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를 담은 가야금. 1 또는 태권도뎐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사유를 담은 가야금. 1

도서명 : 사유를 담은 가야금. 1
저자/출판사 : 박명숙, 관음출판사
쪽수 : 316쪽
출판일 : 2013-09-20
ISBN : 9788977111578
정가 : 20000
여는 글·7
1장_ 사유(思惟)
01 별아·13
02 그 길이·15
03 향기·18
04 살아 있음의 의미·21
05 무엇이며, 누구십니까?·23
06 의미·25
07 향로(向路)·26
08 제행무상·29
09 시간·30
10 삶은·33
11 나와 남·35
12 하고 싶은 말은·43
13 말과 침묵·52
14 사람과 사랑·57
15 소리와 생각의 공통점·61
16 자유·72
17 평등·86
18 자연과 인간·120
19 지구가 아프다·130
2장_ 생명(生命)
01 삶·143
02 아픔(恨)·144
03 아리랑 길·146
04 막연한 동경·148
05 명(命)·150
06 생과 사·152
07 축복 24시·156
08 살아 있음의 축복·158
09 황금 꽃·160
10 신기루·162
11 시바의 춤·164
12 물불흙바람허공·166
13 다른 모양과 더불어 사는 곳·169
14 축제·172
15 낙원·177
16 행복의 삶·196
17 존재의 가치와 행복·227
18 오직 사랑뿐이다·230
19 신(神)보다 물이 소중하다·251
20 나눔·255
21 꿈·263
22 생명체의 의식과 지능·268
23 인간 사회교육·291
책을 밝간하며 ·313
태권도뎐

도서명 : 태권도뎐
저자/출판사 : 서성원, 애니빅
쪽수 : 396쪽
출판일 : 2014-09-15
ISBN : 9788997617647
정가 : 18000
제1장 태권도 현대사 서사
1. 태권도 5대 모체관의 태동과 특징
가. 청도관(靑濤館)
나. 무덕관(武德館)
다. 조선연무관 권법부(朝鮮演武館 拳法部)
라.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권법부(拳法部)
마. 송무관(松武館)
2. 태권도 모체관 개관자의 이력과 행보
가. 청도관 이원국(李元國)
나. 무덕관 황기(黃琦)
다.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권법부 윤병인
라. 송무관 노병직(盧秉直)
3. 모체관에서 파생된 신흥관의 특징
4. 현대 태권도 초기의 현안과 쟁점
가. 대한공수도협회 창립과 한계
나. 최홍희와 대한태권도협회
다. 대한태수도협회 창립과 내부 갈등
라. 대한태수도협회 초대 회장 추대 과정
마. 대한태수도협회 승단심사제도 통합
바. 최홍희 등장과 대한태권도협회 재출범
사. 1965년 무덕관 내부 분열
아. 대한태권도협회와 국제태권도연맹 간의 분규
5. 1960년대 태권도 경기화 과정
6. 파월 태권도 교관단의 활약
7. 국기원 건립과정과 초창기 발자취
8. 태권도 관(館) 통합 전개과정과 의미
9. 여성 태권도 발전과정과 흐름
10. 태권도와 올림픽
11. 중국 태권도 현황과 발달과정
12. 장애인 태권도 발전과정과 과제
13. 태권도 공연예술극의 흐름과 실태
14. 북한 태권도의 흐름과 특징
제2장 태권도 현대사 쟁점과 담론
1. 태권도 사관 논쟁과 역사 담론
가. 기존의 태권도 역사 서술과 논쟁
나. 태권도 문화주의 사관을 제창함
다. 최홍희는‘태권도 창시자’일까
라. 태권도와 경주·화랑의 밀접성 재고해야
2. 태권도 명칭 제정과 휘호 논란
3. 태권도 서적의 흐름과 특징
4. 태권도원을 둘러싼 논란과 과제
5. WTF·ITF 통합 움직임과 남북 태권도 교류6
6. 태권도 바로세우기운동의 성과와 한계
제3장 태권도 현대사 인물비평
1. 김운용
가.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하며 외교관 꿈꾸다
나. 1971년 태권도계에 첫발을 내딛다
다. 태권도 중앙도장, 국기원 시대를 열다
라. 태권도 스포츠 세계화에 전력하다
마. 1980년대 위기와 태권도 세계화 행보
바. 태권도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에 기여하며 승승장구
사. 2000년대 ; 퇴진 요구와 구속, 명예회복하다
2. 최홍희
가. 일본 유학시절 가라테를 접하다
나. 국군 장성이 되어 무술을 장려하다
다. 태권도 명칭 작명과 이승만 태권도 휘호 논란
라. 국군태권도시범단장과 말레이시아 대사 역임
마. 태권도 제도권 복귀와 활발한 저술 활동
바. 국제태권도연맹 창설과 대한태권도협회와의 갈등
사. 캐나다로 망명, 고국과 등을 지다
아. 북한에 태권도 보급하며 세계태권도연맹과 대립
자. 국제태권도연맹 내분 속 평양에서 타계
3. 이종우
가. 2014년 7월, 이종우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나. 1950년대 ; 지도관을 확장하며 꿈을 키우다
다. 1960년대 초 ; 대한태수도협회 창립에 앞장서다
라. 최홍희와 반목, 다른 길을 걷다
마. 1970년대 ; 김운용과 태권도 청사진을 구상하다
바. 1980년대 ; 시련과 절치부심
사. 1990년대 이후 ; 태권도 연구와 전자호구에 심취
아. 태권도 역사에 남다른 관심, 가라테 유입설 인정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