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운 장도빈의 역사관 연구 또는 운율과 공간의 미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산운 장도빈의 역사관 연구 또는 운율과 공간의 미학

시니
2025-04-13 21:35 10 0

본문




산운 장도빈의 역사관 연구
9788962463903.jpg


도서명 : 산운 장도빈의 역사관 연구
저자/출판사 : 신형식, 주류성
쪽수 : 252쪽
출판일 : 2019-04-06
ISBN : 9788962463903
정가 : 16000

머리말

제1장. 산운 장도빈의 생애와 다양한 활동

제2장. 국사개설서의 분석
1. 국사개설서의 저술과정과 그 내용의 변화과정
2. 해방 이전에 편찬된 국사개설서(제1-3권)의 분석
3. 해방 이후에 저술된 국사개설서(제4-5권)의 분석
4. 마지막으로 저술한 국사개설서(제6권)의 분석

제3장. 위인전의 분석
1. 원효전(元曉傳)
2. 조선 10대 위인전
3. 조선 10대 사상가
4. 조선역사담
5. 한국의 혼(魂)
6. 대한 위인전(상·중)
7. 위인 린컨

제4장. 산운의 역사관
1. 국사개설서에 나타난 산운의 역사관
2. 위인전에서 보여준 산운의 역사인식
3. 산운의 한국고대사인식
4. 산운의 신라사관

맺음말

부록. 산운 장도빈의 민족정신(친필원고 정리)
1. 국사개설서의 가치
2. 위인전의 가르침
3. 신문·잡지에 보여진 민족의식
4. 암운 짙은 구한말(사상계 창간 9주년 기념) 1962
5. 民族史觀巨木 키워 낸 둥지「( 서울신문」 1998년 10월 20일)

색인




운율과 공간의 미학
9788956699646.jpg


도서명 : 운율과 공간의 미학
저자/출판사 : 조근호, 오늘의문학사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8-11-22
ISBN : 9788956699646
정가 : 15000

머리말 _ 04

1부 문학평론

기호론적 상상력과 공간성의 어울림 _ 10
현대시조의 위상과 공간성 고찰 _ 25
현대시조의 공간성에 대한 소고 _ 34
현대시조의 전통성과 거듭나기 _ 40

2부 시조집 평설

평이(平易)에 사상을 담은 운율미의 진수(眞髓) _ 56
- 유동삼 시조집 「집게손가락」
비워두기를 통한 형이상학적 삶의 표출 _ 62
- 이도현 시조집 「장자의 바람」
공간과 삶과 예지(叡智)의 미학 _ 70
- 이도현 시조집 「서산까지 따라오는 바람」
관조와 사향(思鄕)이 어우러진 건강한 시 세계 _ 87
- 김영환 시조집 「고향길」
원숙한 경지에서 그려낸 애정의 미학 _ 103
- 김영환 시조집 「가을 나그네」
역사와 향수가 어우러진 시의 향기 _ 110
- 김영환 시조집 「계룡의 영지 두마별곡」
정감과 통한(痛恨)으로 엮은 산야(山野)의 노래 _ 124
- 김재수 시조집 「휴전선의 아침」
운율미와 관조미가 어우러진 알레고리 _ 145
- 김재수 시조집 「만리장성에 올라」
삼줄보다 질긴 한(恨)의 실마리와 존재 의식 _ 167
?김창현 시조집 「이승과 저승 사이」

3부 시집 평설

투철한 역사의식과 삶의 미학 _ 190
- 박종국 시집 「백령도에 비가 내린다」
삶의 향기가 흐르는 현장의 시학 _ 201
- 박종국 시집 「야릇한 돼지의 미소」
청정하고 곡진한 시정(詩情)으로 세상 돌아보기 _ 212
- 문희봉 시집 「천리향」
감성에서 뽑아 올린 소멸과 생성의 미학 _ 226
- 문희봉 시집 「당신을 닮았습니다」

4부 동시 및 동시조 평설

꿈과 사랑, 그리고 순수의 결정 _ 244
- 김창현 동시조집 「낮달 뜨는 고향 언덕」
헌신적 삶을 바탕으로 진솔한 세상 그리기 _ 256
- 문희순 동시집 「할머니의 보석」
알레고리가 품고 있는 동심의 서정적 미학 _ 272
- 박종국 동시집 「바람은 싸움쟁이」
아름다운 모국어로 사랑의 씨뿌리기 _ 288
- 김 숙 동시조집 「별 바구니」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