기 작업 실행 345
5.2 서버 가동 처리를 바꾸는 Upstart 350
5.2.1 Upstart의 개요 350
5.2.2 Upstart 작업의 작성 예 356
5.3 Control Group으로 리소스 배분 컨트롤 360
5.3.1 Control Group의 개요 360
5.3.2 각 서브시스템의 주요 파라미터 362
5.3.3 cg 커맨드 그룹을 이용한 관리 371
5.3.4 가상 머신에 대한 cggroup의 조작 374
5.4 LXC로 컨테이너형 가상화 기술 체험 376
5.4.1 컨테이너형 가상화 기술의 개요 376
5.4.2 컨테이너에 따른 웹 서버의 가동 379
5.4.3 기타 컨테이너 설정 385

찾아보기 39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