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갈등 이렇게 타개하라 또는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공공갈등 이렇게 타개하라

도서명 : 공공갈등 이렇게 타개하라
저자/출판사 : 로렌스 서스카인드 , 제프리 크루익생크, 지식의날개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3-09-10
ISBN : 9788920011825
정가 : 19000
옮긴이 서문 ─ 5
감사의 글 ─ 9
제1장 서 론 ─ 13
제2장 갈등해소의 이론과 실제 ─ 29
타협: 배분적 분쟁을 다루기 위한 전략ㆍ34
협상을 통한 분쟁해결의 좋은 결과ㆍ36
공정성ㆍ37 / 효율성ㆍ42 / 지혜ㆍ45 / 안정성ㆍ48
승패게임에서 모두가 이익이 되는 해결책으로ㆍ51
제3장 갈등해소 어려움의 원천 ─ 53
다수의 폭력ㆍ59
리버엔드 갈등사례: 환경 vs. 개발ㆍ62
장기적인 이행약속의 부족ㆍ68
사회복지서비스 우선순위 설정ㆍ72
선거과정의 단점들ㆍ77
하몬 카운티 하수정화 갈등사례ㆍ81
정치적 구호를 압도하는 기술적 복잡성ㆍ88
다이옥신 분쟁사례ㆍ91
승자독식 사고방식ㆍ96
원주민 어업권 갈등사례ㆍ99
개선된 임시방편적 접근법들ㆍ103
제4장 지원 없는 협상 ─ 107
제로섬 협상 vs. 통합적 협상ㆍ114
증폭과 함정ㆍ119
합의형성의 3단계ㆍ124
사전협상단계ㆍ125
시작ㆍ125 / 조던 레인 갈등사례ㆍ127 / 대표자 선발ㆍ131 /
협상운영규칙 초안 마련과 의제설정ㆍ139 / 공동사실조사ㆍ144
협상단계ㆍ148
상호 이익을 위한 대안창출ㆍ148 / 일괄합의ㆍ152 / 합의문 작성ㆍ155 /
당사자의 합의이행 약속ㆍ157 / 인준ㆍ159
사후협상단계ㆍ163
비공식적 합의를 정부의 공식적 의사결정과정으로 연결하기ㆍ163 / 이행 모니터링ㆍ164 /
재협상 조건 만들기ㆍ165
지원 없는 협상의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ㆍ166
제5장 조정 및 다른 유형의 지원기반 협상 ─ 169
시작하기ㆍ172
제3자의 역할과 기능ㆍ175
지원기반 협상의 세 가지 유형ㆍ186
회의촉진ㆍ187 / 리버엔드 사례에서의 회의촉진ㆍ188
다이옥신 갈등사례에서의 회의촉진ㆍ193 / 회의촉진: 요약ㆍ198 / 조정ㆍ199
어업권 갈등사례에서의 조정ㆍ203 / 광역하수처리시설 분쟁사례에서의 조정ㆍ206
사회복지서비스 포괄보조금 배분 갈등사례에서의 조정ㆍ211 / 비구속 중재ㆍ213
제로섬에서 통합적 협상으로ㆍ217
지원기반 협상: 결론ㆍ224
제6장 실 행 ─ 227
협상의 전제조건ㆍ231
공무원: 분석, 전략, 고려사항ㆍ239
분석ㆍ237 / 전략ㆍ239 / 고려사항ㆍ244
시민: 분석, 전략, 고려사항ㆍ249
분석ㆍ249 / 전략ㆍ253 / 고려사항ㆍ255
기업 측 이해관계자: 분석, 전략, 고려사항ㆍ259
분석ㆍ260 / 전략ㆍ265 / 고려사항ㆍ270
분쟁해소의 발전과정ㆍ271
지방정부 차원ㆍ273 / 주정부 차원ㆍ277 / 연방정부 차원ㆍ279
요약ㆍ281
제7장 결 론 ─ 287
합의형성을 위한 협상접근법ㆍ289
지원 없는 협상과 지원기반 협상ㆍ291
갈등해소를 위한 합의적 접근법의 한계ㆍ293
합의협상의 약속(미래, 가능성)ㆍ298
주(註) ─ 300
찾아보기 ─ 312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

도서명 :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
저자/출판사 : 이승하, 서정시학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4-06-28
ISBN : 9788998845599
정가 : 29000
머리말 / 5
01. 한국 시문학사의 변방에서 / 15
『님의 침묵』 밖에서 찾아본 한용운의 시 ………… 13
백석이 분단 이후에 발표한 시의 의미 ………… 39
‘順伊’가 등장하는 윤동주 시 3편의 의미 ………… 59
시를 통해 본 김동리의 인간적인 면모 ………… 66
박경리가 남긴 시의 의미와 의의 ………… 87
박경리의 시에 나타난 생명사상 ………… 112
김지하의 시를 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다 ………… 138
조오현의 시에 나타난 불ㆍ법ㆍ승 ………… 160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경남 하동의 모습 ………… 179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황해의 모습 ………… 198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옛 선비들의 유배생활 ………… 218
02. 한국 문학사의 변방에서
신동엽ㆍ홍윤숙ㆍ장호ㆍ문정희의 시극 ………… 243
시인들이 왜 시조를 쓰기 시작한 것일까? ………… 272
사진이 들어가는 한국 현대시의 흐름 ………… 298
전혜린은 꺼지지 않는 불꽃인가 스스로 불어 꺼진 촛불인가 ………… 330
시인들은 핵과 원자력발전소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 왔는가 ………… 346
장르문학과 순문학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 381
벼랑에 선 한국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 ………… 391
해방 이후 이 땅에서 명멸해간 요절시인들 ………… 406
시와 무용이 만나온 길고 긴 역사 ………… 456
원산의 문학동인지 『凝香』 필화사건 전말 ………… 476
이념에 의한 문학에서 인간을 위한 문학으로-백철 비평의 의의 ………… 49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