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 로마 또는 이야기 청소년신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비아 로마 또는 이야기 청소년신학

시니
2025-04-13 21:35 9 0

본문




비아 로마
9791188434091.jpg


도서명 : 비아 로마
저자/출판사 : 빌레메인 판 데이크, 마인드큐브
쪽수 : 312쪽
출판일 : 2019-04-01
ISBN : 9791188434091
정가 : 14800

서문 : 도시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I 로마의 시작을 찾아서─ 테베레 강
II 로마의 첫 배반자─ 타르페오 언덕길
III 로마에 온 에트루리아인들─ 벨라브로 길
IV 로마의 마지막 왕 ─ 템피오 디 조베 거리
V 싹트는 공화정과 성벽─ 친퀘첸토 광장
VI 지중해의 정복─ 아피아 가도
VII 로마인에게 빵을─ 몬테 테스타치오 거리
VIII 로마 제빵사의 애잔한 무덤─ 포르타 마조레 광장
IX 세계의 수도라는 명성에 어울리는 극장─ 테아트로 디 폼페오 광장
X 로마의 홍등가─ 수부라 광장
XI 키케로의 로마와 살루스티우스의 로마─ 살루스티우스 광장
XII 클레오파트라, 이시스, 그리고 대리석 발─ 피에 디 마르모 거리
XIII 로마에서 가장 흉한 광장─ 아우구스투스 황제 광장
XIV 마에케나스의 문학 서클─ 메체나테 거리
XV “나는 지쳤다, 다른 사람을 데려오라”─ 제7대대 길
XVI 콜로세움 아래 묻힌 궁전─ 도무스 아우레아 거리
XVII 네로의 원형경기장과 성 베드로 대성당의 탄생─ 프로토마르티리 광장
XVIII 포로 로마노 : 티투스에서 셉티무스 세베루스까지─ 신성로
XIX 지저분한 도시에서의 목욕과 건강─ 카라칼라 목욕장 거리
XX 로마의 제2의 콜로세움─ 카스트렌세 거리
XXI 십자가의 이름으로─ 밀비우스 다리
XXII 교황의 비밀통로 ─ 보르고의 비밀의 길
XXIII 템플 기사단의 상속자─ 몰타 기사단 광장
XXIV 교황 없는 로마─ 콜라 디 리엔조 거리
XXV 베네치아인 교황과 카니발 축제─ 코르소 가도
XXVI 깨어나는 르네상스 도시─ 코로나리 거리
XXVII 율리오 2세의 도로와 도시─ 줄리아 거리
XXVIII 다시 태어난 광장─ 캄피돌리오 광장
XXIX 민중의 화형장─ 캄포 데 피오리
XXX 행복은 길에 있다─ 콰트로 폰타네 거리
XXXI 판테온의 재사용─ 로톤다 광장
XXXII 로마의 말하는 돌─ 바부이노 거리
XXXIII 베르니니와 보로미니의 예술적 결투─ 나보나 광장
XXXIV 베르니니의 포옹─ 성 베드로 광장
XXXV 로마의 카라바조─ 디비노 아모레 골목길
XXXVI 로마의 현관─ 포폴로 광장
XXXVII 트레비 분수는 세 갈래 길에─ 트레비 광장
XXXVIII 로마와 그랜드 투어─ 카로체 거리
XXXIX 카페 그레코의 단골손님들─ 스페인 광장
XL 혁명의 격랑─ 칸첼레리아 광장
XLI 이탈리아의 탄생─ 가리발디 광장
XLII 로마의 벨 에포크─ 콜론나 광장
XLIII 무솔리니의 새로운 길─ 제국의 광장 거리
XLIV 이탈리아와 바티칸의 화해─ 화해의 길
XLV 로마 도로의 진회색 돌─ 니콜라 자발리아 거리
XLVI 유태인 구역의 “청소”─ 1943년 10월 16일 소광장
XLVII 독일군 1명 당 이탈리아인 10명─ 라셀라 거리
XLVIII 촬영장이 된 길, 길이 된 촬영장─ 비토리오 베네토 거리
XLIX 테러의 시대─ 미켈란젤로 카에타니 거리
L 로마 심장부의 “주유소”─ 아우구스투스 황제 광장 (II)

* 로마의 역사를 만나는 다섯 가지 산책 코스
1코스 : 고대 로마의 흔적을 만나다
2코스 : 교황과 르네상스의 발자국을 따라 걷다
3코스 : 베르니니와 바로크를 만나다
4코스 : 그랜드 투어와 벨 에포크를 다시 만나다
5코스 : 파시즘과 2차대전의 흔적을 돌아보다

에필로그 : 미래로 가는 길
옮긴이의 말 : Roman-tic Roma
주요 참고문헌




이야기 청소년신학
9791189303143.jpg


도서명 : 이야기 청소년신학
저자/출판사 : 딘 보그먼 , 마상욱, 샘솟는기쁨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9-03-14
ISBN : 9791189303143
정가 : 20000

저자의 말 어떻게 함께할 것인가? _딘 보그먼 교수
프롤로그 함께한 지 20년, 또 시작입니다 _마상욱 목사

part 1 청소년신학이 필요하다
01 교회와 청소년의 현주소 _ 27
02 실천신학에서 청소년신학으로 _34
03 왜 청소년지도자가 되었나? _45
Episode 우리는 청소년을 믿지 않습니다

part 2 청소년지도자가 해석해야 할 3가지
04 성경해석 _57
05 문화해석 _69
06 자아해석 _78
Episode 성경이 나가라고 하지 말라고 했지요?

part 3 문화를 해석하는 틀
07 터툴리안과 틀레멘트, 그리고 어거스틴_87
08 이야기 청소년신학 _95
09 대중문화 다시 보기 _105
Episode 멱살 잡힌 전도사

part 4 자아를 해석하는 틀
10 제가 누구인데 돌보십니까? _117
11 진정한 자아로 만나기 _120
12 자아 돌보기 _125
Episode 피기 전에 떨어진 꽃

part 5 생태계 알아야 청소년이 보인다
13 청소년지도의 생태학적 접근 _135
14 청소년과 가정 _140
15 청소년과 또래압력 _158
Episode 또래압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part 6 인격과 성에 대한 접근
16 ‘성장’이라는 명령 _167
17 창조, 타락, 구속의 관점에서 _178
18 성문화의 역사적 흐름과 미래 _183
Episode 우린 결혼했어요

part 7 디지털 세대와 소비중심사회
19 Z세대는 디지털 원주민 _197
20 소비중심사회의 자기 정체성 _210
21 거짓 열정에서 자유하게 하라 _217
Episode 내가 안 버렸어요!

???part 8 예수 중심의 청소년사역
22 청소년사역자의 위치 _225
23 예수 중심의 청소년사역 _231
24 총체적 접근 _239
25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청소년사역 _248
Episode 예수 믿는 교회

에필로그 청소년지도자에게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