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이기는 힘 또는 호모 이마고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나를 이기는 힘

도서명 : 나를 이기는 힘
저자/출판사 : 고유봉, 무한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4-04-15
ISBN : 9788956013336
정가 : 13000
프롤로그
1장 가능성을 최고치로 끌어내라
1. 행동의 변화를 만들다
2. 당신이 답이다
3. 코칭 vs 컨설팅 vs 카운슬링
4. 코칭리더십이란?
2장 질문의 숨겨진 힘
1. 질문을 하면
2. 왜 질문을 못하나
3. 항우와 유방의 싸움
4. 즉답질문과 생각질문
5. 질문은 긍정과 미래형으로
6. 주의해야 할 Why 질문
7. 좋은 질문 5원칙
8. 질문 시 바람직한 보디랭귀지
9. 다양한 질문법
3장 상대의 가슴을 뛰게 하라?행동유형별 솔루션
1. 계획이 실천으로 연결되게 하라
2. 파도(PARDO+F)모델
3. DISC 진단
4. 주도형의 특성과 코칭
5. 사교형의 특성과 코칭
6. 안정형의 특성과 코칭
7. 신중형의 특성과 코칭
4장 소통의 리더십
1. 경청의 기적
2. 칭찬의 기적
3. 히딩크의 리더십
4. 갈등과 위기 다루기
5. 정제되고 유연한 언어를
6. 장점과 상상력 키우기
7. 다양성과 변화의 수용
8. 임파워링과 열정
5장 스스로 변하게 하라?조직과 임원
1. 왜 조직과 기업에 코칭인가
2. 코칭은 조직과 기업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나?
3. 삶의 균형을 찾다
4. 회사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법
6장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게 하라?팀과 리더
1. 팀이란 무엇인가
2. 코치와 팀 리더의 역할
3. 팀 빌딩과 그라운드 룰
4.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5. 브레인스토밍 하라
참고문헌
호모 이마고

도서명 : 호모 이마고
저자/출판사 : 우성주, 한언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3-04-05
ISBN : 9788955966596
정가 : 28000
추천의 글
프롤로그 21세기 디지털 시대, 왜 다시 이미지의 역사를 논하는가
- 우리는 모두 이미지로 생각하는 인간, 호모 이마고이다
- 이미지 하나에도 인류의 과거와 미래가 담겨 있다
1부 이미지의 탄생
들어가는 말
1장. 이미지와 인류 문명의 태동
- 수렵인들은 왜 무덤을 만들었을까
- 구석기인들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그렸다
2장. 라스코 동굴벽화에 깃든 신성성
- 그들은 왜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벽화를 남겼을까
- 살고 있는 지역은 달라도 감성은 같았다
(1) 성스러운 시간
- 라스코 동굴에는 다섯 개의 갤러리가 있다
[뿔의 상징: 번식력과 생명력]
(2) 성스러운 공간
- 어머니의 자궁으로 다시 들어가다
(3) 성스러운 인간
- 인물, 들소, 솟대처럼 생긴 새가 만들어내는 스토리텔링
- 샤먼은 왜 새의 얼굴을 하고 있을까
[구석기인들의 상상력이 만든 라스코 동굴벽화]
- 누가 왜 동굴에서 의식을 행하였는가
- 사냥에는 샤먼의 꿈이 담겨 있다
3장. 여성의 이미지
- 여신, 생명의 원천이자 동물의 수호신
(1) 삶과 죽음, 그리고 하늘을 관장했던 지모신
- 얼굴 없는 구석기시대의 비너스
- 여신의 머리카락과 하늘의 비 그리고 염원
(2) 신석기 혁명이 낳은 대지의 여신, 여사제
- 농경의 시작과 여성 샤먼의 등장
(3) 시대마다 달라지는 아름다움, 미의 변천사
- 바다에서 탄생한 아프로디테
- 최고로 아름다운 여신과 절름발이 신의 결혼
2부 이미지와 역사
들어가는 말
1장. 이미지와 문자
(1) 이미지와 문자의 운명
- 문자 출현 후 이미지는 어떻게 되었는가
(2) 죽음의 이미지
-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의 장례 문화
[문자와 이미지를 연결하는 신 개념: 영상의 탄생]
(3) 역사의 산 증인, 이미지 기록과 문자 기록
- 신화와 종교, 관념과 제도가 함께 숨 쉬는 이미지 기록
- 트로이의 전설, 역사적 현실이 되다
2장. 이미지와 상징 그리고 신화
- 이미지와 상징, 본래 그대로의 인간을 드러내다
- 한 점의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문화 퍼즐
3부 이미지와 문명
들어가는 말
1장. 이미지와 인간
- 멕시코에는 갈색 피부의 성모마리아가 있다
(1) 보편성 속의 특수성,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 창조신화 속 태초의 이야기들은 왜 서로 닮아 있는가
- 고대 그리스의 여성들도 널뛰기를 하였다
(2) 신화 속 삶과 죽음의 이미지
- 신화, 생과 사의 고리를 끊고 영원한 삶을 갈망하다
-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 통과의례를 거친 자만이 영웅이 될 수 있다
- 나비가 된 프시케: 마음의 고난을 이겨낸 자만이 영혼으로 승화한다
[죽음 너머의 세계를 꿈꾼 이집트, 완벽한 아름다움을 갈망한 그리스]
2장. 이미지와 문화
- 이미지를 탄생시킨 문화, 문화를 탄생시킨 이미지
1) 자연환경과 건축양식
- 이집트 신전에는 있는 것이 왜 그리스 신전에는 없을까
[소통의 도시로 거듭난 아테네의 비결: 고대 그리스의 건축과 축제 문화]
- 아고라와 노천극장: 토론 문화를 탄생시킨 공공의 건축물
- 새 출발에 대한 인류의 희망, 축제를 낳다
(2) 이미지와 예술표현양식
- 이집트에선 깃털을 꽂고, 그리스에선 투구를 쓴 정의의 신
- 이집트의 인물 이미지는 왜 항상 측면으로 서 있을까
- 파라오만을 위한 피라미드, 시민들을 위한 그리스의 조촐한 비석
- 헬레니즘 시대, 절대적 미에서 벗어나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3)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 이집트에서는 하늘을, 그리스에서는 땅을 다스린 창조신화 속 여신
- 남녀노소를 위한 이집트의 축제, 남자 배우만 등장하는 그리스의 연극
- 고대 그리스의 여성은 오직 가사노동에만 집중했다?
에필로그 문화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시선, 우리는 과연 누구인가
부록
- 주
-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