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보안 생체인식 발전현황과 금융기술 핀테크 산업동향 또는 Why 카메라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미래 보안 생체인식 발전현황과 금융기술 핀테크 산업동향 또는 Why 카메라

시니
2025-04-13 21:35 12 0

본문




미래 보안 생체인식 발전현황과 금융기술 핀테크 산업동향
9791185782393.jpg


도서명 : 미래 보안 생체인식 발전현황과 금융기술 핀테크 산업동향
저자/출판사 : RIsearch센터, 산업정책분석원
쪽수 : 540쪽
출판일 : 2019-05-30
ISBN : 9791185782393
정가 : 320000

제1편 인식(認識)산업

제Ⅰ장 생체인식 산업분석 현황
1. 생체인식
1) 생체인증 개요
(1) 정의
(2) 분류
가. 제품분류
나. 활용분야
2) 생체인식정보
(1) 생체인식정보 시스템
가. 홍채
나. 지문 (Fingerprint)
다. 얼굴(Face) 인식
라. 성문(聲紋) 분석 혹은 음성(Voice) 인식
마. 기타 생체인식
(2) 생체인식방식
가. 개별인식방식 (one to one)
나. 집단대조방식 (one to many)
다. 생체인식정보 활용과 보호
(3) 생체인식 결제
3) 생체인식 센서
(1) 생체인식 센서의 정의
(2) 생체인식 센서 산업의 특성
(3) 생체인식 센서의 활용 시장 범위
(4) 생체인식 센서 시장동향
가. 생체인식 센서의 종류별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생체인식 센서의 소비자 유형별 점유율 현황 및 전망
다. 생체인식 센서 시장의 지역별 규모 및 전망
라. 생체인식 시스템 시장 규모 및 전망
마. 국내 생체인식 시스템 시장 규모 및 전망
(5) 생체신호로 우울증 예측하는 센서기술
4) 생체인식 특허
(1) PCT 국제출원
(2) 주요 출원인 현황
(3) 생체정보별 출원공개 현황
(4) 생체인식기술 활용분야별 출원공개 현황
(5) 출원인 국적별 현황
5) 생체인식 주요기업 현황
(1) 국내
가. 슈프리마
나. 스마트코어
다. 씨엠아이텍
라. 에스피앤에스
마. 이리언스
(2) 해외
6) 생체정보
(1) 생체정보의 도용기법 및 사례
(2)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현황
가. 생체정보 보호를 위한 6대 보호원칙
나. 생체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2. 주요 생체인식
1) 지문인식
(1) 개요
(2) 활용
가. 출입통제, 근태관리
나. 전자상거래 인증
다. PC 및 각종 응용프로그램 보안
라. 은행서비스 (현금인출기 및 은행금고)
마. 기타
(3) 분류
가. 지문분류를 위한 특징
나. 지문분류 방법
다. 지문인식 기술의 종류
(4) 스마트 지문인식 종류
가. 지문인식 자물쇠
나. 지문인식 잠금장치 노트
다. 지문인식 자동차
라. 지문인식 가방
마. 지문인식 usb
바. 지문인식 전동킥보드
사. 지문인식 노트북
아. 지문인식 카드
자. 지문인식 마우스
차. 초음파 지문인식 갤럭시 S10
(5) 지문인식 시장
가.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인식 센서 시장 전망
나.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 시장
(6) 지문인식 기술
가. 광학식 지문인식
나. 반도체식 지문인식
다. 박막방식
라. 전기식 지문인식
마. 초음파식 지문인식
바. 지문인식 장점과 단점
2) 홍채인식
(1) 개요
(2) 원리
(3) 분류
가. 홍채 영상 검출부분
나. 사용자의 홍채인지를 검증하는 인증부분
(4) 장점 및 단점 활용분야
(5) 홍채인식 시스템 연구
가. 역사 및 구현 개념
나. 홍채인식 개선 연구
다. 홍채인식 상용화 예시
라. 홍채인식의 새로운 연구
(6) 스마트 홍채인식 종류
가. 홍채인식 usb
나. 홍채인식 출퇴근 기록
다. 홍채인식 폴더블폰
라. 시선추적 기술적용 ATM
마. 홍채인식 공인인증서
바. 홍채인식 도어락
(7) 홍채인식 기술
가. 입력 부문 기술
나. 홍채 영역 추출 기술
다. 홍채 특징 추출 및 코드생성 기술
라. 홍채인식 처리 기술
(8) 홍채인식 바이오매트릭스 시장
3) 얼굴인식
(1) 개요
(2) 정의
(3) 장점 및 활용분야
가. 보안/감시 분야
나. 신원 확인 분야
다. 그 외 활용 분야
(4) 얼굴인식 시장
가. 얼굴인식 종류별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얼굴인식 어플리케이션별 시장 규모 및 전망
다. 얼굴인식 지역별별 시장 규모 및 전망
(5) 얼굴인식 특허분석
가. 얼굴인식 특허동향 기술
나. 주요 출원국 및 출원인 현황
다. 주요 특허분석
라. 세부기술별 특허
(6) 해외 주요국의 안면인식 기술 활용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7) 해외 주요국의 안면인식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8) 사례로 보는 얼굴인식 인공지능
가. 국내
나. 중국
다. 미국
4) 정맥인식
(1) 개요
(2) 정의
(3) 장단점 및 활용분야
(4) 정맥인식 종류
가. 정맥인식 출입통제 단말기
나. 정맥인식 핸드폰
다. 정맥인식 ATM
라. 정맥 인증 결제 시스템
(5) 지정맥과 장정맥의 기술력 비교
(6) 정맥인식 결제 기술연구

제Ⅱ장 행동인식 산업분석 현황
1. 생체를 이용한 행동인식
1) 개요 및 트렌드
(1) 개요
(2) 트렌드
2) 행동인식 특징 이용
(1) 음성인식
(2) 걸음걸이인식
(3) 서명인식
(4) 기타
3) 제스처 인식 기술
(1) 제스처 인식을 위한 다양한 센싱기술
(2) 다양한 제스처 인식 기술
가. 손 제스처 인식
나. 전신 제스처 인식
다. 풀바디 모션 인식 기술
라. 이미지·동영상에서 제스처 인식
마. 제스처 인식 기술의 연구 이슈
(3) 제스처 국제 표준화 동향
가. ISO/IEC JTC 1/SC 35 사용자 인터페이스
나. MPEG-U Part 2 AUI Interface
다. MPEG IoMTW
4) 동작인식을 위한 3D 센싱 기술과 차세대 동작 인식 기술
(1) 동작인식을 위한 3D 센싱 기술
가. 광학 방식의 3D 센서
나. 동작인식과정 모션센서
다. 일반적인 동작 인식 프로세스
라. 특정 패턴 투사 (Projecting)
마. 광파(Light wave) 기반 광학 센싱(Optical Sensing)
바. 삼각 측량 기반 3D 센싱
사. 싱글 포인트 레이저 기반 삼각측량
아. 싱글 레이저 기반 삼각 측량
자. 점 라인 레이저 기반 3D 센싱
차. 스테레오 비전
카. 시간 지연 측량 (ToF)
(2) 차세대 동작 인식 기술
가. ISSCC 2018
나. 손동작 인식 IC 칩
다. 저전력으로 동작을 인식하려는 기술
라. 초음파를 이용한 동작 인식 기술
마. ToF 방식의 심도 이미지 센서
바. 프로토타입 센서와 레이저 광원을 조합한 ToF 센서
사. 차세대 동작 인식 기술 활용될 분야
5) 모션센서
(1) 모션센서 산업의 특성
(2) 시장동향
가. 모션센서 기술별 시장
나. 모션센서 유형별 시장
다. 모션센서 용도별 시장
라. 모션센서 소비자용 용도별 시장
마. 모션센서 소비자용 유형별 시장
바. 모션센서 지역별 시장
(3) 차세대 모션센서
가. 적외선 모션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수도꼭지
나. 모션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신발
다. 손가락 마우스 모션인식 반지
6) 비디오기반 행동인식 연구동향
(1) 전통적인 행동인식 연구 방법
가. 시공간 지역 특징 점 검출기
나. 시공간 특징 기술자
다. 행동 인식 분류기
(2) 딥 러닝 기반의 행동인식
가. CNN기반의 행동인식
나. LSTM 기반의 행동인식
7) 스마트폰 기반 행동인식 기술 동향
(1) 스마트폰 기반 행동인식
가. 개요 및 정의
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다. 특징 추출 및 모델 학습
(2) 행동인식 관련 기술 이슈
(3) 행동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동향
가. 제한된 환경의 데이터베이스
나. 실제 생활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8) 감정 및 행동 인식
(1) 개요
(2) 감정 인식 기술
가. 동영상 기반 감정 인식 기술 동향
나. 음성 기반 감정 인식 기술 동향
다. 생체신호 기반 감정 인식 기술동향
(3) EmotiW (Emotion Recognition in the Wild Challenge)
(4) 멀티모달 딥러닝 기반 감정 인식
가. 기술 발전 추이
나. 멀티모달 딥러닝
다. 최근 동향
2. 주요 행동인식
1) 음성인식
(1) 개요
가. 정의
나. 산업의 특성
다. 장단점 및 활용분야
라. 음성 대화 인터페이스 및 응용 서비스
(2) 분류
가. 기술의 분류
나. 시스템의 구성
다. 음성 검출
라. 특징 추출
마. 패턴분류
바. 기술분류체계
사. 음성 특징추출 기술
아. 음성인식 요소기술
(3) 음성인식 기술방법
가. VQ(Vector Quantization) 기술
나. HMM(통계적 패턴 인식을 이용) 기술
다. DTW(템플릿 기반의 패턴 매칭 방법을 이용) 기술
(4) 자동차용 음성인식
가. 음성기능 탑재 자동차
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비교
다. 사용용도에 따른 자동차용 음성인식 시장
(5) 음성인식 시장동향
가. 기술별 음성인식 시장
나. 어플리케이션별 음성인식 시장
다. 어플리케이션별 대화인식 시장
라. 지역별 음성인식 시장
마. 아시아 지역 음성인식 시장 규모 및 전망
(6) 해외 음성인식 시스템 산업동향
가. 아마존
나. 구글
다. 애플
라. 마이크로소프트
마. 기타
(7) 국내 음성인식 시스템 산업동향
가. 삼성전자
나. SKT
다. KT
라. 네이버
마. 카카오
바. LG전자
(8) 보이스 UI 방향
가. Voice UI 인프라 개발
나. 음성 인식 기기의 환경의 조성
다. Voice UI 의 기술적 발전
(9) 사용자 인식 조사
2) 객체인식 기술
(1) 개요
(2) 객체 인식 방법
가. R-CNN
나. Fast R-CNN
다. Faster R-CNN
라. R-FCN
마. YOLO
바. SSD
(3) 객체 인식 모델
가. AlexNet
나. ZFNet
다. VGG
라. GoogLeNet
마. ResNe
바. DenseNe
(4) 객체 인식 기술 성능 비교

제Ⅲ장 생체인식 보안 관련 시스템
1. 보안 기술 산업
1) 정보보안
(1) 개요
(2) 정보보호 산업 영역
(3) 정의 및 범위
(4) 정보보호 산업 분류체계
(5) 4차 산업의 정보보안 대응방안
2) 생체정보 보호
(1) 개요
가. 목적
나. 보호 필요성
(2) 생체정보와 개인정보보호
3) 융합보안
(1) 개요
(2) 융합 보안 주요 분야 기술 동향
가.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나. 바이오헬스케어 의료 보안
(3) 융합 보안 주요 분야 특허 동향
가.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나. 헬스케어 의료 보안
4) 데이터센터
(1) 개요
가. 정의
나. 산업의 특성
(2) 시장동향
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보안 방법별 시장
나. 글로벌 논리적 보안의 용도별 시장
다. 글로벌 물리적 보안의 용도별 시장
라. 글로벌 데이터센터 보안 서비스별 시장
마. 글로벌 데이터센터 보안 규모별 시장
바. 글로벌 데이터센터 보안 산업별 시장
사. 글로벌 데이터센터 보안 지역별 시장
(3) 사이버보안
5) 바이오인증
(1) 개요
(2) 바이오정보 유형 및 특징
가. 신체적 특징
나. 행동적 특징
(3) 바이오인증 시스템
(4) 바이오인증 보안 위협 및 사고사례
가. 바이오정보 위조
나. 바이오정보 유출
(5) 바이오인증 보안 대응기술 동향
가. 위조 판별
나. 다중 바이오인증
다. 재발급 가능한 템플릿 기술
2. 생체인식 관련 기술 시장분야
1) RFID
(1) 정의
(2) RFID 산업의 특성
(3) 생체인식 RFID 기술
(4) 시장동향
가. 글로벌 RFID 제품별 시장
나. 글로벌 RFID 태그 방식별 시장
다. 글로벌 RFID 태그 어플리케이션별 시장
라. 글로벌 RFID 태그 폼 팩터별 시장
마. 글로벌 RFID 태그 재료별 시장
바. 글로벌 RFID 태그 지역별 시장
사. 국내 RFID 태그 시장의 규모 및 전망
2) MEMS
(1) 개요 및 정의
(2) MEMS 산업의 특성
(3) MEMS의 활용 시장 범위
(4) 생체인식 MEMS 기술
가. MEMS 제작을 위한 재료
나. MEMS의 기본적인 공정
(5) 시장동향
가. MEMS 디바이스 종류별 시장
나. MEMS 센서 종류별 시장
다. MEMS 액추에이터 종류별 시장
라. MEMS 지역별 시장
마. 국내 MEMS 시장
3) 압력센서
(1) 개요 및 정의
(2) 압력센서 특성
(3) 압력센서의 활용 시장 범위
(4) 생체인식 압력센서 기술
(5) 시장동향
가. 압력센서 제품 종류별 시장
나. 압력센서 기술별 시장
다. 압력센서 용도별 시장
라. 압력센서 지역별 시장
마. 국내 압력센서 시장
4) 광센서
(1) 개요 및 정의
(2) 광센서 산업의 특성
(3) 광센서 활용 시장 범위
(4) 생체인식 광센서 기술
가. 광도전형 센서
나. 광기전력형 센서
(5) 시장동향
가. 광센서 기능별 시장
나. 광센서 출력별 시장
다. 광센서 용도별 시장
라. 광센서 지역별 시장
5) 무선센서
(1) 개요 및 정의
(2) 무선센서 네트워크 산업의 특성
(3) 무선센서 네트워크 활용 시장 범위
(4) 시장동향
가. 무선센서 네트워크 제공 방식별 시장
나. 무선센서 네트워크 센서 종류별 시장
다. 무선센서 네트워크 연결 종류별 시장
라. 무선센서 네트워크 최종 사용자 산업별 시장
마. 무선센서 네트워크 지역별 시장
바. 국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장


제2편 핀테크산업

제Ⅰ장 핀테크산업의 정책 및 연구 동향
1. 핀테크 시장 정책 동향
1) 개요
(1) 개념
(2) 등장배경
(3) 정의
(4) 시장 영역
2) 정책 동향
(1) 해외 규제 환경
(2) 영국 정책 동향
가. 영국 정부의 핀테크 규제 정책
나. 영국의 규제 샌드박스 (Sandbox)
다. 금융위기 이후 영국의 규제 혁신 사례
라. 신기술 장려 및 융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
마. 블록체인 등 신기술들에 대한 영국의 지원 정책
바. 영국의 원인투아웃제
(3) 중국의 주요 정책
가. 정부의 기본 정책 방향
나. 인터넷 전문은행 정책
다. 온라인 지급결제 정책
라. 온라인 소액대출 정책
마. 온라인 재테크 정책
(4) 미국의 주요 정책
가. 금융규제 개선 권고안
나. 혁신 장려를 위한 규제 간소화
다. 서비스별 규제 현대화
라. 혁신서비스에 대한 실험 허용
마. 소비자 금융정보의 효율적 사용과 책임 강화
바. 비조치의견서 제도
(5) 싱가포르 주요 정책
가. 글로벌 금융센터
나. Fintech Festival
다. 디지털 토큰 발행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
라. 유연한 규제 환경
마. 2019 결제 및 송금 서비스 관련 새로운 입법안
바. 지원내용
(6) 국내 정책 동향
가. 지급·결제 분야 규제현황
나. 크라우드펀딩 규제현황
다. 로보어드바이저 규제현황
라. 은산분리 규제
마. 비트코인 등장에 따른 국내 암호화폐
바. 핀테크 R&D
3) 시장 및 산업 동향
(1) 해외 시장
(2) 영국
가. 시장
나. 산업
(3) 중국
가. 시장 동향
나. 산업 동향
다. 주요 민영 인터넷 전문은행 운용 현황
(4) 미국
가. 시장 산업 동향
나. 소기업 핀테크 동향
(5) 싱가포르
가. 핀테크 산업 현황
나. 핀테크 시장의 스타트업
다. 시장 동향 및 전망
라. 핀테크 산업 투자 동향
마. 싱가포르 핀테크 주력 분야
(6) 이스라엘
가. 핀테크 산업 현황
나. 핀테크 성장 배경 허브
다. 핀테크 생태계
라. 주요 핀테크 스타트업 현황
(7) 독일
가. 핀테크 산업 개황
나. 핀테크 투자 현황
다. 핀테크 산업 육성 지원방안
라. 핀테크 투자 관련 규제 현황
마. 은행별 핀테크 투자 현황
(8) 베트남
가. 핀테크 시장 디지털 결제
나. 개인고객 핀테크
다. 기업고객 핀테크
라. 핀테크 시장의 발전가능성 및 장애요인
(9) 브라질
가. 브라질 핀테크 개요
나. 핀테크 기업들의 등장과 브라질 금융시장
다. 핀테크 관련 정책동향
(10) 스위스
가. 가젤형 기업 스타트업 생태계
나. 글로벌 혁신지수
다. 핀테크 시장
(11) 국내
가. 국내 핀테크 서비스 동향
나. 인터넷 전문은행
다. 블록체인 기술 금융권의 빅데이터
라. 국내 핀테크 P2P금융기업
마. 앱투앱 방식
바. 핀테크 분야별 중소기업
4) 금융 생태계
(1) 핀테크발 금융산업
(2) 분야별 핀테크 산업 동향
(3) 핀테크 등장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2. 핀테크 기술 보안 연구 동향
1) 차세대 핀테크 인증 기술
(1) 키입력 패턴 기반 인증
가. 키보드 입력 패턴 분석
나. 스마트폰 센서 기반 입력 패턴 분석
(2) 위치 기반 인증
가. 위치 컨텍스트 기반 인증
나. 위치 이력 기반 인증
다. 실내위치 기반 인증 기술
2) 핀테크 서비스 기술과 오픈 플랫폼
(1) 핀테크 서비스와 오픈 플랫폼
가. 핀테크 서비스
나. 오픈 플랫폼
(2) 오픈 플랫폼의 진화
가. 디지털금융 서비스의 기능구조
나. 핀테크 서비스의 구조
다.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오픈 플랫폼 구조
(3) 안전한 오픈 플랫폼 시스템 구조
(4) 오픈 API의 위협(Threat)
(5) 블록체인기술의 플랫폼
가. 블록체인 정의
나. 블록체인 기술
다. 핀테크 산업과 블록체인
라. 핀테크 서비스 블록체인기술의 플랫폼화
3) 핀테크 보안 위협과 대응방안
(1) 핀테크 보안 위협
가. APT 보안위협 증가
나. ID Federation 취약점
다. 생체인증 보안 위협
라. 간편결제 보안사고 우려
마. 개인 금융정보 유출 위험 증가
바. SW 취약점 위협
(2) 대응방안
가. Defense in Depth 보안 설계
나. 사이버 보안위협 공유
다. 비식별화 종합 정보보안 관리체계 구축
라. SW 개발보안
마. 보안성이 확보된 사용자 인증기술 적용
4) 핀테크 금융안정 리스크
(1) 간편결제 및 간편송금 서비스
(2) 새로운 자금조달 방식
가. P2P 금융
나. 크라우드펀딩
다. ICO(신규 암호자산 발행)
(3) 로보어드바이저
(4) 인터넷전문은행
(5) 기존 금융기관의 대응
가. 서비스 개선 및 비대면 거래 확대
나. 핀테크 전담기구 설립 및 업무제휴
(6) 금융안정 리스크
가. 핀테크 기업의 금융서비스 리스크
나. 금융기관의 핀테크 도입에 따른 리스크

제Ⅱ장 기술금융 및 핀테크 서비스
1. 기술금융
1) 기술금융의 기능
(1) 기술금융의 도입과 성장
가. 기술금융의 도입
나. 기술금융의 성장
(2) 기술사업화와 기술금융
(3) 정부 주도 기술금융 성장배경
가. 2000년대 이전
나. 2000년대 이후
2) 주요국의 공공 기술금융
(1) 미국
가. 개요
나. 성장배경
다. 유형 및 성격
라. 직접적 공공펀드 (DPF)
마. 공공-민간 연계형 펀 드(HPPF)
바. 모태펀드 (FOF)
사. 규모
(2) 유럽
가. 개요
나. 성장배경
다. EU 연구 및 혁신에 대한 자금지원
라. InnovFin: 혁신가를 위한 EU 금융
마. 유럽투자은행 (European Investment Bank, EIB)
바. 유럽투자기금 (European Investment Fund, EIF)
사. 전략적 투자를 위한 유럽기금
아. 유럽엔젤기금 (European Angels Fund)
자. 규모
(3) 중국
가. 개요
나. 성장배경
다. 유형 및 성격
라. 규모
3) 시장 중심 기술금융
(1) 벤처캐피탈 (Venture Capital: VC)
가. 도입과 성장
나. 현황
(2) 기업벤처캐피탈 (Corporate Venture Capital: CVC)
가. 특징과 효과
나. 도입과 성장
(3) 엔젤
가. 성장과 특징
나. 현황
(4) 은행
가. 기술신용대출
나. 규모
4) 주요국의 시장중심 기술금융
(1) 미국
가. 도입과 성장
나. 현황
다. 기술금융 시장의 제한 (규제)
(2) 유럽
가. 도입과 성장
나. 현황
다. EU 기술금융시장의 제한 (규제)
(3) 중국
2. 핀테크 서비스
1) 간편 결제
(1) 개요
가. 간편 결제 정의
나. 간편 결제 분류
다. 간편 결제서비스 개념
라. 국내 간편 결제서비스의 성장 배경
(2) 간편 결제 산업
가. 해외
나. 국내
다. 핀테크 및 지급결제 분야의 투자
라. 규제 환경
(3) 간편 결제 시장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다. 시장의 변화
라. 지급결제 시장의 트렌드 변화
(4) 간편 결제 기술
가. 지급결제 관련 기술의 진화
나. 기술개발 음성결제
다.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마. 바코드 및 QR코드
바. 토큰화
사. 홍체결제
아. 블루투스
(5) 주요 해외업체 동향
가. 미국 (페이팔)
나. 미국 (애플페이)
다. 미국 (아마존페이)
라. 중국 (알리페이)
마. 중국 (위챗페이)
바. 인도 (페이티엠)
사. 주요국 간편 결제 서비스의 특징
(6) 주요 국내업체 동향
가. 삼성페이
나. 네이버페이
다. 카카오페이
라. 페이코
마. 국내 주요 간편 결제서비스 현황
(7) 간편 결제서비스 이슈
가. 간편 결제서비스의 급성장
나. 비금융기관의 진출 가속화
다. 간편결제 시장의 경쟁 심화와 차별적 서비스
라. 제로페이의 등장과 수익구조
마. QR 코드의 확대와 O2O 서비스 확산 가능성
바. 차세대 결제 기술의 확보 및 신규 사업 시너지 창출
사. 해외 경쟁업체의 위협과 해외진출
아. 간편결제시대의 경영전략




Why 카메라
9788930237895.jpg


도서명 : Why 카메라
저자/출판사 : 전윤경, 예림당
쪽수 : 164쪽
출판일 : 2019-02-01
ISBN : 9788930237895
정가 : 12800

null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