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 또는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 또는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시니
2025-04-13 21:35 6 0

본문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
9788957751961.jpg


도서명 :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
저자/출판사 : 조서희, 아마존북스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9-05-07
ISBN : 9788957751961
정가 : 13000

프롤로그

1장 사랑은 상처를 허락하는 것이다

별사別辭-경주 남산·37 · 정일근
지독한 사랑의 기억
행복 · 유치환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
이별 이후 · 문정희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
당신, 그려도 될까요?-To 잔느 에뷔테른. From 모딜리아니 · 윤향기
천국에서도 당신의 모델이 되어 드릴게요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사랑은 이렇게 오지 않는 너를 기다리는 것
사 랑 · 박형진
한 줌 연둣빛과 세 되 향기, 다섯 섬 가슴앓이
시래기, 코다리 · 이동주
그대, 봄 앞에 서다
단추를 채우면서 · 천양희
사랑하기 딱 한 걸음
황홀한 거짓말 · 유안진
황홀하기 그지없는 거짓말
통영統營 · 백석
자다가 일어나 달려가고픈 곳, 통영

2장 우리는 그저 모두 상처받은 사람일 뿐

나무1-지리산에서 · 신경림
사람 사는 일이 꼭 이와 같을까만
창호지 · 민용태
구름에 포를 뜬
초원의 빛 · 윌리엄 워즈워드
영화관 밖에서 영화처럼
게발선인장 가시 · 이숙희
사랑에 늦었다는 말은 없다
시詩 · 파블로 네루다
시란 시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것이야
효자가 될라 카머-김선굉 시인의 말 · 이종문
우리도 부모의 말년을 아릅답게 꾸며 드려야 하지 않을까
가을 엽서 · 안도현
사랑은 왜 낮은 곳에 있는지를
낙타 · 신경림
우리의 고단한 삶을 위로하는
가재미 · 문태준
상실의 시간을 통해 우리가 얻는 선물
농업박물관 속 허수아비 · 이창훈
사랑하는 것과 사랑받는 것
나무 · 곽혜란
오래 입어 목이 늘어난 옷 같은
사평역에서 · 곽재구
잊혀지는 것과 사라지는 것

3장 슬픔을 세탁하는 방법

용서의 꽃 · 이해인
상처는 친밀감을 먹고 산다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았던 적이 없는 것처럼 · 알프레드 D. 수자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섬진강 매화꽃을 보셨는지요 · 김용택
사랑, 그렇게 와서 그렇게 지는
빨래 너는 여자 · 강은교
슬픔을 세탁하는 방법
푸른 곰팡이-散策詩 1 · 이문재
발효의 시간
매미 · 조익구
이 생애 못한 인연
산도화山桃花 1 · 박목월
봄은 2월의 베개 밑으로
당부 · 김규동
쉬어가도 좋지만 멈추지 않는
지란지교를 꿈꾸며 · 유안진
내 슬픔을 자기 등에 지고 가는 자
12 술에 취한 바다 38 수평선 · 이생진
술은 내가 마시는데 취하긴 바다가 먼저 취하고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 알았더라면 · 킴벌리 커버거
내면의 나에게 묻는 것
다시, 십년 후의 나에게 · 나희덕
FM 93.9 MHz 배미향의 저녁스케치

4장 이번 생은 처음이라

긍정적인 밥 · 함민복
푸른 별을 보는 동안 어둠이 무섭지 않은
의자의 얼굴 · 고은희
숨길 수 없는 세 가지
엄마 걱정 · 기형도
입 안에 도르륵 말리는 그리움
무엇이 성공인가 · 랄프 왈도 에머슨
단 한 사람의 인생이라도 행복해지는 것
행복해진다는 것 · 헤르만 헤세
인생의 미학은 욕심을 버리고 작은 것에도 감사하는 마음
양평 두물머리 · 심종덕
당신은 아무 일 없던 사람보다 강하다
첫마음 · 정채봉
이 삶을 사랑하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개심사 청벚꽃 · 남영은
스쳐간 인연은 피안앵으로 피어나
봄의 소식 · 신동엽
흐드러지게 피어날 연분홍 꽃비를 기다리며
섬 · 장석
아름다운 관계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
두 번이란 없다 · 쉼브로스카
이번 생은 처음이라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9791185846729.jpg


도서명 :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저자/출판사 : 니키류, 북마크
쪽수 : 237쪽
출판일 : 2018-11-03
ISBN : 9791185846729
정가 : 15000

편역자 서문 : 왜 ‘커뮤니티 케어’인가? · 4 / 저자 서문 : 한국판의 발간에 부쳐서 · 12

| 서장 | 지역포괄케어와 지역의료구상
제1절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사실과 논점 · 23
1. 사실 3가지 / 2. 논점 4가지
제2절 지역의료구상을 둘러싼 사실과 논점 · 28
1. 사실 5가지 / 2. 논점 6가지

| 제1장 | 저출산·초고령 사회를 보는 새로운 시각
제1절 사회의 부양 부담은 계속 커질까? · 37
1. 사회 부양부담의 올바른 지표 / 2. 여성과 고령자의 취업률과 노동생산성 / 3. 유의해야 할 2가지 점
제2절 일본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낮을까? · 43
제3절 일본이 고의료비 국가일까? · 45
1. 고령화율에 의한 보정이 필요 / 2. 일본의 장기요양비는 북유럽 국가 다음으로 높은 수준 / 3. 향후의 의료비 및 사회보장비의 재원에 관한 필자의 가치 판단

| 제2장 |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성립
제1절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 대한 이해 · 54
1.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2가지 흐름, ‘보건·의료계’와 ‘복지계’ / 2. 지역포괄케어 ‘시스템’의 실체는 네트워크 / 3. 지역포괄케어의 주된 대상은 도시 지역 / 4.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공급과 재편을 생각할 때의 유의점, 논점 / 5. 지역포괄케어시스템 확립 과정에서 맞게 될 어려움 / 6.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제2절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행정적 기원 · 80
1. 2003년의 ‘2015년 고령자 개호’에서 처음 등장 / 2. 2004~2008년은 ‘법적, 행정적 공백기’ / 3. 2009, 2010년의 「지역포괄케어연구회 보고서」에서 부활 / 4. 2011년 개호보험법 개정의 이념적 규정 / 5. 2013년의 「국민회의 보고서」가 의료와 개호의 일체화를 주장 / 6. 2013년의 사회보장개혁프로그램법에서 처음으로 법적 정의

| 제3장 | 지역포괄케어의 전개
제1절 「지역포괄케어연구회 보고서」를 통해 보는 지역포괄케어의 진화 · 96
1. 「2014년도 보고서」 / 2. 「2015년도 보고서」 / 3. 「2016년도 보고서」
제2절 후생노동성 프로젝트팀의 「신복지비전」, 새로운 지역포괄지원체제 · 116
1. 프로젝트팀과 신복지비전의 구성, 특징 / 2. 개혁의 3가지 기둥 / 3. 필자의 평가

| 제4장 | 의료개혁의 전개: 지역의료구상
제1절 지역포괄케어시스템과 지역의료구상의 관계 · 131
1. 법적, 행정적으로는 동격이고 일체다 / 2. 후기고령자가 급증해도 급성기의료에 대한 니즈는 줄지 않는다 / 3.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은 전체 의료·개호비용을 줄이지는 못한다
제2절 2025년 필요병상 수의 추계 · 140
1. 사회보장제도개혁추진본부 「전문조사회 제1차 보고」의 필요병상 수 추계 / 2. 「치바대 보고」의 필요병상 수 추계 / 3. 필자의 견해
제3절 지역의료구상 논의 상의 유의점 · 148
1. 지역의료구상은 지역포괄케어시스템과 함께 검토해야 한다 / 2. 지역의료구상을 추진하다고 해도 필요병상 수가 크게 줄기는 어렵다 / 3. 지역의료구상을 추진해도 의료비는 줄지 않는다

| 제5장 | 복지개혁의 전개: 지역공생사회
제1절 지역공생사회에 대한 이해 · 159
1. 법적, 행정적 정의 / 2. 지역공생사회와 지역포괄케어의 관계
제2절 「일본 1억 총활약 플랜」과 ‘지역공생사회 실현본부’ · 162
1. 「일본 1억 총활약 플랜」 / 2. 지역공생사회 실현본부 자료
제3절 2016년판 『후생노동백서』 · 176
1. 제1부의 구성, ‘생애현역사회’를 목표로 한다 / 2. 지역포괄케어는 네트워크라고 명언 / 3. 지역공생사회가 새로운 ‘사회 모델’ / 4. 지역공생사회는 패러다임의 변화는 아니다
제4절 지역력 강화검토회 보고서 · 181
1. 중간보고, 「신복지비전」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 2. 최종보고서, 중간보고서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제6장 | 지역포괄케어와 지역공생사회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제1절 지역포괄케어를 강화하기 위한 의료와 복지의 연계 · 195
1. 의료와 복지의 연계에 필요한 3가지 / 2. 지역 만들기 / 3. 지역포괄케어의 최근 동향에 대한 판단
제2절 소셜워커와 의료인의 역할 · 204
1. 앞으로의 소셜워커에게 요구되는 능력 / 2. 지역 의사회와 진료소 의사의 역할

<부록> 후생노동성이 설명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 부록>
지역포괄케어시스템 추진의 배경 · 205
1. 인구 고령화 / 2.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내용 / 3.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의 과정
지역포괄지원센터 · 211
1.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업무 / 2.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설치 상황 / 3. 지역케어회의 / 4. 의료와 개호의 연계 / 5. 생활지원서비스의 충실과 고령자의 사회참여

<참고자료>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의 추진 사례 참고자료>
도쿄도 세타가야구 사례 / 미에현 욧카이치시 사례 / 가고시마현 야마토촌 사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