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 100% 러시아어 첫걸음. 1(실속 100%) 또는 동독민 이주사 1949~1989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실속 100% 러시아어 첫걸음. 1(실속 100%)

도서명 : 실속 100% 러시아어 첫걸음. 1(실속 100%)
저자/출판사 : 안지영 , 갈리나 부드니코바, 랭기지플러스
쪽수 : 295쪽
출판일 : 2019-03-04
ISBN : 9788955185874
정가 : 16000
예비과
제1과 А, О, Э, У, М, Н, П, Б, Т, Д
제2과 Ф, В, С, З, И, Й, К, Г
제3과 Ы, Х, Я, Ю, Ё, Е, Ъ, Ь
제4과 Л, Р, Ш, Ж, Ц, Ч, Щ
본과
제1과 Кто э?то? Что э?то?
이 사람은 누구인가요? 이것은 무엇인가요?
제2과 Как вас зову?т?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제3과 Где вы живёте?
당신은 어디에 사시나요?
제4과 Что вы изуча?ете?
당신은 무엇을 공부하세요?
제5과 Како?й слова?рь? Кака?я кни?га?
어떤 사전인가요? 어떤 책인가요?
제6과 Где вы обе?даете? Что вы еди?те?
당신은 어디서 식사하세요? 무엇을 드세요?
제7과 Когда?? Ско?лько?
언제요? 얼마나요?
제8과 Куда? вы идёте?
당신은 어디로 가세요?
제9과 Что вы де?лали вчера??
당신은 어제 무엇을 하셨나요?
제10과 У вас есть вре?мя?
당신은 시간이 있으세요?
제11과 Читать или прочитать?
читать를 쓸까요 прочитать를 쓸까요?
부록
연습문제 정답
단어장
동독민 이주사 1949~1989

도서명 : 동독민 이주사 1949~1989
저자/출판사 : 최승완, 서해문집
쪽수 : 564쪽
출판일 : 2019-03-30
ISBN : 9788974839802
정가 : 32000
들어가는 말 * 4
1. 독일에서 또 다른 독일로: 분단 시기 동독 주민의 이탈 행렬
동독 이탈 주민의 규모
1950년대 탈동독 행렬과 베를린 장벽
사회주의로의 체제 변혁과 대규모 동독 이탈 | 서독으로 가는 길
불법 탈출에서 합법 이주로: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체제 안정의 외피, 그러나 계속되는 주민 이탈 | 장벽을 넘어 또 다른 독일로 가는 길
동독 이탈 주민의 사회적 프로필과 이탈 동기
성별, 연령, 직업, 학력으로 본 탈동독민 | 개인적 이탈 동기
권력을 가진 자의 무력함: 동독 정부의 대응
이탈 주민 문제에 대한 동독 정부의 기본 인식 | 이데올로기적 해결의 늪으로
동독 붕괴의 서막: 1989년의 대규모 동독 탈출
2. 동독 이탈 주민에서 서독 시민으로
동독 이탈 주민의 수용 원칙
긴급수용법, 선 난민 후 동일국적주의 | 희망과 좌절이 교차한 수용 심사 | 완화된 수용 기준
정착에 필요한 서독의 제도적 지원
1950년대 정착지원제도 |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개선과 보완
서독 민간단체의 정착 지원 활동
시민사회는 의무를 저버리지 않았다 | 가장 시급했던 수용소 설립 |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 수용 심사 | 법률 전문가의 도움 |
정착지원제도 개선을 요구하다 | 물질적 지원: 성금과 물품 | 상담, 정보 제공 그리고 계몽 |
가정 방문: 이탈 주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다 | 민간단체의 활동에 미친 반공주의의 여파
동독 이탈 주민 단체의 지원 활동
성공 신화의 빛과 그림자
1950년대 성공적 통합의 이면 |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이탈 주민 통합 문제
3. 또 다른 이탈 행렬: 서독 주민의 동독 이주
잊힌 존재: 서독 이탈 주민
서독 이탈 주민의 사회적 프로필
서독 이탈 주민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 시기별로 다른 이탈 추이 | 사회적 프로필
서독 주민이 왜 동독으로 이주했을까
서독 원주민 | 동독 출신 귀환자 | 보론: 성직자의 서독 이탈
서독 주민 유치를 위한 선전 정책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 공개 행사에 동원한 서독 이탈 주민 | 서독 주민 유치를 위한 견학 행사
서독 이탈 주민의 수용 절차
까다로운 수용 심사 | 수용소의 일상
동독 정착: 취업과 주택 마련을 중심으로
쉽지 않은 취업 | 역시 쉽지 않은 주택 마련 | 동독 주민의 부정적 시선 | 동독 스파이의 정착 사례: 기욤과 바크스 |
다시 서독으로: 재이탈
4. 분단 독일의 가교: 동독 이탈 주민
우편을 통한 동서독의 대화
편지 왕래 | 소포 교류
동서독의 방문 교류
통일을 위한 노력: 향우회, 동향단, 중부독일인연맹을 중심으로
통일과 동독 주민의 인권 보장 요구 | 동서독의 일체성을 강조하는 문화 활동 | 평화의 교란자와 통일의 파수꾼 사이에서
나오는 말
동독 이탈 주민 문제의 연구 동향
주
참고 문헌
사진 출처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