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또는 초신성의 후예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또는 초신성의 후예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9788997735211.jpg


도서명 :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저자/출판사 : 정기문 , 김중락 , 김병준 , 홍성구 , 임기환 ,, 책과함께
쪽수 : 343쪽
출판일 : 2013-05-15
ISBN : 9788997735211
정가 : 25000

책을 내면서

1장 서양고중세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서양고중세 연구의 성과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고대사 교육 현황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중세사 교육 현황
맺음말

2장 서양근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시대별 한국서양사학의 동향과 성과
- 1970년대까지의 서양사학
- 1980년대까지의 연구동향과 성과: 해방된 주제와 지역의 등장
- 1990년대: 서양 각국사 연구의 심화
- 2000년대: 주제별 연구의 등장
- 1990년대와 2000년대: 탈유럽 중심주의와 비교사, 교류사, 지구사의 등장
- 탈유럽중심주의와 비교사, 교류사, 지구사의 등장
교육과정과 서양근현대사 연구성과의 반영
- 교수요목에서 5차 교육과정까지: '근대화의 포로'
- 6차 교육과정: 각국사 및 민중적 당파성의 반영
- 7차 교육과정: 수정주의의 반영의 실패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유럽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바른 방향의 제시
서양사 연구와 교육을 위한 제언
- 역사교육계의 담론 주도와 기다림의 미학
- 역사교사들의 연구참여 확대
- 현재와의 대화가 가능한 주제 중심의 역사교육
- 대중을 위한 역사교육
맺음말

3장 동양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세계사교과서 서술
머리말
중국고대사 연구성과와 교과서 기술
- 신석기문화의 성립과 발전
- 하 왕조의 존재
- 상대의 신정정치와 주변 청동문명
- 주의 봉건제
- 전국시대 개혁
- 제자백가
교과서의 서술 원칙 분석
- 역사적 사실과 담론
- 학계 연구성과의 신뢰성
- 교과서 집필 기준
맺음말

4장 동양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의 세계사 관련 주요 특징
북방 유목민족에 대한 새로운 연구시각과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 새로운 연구시각
- 요·금 정복왕조에 대한 서술 내용 검토
- 청조의 중국 정복에 관한 서술 내용 검토
맺음말

5장 한국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머리말
역사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검토
-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
- 중등학교 역사교육과정
- 고등학교 역사교육과정
최근 한국고대사의 연구동향과 성과
한국고대사 관련 주요 주제와 교과서 서술 방향의 모색
맺음말

6장 고려시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머리말
성취 기준과 집필 기준 분석
- '고려의 성립과 발전' 단원
- '고려 사회의 변천' 단원
8종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 '고려의 성립과 발전' 단원
- '고려 사회의 변천' 단원
맺음말

7장 한국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머리말
1960~197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1980~199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21세기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의 방향
맺음말

8장 한국근현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머리말
근대 민족운동의 흐름
식민지 조선 사회의 성격과 토지조사사업
일제하 민족해방운동
해방과 신국가 건설
박정희 정부 시기의 경제성장
맺음말

찾아보기




초신성의 후예
9788983716576.jpg


도서명 : 초신성의 후예
저자/출판사 : 이석영, 사이언스북스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4-05-30
ISBN : 9788983716576
정가 : 13000

머리글 5

1부 나의 우주는 눈을 감으면 더 잘 보인다 12
나는 별 볼 일 있는 사람이다 | 우주 속의 나 | 라슨 교수 대 이석영 | 내 삶의 몫
나의 NASA 입성기 | 스승의 날 | 나는 아버지가 둘이다 | 둔필승총
내가 만난 가장 참을성 없는 학생 | 허영

2부 박사가 되는 길에서 제일 쉬운 것 56
매트릭스가 보인다 | 과학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젊은이들이 지향하는 직업
2퍼센트의 비밀 | 한국 대학의 순위 | 영웅은 있는가 | 박사가 된다는 것 | 고기능성 자폐?
펜싱 선수 천체물리학자

3부 우주의 생강 106
NASA 우주 왕복선의 마지막 여행에 즈음하여 | 허블 우주 망원경 20주년을 기념하며
나는 빛이 왜 있는지 알아 | 초신성의 후예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세 쌍둥이 우주 망원경 | 암흑 에너지 | 암흑 물질과 사람 인프라 | 우주의 생강
겨울 학교 | 1만 시간의 법칙: 은하 형성 이론 | 열역학적 평형과 아님 말고 현상
코페르니쿠스 원리 | 우리뿐인가? | 밤하늘은 당신이 상상할 수 없는 이유 때문에 어둡다

4부 나는 천문학자입니다 188
빅뱅 대 빅뱅 | 천문학, 천체물리학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느린 나라 영국 | 의롭게 산다는 것 | 과학과 종교 | 읽지 않은 책 | 천문학과 점성술
천문학이 살아남는 이유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