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흙밥 보고서 또는 수면의 과학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청년 흙밥 보고서

도서명 : 청년 흙밥 보고서
저자/출판사 : 변진경, 들녘
쪽수 : 312쪽
출판일 : 2018-12-05
ISBN : 9791159253744
정가 : 13000
추천의 말 - 김민섭
똑같이 가난한 식탁을 마주하고 있는 나와 당신의 이야기
프롤로그
천 명의 청년, 만 끼의 흙밥
청년들은 ‘식사권’을 잃었다. 아니, 빼앗겼다
굶고 때우고 견디는 청년 | 굶어서 아프고, 아파서 서러운 청춘 | 조류독감에 걸리기 전부터 이미 병든 닭처럼 | “돌도 씹어 먹을 나이? 밥상을 뒤엎어라” | 흙밥 가고 금밥 오라 | 가난하면 밥 굶는 게 당연한가요? | “밥은 먹고 다니니?”
21세기형 쪽방에 저당 잡힌 청춘
“당신의 꿈 어느 방에 두고 왔나요?” | 방방 뛰는 방세에 눈물이 방울방울 | 이 방에서 벗어나려 이 방에 산다 | ‘방’을 둘러싼 20대의 번민 | “내 방 얘기 한번 들어볼래?” | 기숙사에 사는 당신, 주거 인권은 안녕한가요? | 정말로 기숙사에 규제가 필요한가
앞날을 헤아릴 수 없는 삶
목숨을 끊거나 강도짓을 하거나 | 유모차보다 먼저 휠체어를 미는 세대 | 나는 걷는다, 돈이 없어서 |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다 | 연애 못 하는 이유, 대안은 결국 고용
좁은 취업문, 비정규직, 열정페이
‘로켓배송’은 어떻게 가능할까 | 서른 즈음에… 또 취업이 멀어져간다 | 괜찮다고 말하지 말 것 | 청년의 것은 청년에게
지방에서도 다른 세계를 꿈꿔야
소멸 위기에 빠진 ‘나의 살던 고향’ | 지방 청년으로 산다는 것 그리고 꿈꾼다는 것 | “우리는 지방에 ‘남’지 않고 ‘살’고 있다” | 지방 청년들의 ‘성찰적 겸연쩍음’과 ‘습속’ | 지방대생의 ‘문제적 삶’을 말하다 | 지방 청년들의 말말말
청년수당이라는 대안
청년수당 받으면 밥 먹을 수 있다 | “라면에 달걀을 넣을 수 있게 됐다” | 청년수당 150일 실험, 결과를 공개합니다 | 청년수당의 빛나는 성적표 | “청년은 생계 취약계층이다” | 청년수당, 꿈을 위한 하루 3시간 | “당신이 대통령이라면 청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 눈칫밥 안 먹는 프랑스 청년
에필로그 흙수저 밥에서 흙 수확 밥으로
수면의 과학

도서명 : 수면의 과학
저자/출판사 : 사쿠라이 다케시, 을유문화사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8-11-15
ISBN : 9788932473925
정가 : 15000
시작하는 글
개정신판의 서문
1장 왜 잠을 자는 것일까?
아직까지도 풀리지 않는 수면의 수수께끼, 그리고 기억을 강화시키는 수면의 놀라운 효과
잠을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수면하는 동안 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 동물실험으로 밝혀진 수면의 필요성 | 가장 오랫동안 잠을 자지 않았던 사람의 이야기 | 논렘수면과 렘수면 | 렘수면의 신비 | 렘수면과 꿈에 관한 신비 | 수면부족에서 비롯된 ‘챌린저호’의 비극 | 게임 실력을 향상시킨 수면 | 절차 기억과 관련한 수면 효과 | 렘수면과 논렘수면 역할의 차이
2장 최신 기술로 탐구하는 수면의 정체
영상 기술로 알아낸 ‘렘수면과 논렘수면의 차이점’ | 도대체 수면이란 무엇인가? | 뇌파로 측정하는 수면 | 뇌파로 구분하는 수면 단계 | 렘수면의 발견 | 온몸에 나타나는 두 가지 수면의 큰 차이점 |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수면의 단계 | 최신 기술로 보는 수면 중의 뇌 활동 | 뇌 활동의 차이로 보는 각성과 렘수면
3장 수면과 각성을 전환시키는 뇌 구조
신경전달물질과 뉴런이 만들어 내는 교묘한 두 가지 시스템
폰 에코노모가 발견한 시상하부의 역할 | 각성과 렘수면을 가져오는 뇌간에 의한 ‘대뇌의 활성화’ | 각성을 일으키는 물질, 모노아민 작동성 뉴런 | 콜린 작동성 시스템으로 시작되는 렘수면 | 시소와도 같은 수면과 각성의 관계 | 각성이 발생하는 구조 | 잠을 오게 하는 뇌 안의 구조 | Two process model과 수면물질
4장 수면장애 연구의 대발견
각성을 일으키는 물질, ‘오렉신’의 중요한 역할
오렉신의 발견 | 오렉신과 기면증 | 우연한 두 가지 발견 | 기면증 증상이란? | 기면증은 수면 구축의 이상 | 기면증을 일으키는 오렉신의 결핍 | 각성을 안정화시키는 오렉신 | 각성과 수면의 사실관계
5장 오렉신이 밝힌 각성의 의미
인간과 동물은 왜 반드시 깨어나야 하는가?
주의와 행동을 위해 필요한 각성 | 오렉신 작동성 뉴런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 오렉신 작동성 뉴런을 자극하는 ‘감정’ | 일본에서 개발된 세계 최초의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 | 왜 배가 고프면 잠이 오지 않는가? | 삼위일체의 교묘한 시스템 | 체내시계와 오렉신 | 제어가 중요한 오렉신 작동성 뉴런 | 섭식 행동과 각성을 연결하는 오렉신
6장 인간은 어디까지 잠을 조절할 수 있을까?
불면증 치료제, 그리고 ‘잠들지 않고 살 수 있는 약’의 가능성
수면과 각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 | 각성제가 무서운 이유 | 불면증 사람들에게 희소식일까? | 잠들지 않고 살 수 있는 약이 있을까? | 마우스 실험에서 치료 효과를 보인 오렉신 작용제 | 수면을 조절하는 광스위치 | 일상생활에서도 가능한 수면 조작
7장 수면에 관한 궁금증과 이후의 주제
꿈의 역할, 배꼽시계부터, 수면물질의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까지
Q 몇 시간을 자는 것이 좋을까? | Q 알람시계가 울리기도 전에 눈이 떠지는 것은 왜일까? | Q 커피나 차를 마시면 잘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 Q 시차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는 왜일까? | Q 배꼽시계라는 것이 정말로 있는 걸까? | Q 꿈에도 특별한 기능이 있을까? | Q 예지몽이 실제로 존재하나? | Q 몽유병은 어떤 구조에서 일어날까? | Q 미리 많이 자는 것으로 에너지를 비축해 두는 것이 가능할까? | Q 사람에 따라 수면 습관이 다른 것은 왜일까? | Q 동물의 수면은 인간과 비슷한가? | Q 사람이 성장하면서 수면은 어떻게 변하는 걸까? | Q 왜 잠을 반드시 자야 하는가?
8장 왜 잠을 자는 것일까?
다양한 가설을 세우다
혼동하기 쉬운 두 가지 궁금점 | 논렘수면에 대한 가설 | 렘수면에 대한 최근의 가설 | 졸음이 오는 원인은 무엇일까? | 두 가지 물음은 서로 관계가 없는지도 모른다
알아보기
1. 뉴런(신경세포) 2. 활동전위 3. 전두엽과 전전두엽피질 4. 뇌의 구조 5. 신경전달물질 6. 대뇌피질 7. 유전자조작 동물 8. 모노아민과 신경질환 9. 대뇌변연계 ① ‘마음’을 만드는 장소
10. 대뇌변연계 ② 편도체 11. 대뇌변연계 ③ 해마 12. 아세틸콜린의 발견 13. 시각영역과 칼럼구조 14. 다형성 15. 체내시계
끝맺는 말
개정신판 끝맺는 말
옮긴이 후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