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빠진 여인들 또는 산업안전보건법론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사랑에 빠진 여인들 또는 산업안전보건법론

로즈
2025-04-28 10:48 3 0

본문




사랑에 빠진 여인들
9788932404028.jpg


도서명 : 사랑에 빠진 여인들
저자/출판사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을유문화사
쪽수 : 828쪽
출판일 : 2014-10-20
ISBN : 9788932404028
정가 : 18000

1장 자매
2장 숏랜즈
3장 교실
4장 다이버
5장 기차 안에서
6장 크렘 드 망트
7장 물신(物神)
8장 브래덜비
9장 석탄가루
10장 스케치북
11장 섬
12장 카펫을 깔며
13장 미노
14장 물놀이 파티
15장 일요일 저녁
16장 남자 대 남자
17장 산업계의 거물
18장 토끼
19장 달빛
20장 검투사처럼
21장 문턱
22장 여자 대 여자
23장 나들이
24장 죽음과 사랑
25장 결혼할 것인가 말 것인가
26장 의자
27장 야반도주
28장 폼퍼두어에 간 구드룬
29장 대륙으로
30장 눈
31장 눈에 파묻혀
32장 퇴장

해설 - 인류 문명의 끝에 선 사랑
판본 소개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연보




산업안전보건법론
9788926861998.jpg


도서명 : 산업안전보건법론
저자/출판사 : 정진우, 한국학술정보
쪽수 : 420쪽
출판일 : 2014-05-07
ISBN : 9788926861998
정가 : 25000

머리말

제1장 서 론
제1절 사회환경 변화와 산업안전보건법
제2절 이 책의 과제와 목적

제2장 근로자의 근로환경권과 산업안전보건 체계
제1절 우리나라에서의 근로자의 근로환경권과 산업안전보건 체계
Ⅰ. 근로자의 근로환경권의 헌법적 기초
1. 서 설
2. 근로의 권리의 새로운 구성
3. 근로조건기준 법정주의와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4. 생명권 및 건강권
5. 재해예방을 위한 국가의 과제
Ⅱ. 안전보건에 관한 근로자의 권리?의무의 법적 근거
1. 문제의 소재
2. 공법(산안법)상 근로자의 권리
3. 사법상 근로자의 권리: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의 이론 구성
4. 산안법상 권리와 사법상 권리의 관계
5. 근로자의 의무
제2절 산업안전보건 체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Ⅰ. 각국의 산안법 체계 개관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Ⅱ. 산안법상 근로자의 법적 지위 개관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제3절 근로환경권 보장의 효과
Ⅰ. 산재예방활동의 실효성 및 효율성 제고
Ⅱ. 근로자의 산재예방 동기유발 및 안전의식 제고
Ⅲ. 사용자의 산재예방활동 감시
Ⅳ. 근로자의 인간성 회복

제3장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권리
제1절 공법상의 권리
Ⅰ. 직접적인 공법상의 권리
1. 관여권
2. 신고권
Ⅱ. 간접적인 공법상의 권리: 알 권리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Ⅲ. 소 결
제2절 사법상의 권리
Ⅰ. 이행청구권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Ⅱ. 작업거절권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Ⅲ. 손해배상청구권
1. 독 일
2. 미 국
3. 일 본
Ⅳ. 소 결

제4장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의무
제1절 총 설
Ⅰ. 독 일
Ⅱ. 미 국
Ⅲ. 일 본
Ⅳ. 비교법적 검토를 통한 근로자 의무의 유형
제2절 대응적 의무
Ⅰ. 독 일
1. 근로자 자신의 안전에 대한 주의

2. 규정에 적합한 작업장비 사용
3. 기 타
Ⅱ. 미 국
Ⅲ. 일 본
1. 사용자의 안전보건조치에 협력할 의무
2. 기왕력, 업무력 등의 조사협조의무
3. 건강진단의 수진의무와 의사선택의 자유
제3절 독립적 의무
Ⅰ. 독 일
1. 자기위험 회피(Eigengefahrabwendung)
2. 동료, 사용자 및 제3자에 대한 배려
3. 위험 및 결함에 대한 즉각적인 보고
4. 산업의 및 안전관리자 지원
5. 기 타
Ⅱ. 일 본
1. 근로제한업무 근로금지
2. 직업선택의 자유와 자기건강관리의무
3. 건강이상(異常)의 고지의무
4. 일상적 자기건강관리의무
제4절 근로자의 의무위반에 대한 책임
Ⅰ. 독 일
1. 관할관청의 조치 및 행정행위
2. 과태료 및 형법
3. 노동법상의 책임
Ⅱ. 미 국
Ⅲ. 일 본
제5절 소 결

제5장 산안법상 근로자의 법적 지위 정립의 방향성
제1절 비교법적 분석 및 시사점
Ⅰ. 사법상의 권리 인정 여부
Ⅱ. 근로자의 관여권
Ⅲ. 신고권 등
Ⅳ. 알 권리
Ⅴ. 사용자의 의무위반의 사법적 효과
1. 안전배려의무의 법적 성격
2. 이행청구권
3. 작업거절권
4. 손해배상청구권
Ⅵ. 근로자의 의무

제2절 산안법 재구축을 통한 근로자의 법적 지위 정립방안
Ⅰ. 근로환경권에 입각한 근로자의 법적 권리 재구축
Ⅱ. 근로자의 관여권의 확대
Ⅲ. 신고권의 활성화
Ⅳ. 알 권리의 확대 및 실효성 강화
Ⅴ. 안전배려의무의 확장을 위한 법리
Ⅵ. 사전예방조치권의 명확화
Ⅶ. 근로자 의무의 다양한 구성

제6장 결 론
제1절 요 약
제2절 정책적 과제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