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학개론 또는 선물용 경전세트. 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영화학개론 또는 선물용 경전세트. 2

시니
2025-04-13 21:35 10 0

본문




영화학개론
9791160580235.jpg


도서명 : 영화학개론
저자/출판사 : 에드 시코브, 비즈앤비즈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9-03-13
ISBN : 9791160580235
정가 : 19000

머리말: 이 책은 무엇을 다루고 무엇을 다루지 않는가? 11

서론: 재현과 현실 14

1장 미장센: 이미지 안에서 19
미장센은 무엇인가? 19
샷 22
대상-카메라 거리, 왜 중요한가? 24
카메라 앵글 27
영화 필름의 공간과 시간 32
구도 34
학습 가이드: 샷 분석 37
이미지에 대해 글쓰기

2장 미장센: 카메라 움직임 40
이동 프레이밍 40
카메라 움직임의 유형 41
샷 안에서의 편집 44
공간과 움직임 47
학습 가이드: 카메라 움직임 분석 51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글쓰기

3장 미장센: 시네마토그래피 55
영화촬영술 55
화면 비율: 1.33:1에서 와이드스크린까지 55
화면 비율: 형식과 의미 59
조명 62
3점 조명 63
필름 스톡: 슈퍼 8mm에서 70mm, 비디오까지 66
흑과 백, 회색, 그리고 색채 68
렌즈에 관한 한두 가지 말 69
학습 가이드: 시네마토그래피 분석 73
시네마토그래피에 대해 글쓰기

4장 편집: 샷에서 샷으로 75
전환 75
몽타주 77
쿨레쇼프 실험 81
연속 편집 83
180도 체계 88
샷/리버스 샷 패턴 90
학습 가이드: 샷에서 샷으로의 편집 분석 92
편집에 대해 글쓰기

5장 사운드 96
영화 사운드에 관한 매우 짧은 역사 96
녹음, 재녹음, 편집, 그리고 믹싱 96
영화 사운드 분석 범주 100
사운드와 공간 104
학습 가이드: 음향 청취 및 분석 108
사운드와 사운드 트랙에 대해 글쓰기

6장 내러티브: 씬에서 씬으로 113
내러티브 구조 113
스토리와 플롯 114
씬과 시퀀스 116
씬에서 씬으로의 전환 120
등장인물, 욕망, 그리고 갈등 122
갈등의 분석 124
학습 가이드: 씬에서 씬으로의 편집 분석 127
내러티브 구조에 대해 글쓰기 7장 시나리오에서 영화가 되기까지 129
내러티브 구조 더 깊이 알아보기 129
시나리오 쓰기: 3막 구조 130
분절화: 형식 132
분절화: 의미 134
<인사이드 맨> 의 분절화 135
학습 가이드: 스토리 분석과 분절화 140
각본에 대해 글쓰기

8장 영화창작자 143
영화 ? 감독의 예술인가? 143
저작자 144
작가 이론 146
프로듀서의 역할 149
팀워크 151
학습 가이드: 귀속의 문제 154
감독에 대해 글쓰기

9장 연기 157
미장센 요소로서의 연기 157
연기 스타일 158
스타와 캐릭터 배우 159
유형과 고정유형 160
여성의 유형들 163
무대연기와 영화연기 165
홍보: 홍보의 영화적 의미 168
학습 가이드: 연기 분석 169
연기에 대해 글쓰기

10장 장르 173
장르란 무엇인가? 173
관습, 반복, 그리고 변형 175
두 가지 영화 장르에 대한 간단한 분류 ? 서부영화와 공포영화 177
장르: 의미론적/구문론적 접근법 179
필름 느와르: 사례 연구 182
필름 느와르: 간단한 역사 183
필름 느와르의 관습들 185
학습 가이드: 입문하는 학생들을 위한 장르 분석 187
장르에 대해 글쓰기

11장 특수효과 191
평범함을 넘어서 191
광학 효과와 기계적 효과 195
컴퓨터 생성 이미지 (CGI) 197
학습 가이드: 특수 효과와 그 의미 200
특수 효과에 대해 글쓰기

12장 종합: 8-10 페이지 리포트 사례 205
이 장은 어떻게 기능하는가? 205
"타일러의 소개" - 로버트 폴슨 206

용어 해설 223
찾아보기 237
저자 및 역자 소개 255

………………………………………………………………………………………………………………………… 인사이드>




선물용 경전세트. 2
9791189269128.jpg


도서명 : 선물용 경전세트. 2
저자/출판사 : 무비 , 이중표 , 돈연, 민족사
쪽수 : 588쪽
출판일 : 2019-01-30
ISBN : 9791189269128
정가 : 34000

유마경

제1장_ 불국품(佛國品) … 007
부처님의 나라
제2장_ 방편품(方便品) … 032
방편으로 병을 보이다
제3장_ 제자품(弟子品) … 042
불제자들의 어려움
제4장_ 보살품(菩薩品) … 069
보살들의 어려움
제5장_ 문수사리문질품(文殊師利問疾品) … 091
문수보살의 문병
제6장_ 부사의품(不思議品) … 108
불가사의 해탈
제7장_ 관중생품(觀衆生品) … 119
중생의 실상
제8장_ 불도품(佛道品) … 136
비도(非道)와 불도
제9장_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 … 156
불이의 법문으로 들어가다
제10장_ 향적불품(香積佛品) … 168
향적여래의 설법
제11장_ 보살행품(菩薩行品) … 182
보살행의 일체 공덕
제12장 견아촉불품(見阿ㆍ佛品) … 197
아촉불을 친견하다
제13장_ 법공양품(法供養品) … 208
최고의 공양은 법공양
제14장_ 촉루품(囑累品) … 218
모든 보살에게 부촉하다

ㆍ유마경 해제 … 224


금강경

제1_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 010
금강경이 설해진 인연
제2_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 012
수보리가 법문을 청하다
제3_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 014
대승의 근본 취지
제4_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 016
보살은 분별없이 살아간다
제5_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018
중생이 곧 여래다
제6_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020
불교는 뗏목과 같다
제7_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024
깨달았을 뿐 얻은 것은 없다
제8_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026
진정한 복은 불법에서 나온다
제9_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029
우리는 모두 평등하다
제10_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034
보살행이 국토를 장엄한다
제11_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037
포교가 가장 큰 복덕이다
제12_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040
금강경이 여래의 법신사리다
제13_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 042
여래가 설한 어떤 법도 없다
제14_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 046
분별상을 떠난 것이 열반이다
제15_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052
금강경의 공덕은 무량하다
제16_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055
금강경은 모든 업장을 소멸한다
제17_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058
무아가 진아(眞我)다
제18_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 065
‘지금, 여기’만 있을 뿐이다
제19_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070
베푸는 삶이 복덩이다
제20_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072
특징 없음이 여래의 특징이다
제21_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074
부처와 중생은 차별이 없다
제22_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 077
깨달아 얻을 바 없다
제23_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 079
차별 없이 평등함을 깨닫는다
제24_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 081
금강경의 공덕은 비할 바 없다
제25_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 083
집착을 버리면 중생이 부처다
제26_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 085
법신은 형상(形相)이 아니다
제27_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 088
생명에 단멸(斷滅)은 없다
제28_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 090
공덕을 짓되 취하지 말라
제29_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 092
여래는 가지도 오지도 않는다
제30_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 093
세계는 마음에서 연기(緣起)한다
제31_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 096
불교는 이론이 아니다
제32_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 098
일체의 유위(有爲)는 환상이다

ㆍ금강경 해제 … 100
ㆍ금강경 구마라집 한역본 … 105


아함경

1. 싱갈라를 가르치다(敎誡싱갈라經) … 007
2. 우빨리의 귀의(우빨리經) … 034
3. 라타파라의 출가(라타파라經) … 066
4. 진리의 상속자(法嗣經) … 096
5. 인간 사회의 성립과 기원(起源經) … 106
6. 뿌르나를 가르치다(敎誡뿌르나經) … 117
7. 까사빠 장로(가섭 비구) … 124
8. 바칼리를 가르치다 … 140
9. 비구니와 악마의 대화 … 150
10. 독화살의 비유(마룽끼야經) … 162
11. 바른 길과 삿된 길(大四十經) … 170
12. 밤 사이에 어진 사람이 되다(一夜賢者經) … 186
13.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諦分別經) … 193

ㆍ아함경 역주 … 206
ㆍ아함경 해설 … 21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