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도전 또는 원자력 트릴레마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교사의 도전 또는 원자력 트릴레마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교사의 도전
9788980406845.jpg


도서명 : 교사의 도전
저자/출판사 : 사토 마나부, 우리교육
쪽수 : 248쪽
출판일 : 2013-03-25
ISBN : 9788980406845
정가 : 12000

서장
배움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창조 8

제1장 서로 듣는 관계에서 배우는 관계로 27
교실의 조용한 혁명 28
아이들을 성실하게 대하기 36
수업 스타일을 바꾸다 44
“모르겠어요”라고 말할 수 있는 교실 52

제2장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다 61
부드럽게 서로 영향을 주는 교실 62
개인에 대한 대응과 관계 70
질문을 공유하며 깊이 배운다 78
탐구하는 사고를 연결하기 86
조사하는 활동에서 탐구하는 활동으로 94

제3장 서로 탐구하는 수업 만들기 103
발견과 놀라움을 연결하여 협동적 탐구로 104
서로 듣는 관계에서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로 112
아이, 배움의 주인공 120
이미지와 사고를 교류하는 교사의 응답 128
교사의 탐구가 아이의 배움을 뒷받침하다 136

제4장 수업 만들기에서 학교 개혁으로 145
학습 참가 실천
-학부모와 연대하여 수업을 만들다 146
신뢰로 맺어진 커뮤니티 만들기 154
통지표 개혁
-하마노고초등학교 162

제5장 서로 배우는 교실 만들기-해외에서 171
‘배움의 공동체’ 현재 모습
-레조 에밀리아 유아 학교 방문기 172
맥시코 초등학교에서
-조용한 수업 개혁의 흐름 180
보스턴 작은 학교의 큰 도전 188
파리 교외의 초등학교에서
-서로 배우는 교실 창조 196
배움을 이어 주는 민주적 커뮤니티
-케임브리지 시 작은 학교 203

제6장 배움을 촉발하고 지원하는 일 211
배움의 성립 212
독백Monolog의 배움을 넘어서 221
서로 배우는 관계 231
개혁의 거점 학교를 준비하다 241

후기
교실 여행은 계속된다 246




원자력 트릴레마
9788972915423.jpg


도서명 : 원자력 트릴레마
저자/출판사 : 김명자 , 최경희, 까치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3-05-24
ISBN : 9788972915423
정가 : 15000

책을 펴내며
서문

제1장 원자력 발전의 역사
1. 세계의 원자력 발전이 걸어온 길
2.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이 걸어온 길
3.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원자력 동향

제2장 원자력 커뮤니케이션과 PR
1. 원자력 PR의 이론적 모델과 국내외 동향
1) 원자력 PR의 특성
2) 원자력 PR의 모델
3) 원자력 PR과 안전규제 기관
4) 해외 안전기준 동향
5) 국내 원자력 홍보사업
6) 해외 원자력 PR 동향

2. 한국PR학회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정부-국민 간 소통 방안’ 심포지엄 발제자료 요지
1) ‘정책홍보 3.0을 열기 위한 과제’
2) ‘원자력 안전과 신뢰 증진 방안’
3) ‘대국민 소통과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고찰’
4) ‘원전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성공적 소통 전략’
5) ‘원전과 지역사회 갈등 구조에 관한 소고: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중심으로’
6) ‘수사적 관점에서의 원전 PR’
7) ‘PR 커뮤니케이션 전략에서의 위험과 갈등의 통합적 접근’
8) ‘원전에 대한 수용자 인식에 따른 장단기 소통 전략’
9) ‘고리 원전 1호기 안전한가?’
10) ‘총괄적 결론과 정책 제언’

3. 원자력 PR에 대한 과학기술적 메타 분석
4. 원전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전환:융합적 접근
5. 원자력 PR의 패러다임 전환
6. 원자력 소통의 실행 원칙

제3장 후쿠시마 사고 전후 국가별, 시기별 원자력 여론 동향 분석
1. 글로벌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 추이
1)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의 원자력 인식조사
2) 2008년 국제원자력기구의 4개국 대상 여론조사 결과(1970-2008)
3) WIN-갤럽 인터내셔널의 47개국 대상 여론조사
4) 2011년 《아사히신문》의 7개국 대상 여론조사
5) 2011년 5월 입소스와 로이터 통신 공동의 24개국 대상 여론조사
6) BBC World Service Poll의 23개국 대상 여론조사

2. 국가별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 추이
1) 원전 가동국의 사회적 여론과 정책:무엇이 변수인가
2) 친원전 국가
3) 반원전 국가
4) 후쿠시마 사고 이후 친원전에서 중립으로 바뀐 국가군
5) 신규 원전 도입 국가

3. 국내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는 어떤가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여론조사(2011.12)
2)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여론조사(2012.5)
3) 《동아일보》 원자력 인식 설문조사(2012.3)
4) 현대경제연구원 원자력 에너지 안정성에 대한 대국민 조사(2012.3)
5) 국회의원 홍의락 의원실 에너지 인식조사(2012.10)
6) 시민단체 여론조사

4.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전문가 여론조사
1) 과학기술계 원자력 인식조사(2012. 8)
2) 과학기술계 원자력 인식조사(2012.12)

5. 원자력 언론보도 메타 분석:후쿠시마 사고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달라졌나
1) 미디어 담론과 분석 프레임
2)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한 달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3) 후쿠시마 사고 전후 1년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4) 고리 원전 사고 이후 한 달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6. 원자력 여론조사와 정책의 상관관계:원자력을 보는 세 가지 시각

제4장 원자력 여론 원탁 대화록:여성 과학기술계 중심으로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업 목록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