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의 5.18 또는 약초건강사전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너와 나의 5.18

도서명 : 너와 나의 5.18
저자/출판사 : 김정인 , 김정한 , 은우근 , 정문영 , 한순미, 오월의봄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9-03-18
ISBN : 9791187373858
정가 : 26000
서문
5ㆍ18, 우리 역사의 위대한 질문 _은우근
1부. 5ㆍ18, 배경과 진행
1장 5ㆍ18, 왜 일어났을까? _김정인
1. 긴 독재, 불굴의 민주화투쟁 | 2. 반공의 이름으로 국가폭력에 희생되다 | 3. 서울에서 광주로, 민주화의 꿈이 살아나다
2장 5ㆍ18민주화운동, 열흘간의 드라마 _정문영
1. 5월 18일부터 5월 21일까지 | 2. 5월 22일부터 5월 25일까지 | 3. 5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3장 진실을 향한 투쟁 _정문영
1. 1980년 5월 광주항쟁에서 1987년 6월 국민항쟁에 이르는 길 | 2. 1987년 6월항쟁과 광주청문회 | 3. 특별법 제정과 책임자 처벌 | 4. 에필로그: 국제적인 운동으로서 5월운동
2부. 5ㆍ18 이후의 5ㆍ18
4장 상처 입은 자, 그들의 부서진 삶 _김정인
1. 살았으되, 죽은 삶들 | 2. 여성, 무너지고 부서진 삶 | 3. 치유 가능한 삶을 위하여
5장 5·18, 진실과 거짓말: 그들은 왜 5ㆍ18을 왜곡ㆍ조작하는가? _은우근
1. 5·18 왜곡의 영향 | 2. 5·18 왜곡의 양상 | 3. 5·18 진압 이후 왜곡의 추이와 배경 | 4. 왜곡에 어떻게 대처할까?
6장 ‘모두의 5·18’로 가는 길 _김정인
1. 공감 없는 비극, 5ㆍ18 | 2. 세계인이 공감하는 역사, 홀로코스트 | 3. 5ㆍ18, 공감을 위한 문화적 여정 | 4. 5ㆍ18, 아직도 머나먼 공감의 길
3부. 해석과 실천
7장 5ㆍ18 학살의 애도와 민주주의 _김정한
1. 오월의 바람 | 2. 추모투쟁과 사회적 애도 | 3. 제5공화국의 공포정치와 5ㆍ18의 민중운동 | 4. 5ㆍ18의 학살자와 살아남은 사람들
8장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봉기하는가? _김정한
1. 4ㆍ19와 5ㆍ18 | 2. 5ㆍ18의 세계적 보편성 | 3. 국경을 횡단하는 봉기의 계승 | 4. 5ㆍ18의 세계 유산
9장 저항하는 사람들의 윤리 _김정한
1. 광주 시민이 국군에게 보낸 편지 | 2. 왜 총을 들었는가? | 3. 5·18의 반폭력 정치 | 4. 저항의 윤리
10장 5·18 공동체: 부끄러운 자들을 위한 연대 _은우근
1. 부끄러움의 의미 | 2. 5·18 공동체와 집단 정서의 형성 | 3. 부끄러움의 힘 | 4. 질문은 계속되어야 한다
4부 기억, 증언, 예술
11장 공감과 연대: “내 속의 이 큰 슬픔을 누구에게 말할까?” _한순미
1. 분노와 저항의 물결 | 2. 불꽃처럼 살다간 사람들: 사라지지 않는 기억 | 3. 말을 잃어버린 도시: 소문과 유언비어 | 4. 산 자여 따르라 | 5. 평범한 위대함의 순간들
12장. 물음과 선택: “우리는 왜 총을 들 수밖에 없었는가?” _한순미
1. 어쩌다 총을 들게 되었을까? | 2. 명령의 꼭두각시: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든 것일까? | 3. 가해자이면서 피해자: 똑같이 아픈 사람들 | 4. 부끄러움과 죄의식 | 5. 발언과 실천: 너는 결코 죽지 않았다
13장.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_한순미
1. 누구에게 말할 것인가? | 2. 유령들의 증언 | 3. 인간이란 무엇인가? | 4. 거대하고 숭고한 심장 | 5. 또 다른 질문의 시작: May, 18th
약초건강사전

도서명 : 약초건강사전
저자/출판사 : 정구영, 전원문화사
쪽수 : 282쪽
출판일 : 2019-04-30
ISBN : 9788933311448
정가 : 20000
제1장 산야초 기초 상식
제2장 내 몸을 살리는 약초
산삼/인삼/백선/도라지/더덕/만삼/고삼/현삼/잔대/감초/지치/
천문동/둥굴레/맥문동/백지/하늘타리/하수오/천마/마/독활/천궁
/뚱딴지/당귀/우엉/황기/강황/삼지구엽초/비수리/꿀풀/잇꽃/
복분자/삼백초/약모밀/결명자/곰취/머위/털머위/민들레/소리쟁
이/개미취/금낭화/쇠비름/방풍/노루오줌/닭의장풀/속단/속수자/
우산나물/용담/큰뱀무/새삼/질경이/차조기/쇠무릎/개똥쑥/쑥/
익모초/바위솔/부처손/속새/쇠뜨기/박하/꽃향유/배초향/감국/
금불초/기린초/구절초/쑥부쟁이/메꽃/제비꽃/달맞이꽃/이질풀/
부처꽃/마타리/범부채/꽃범의꼬리/고본/강활/목향/호장근/여뀌/
까치수영/도꼬마리/환삼덩굴/박/수세미외/여주/마늘/양파/생강/
연꽃/부들/함초/석창포/원추리/천년초/엉겅퀴/고사리/삽주
제3장 내 몸을 살리는 약용나무
오미자나무/구기자나무/꾸지뽕나무/가시오가피/오갈피나무/섬오
가피/호랑가시나무/겨우살이/참나무겨우살이/인동덩굴/으름덩굴
/청미래덩굴/담쟁이덩굴/개오동나무/헛개나무/벌나무/황칠나무/
느룹나무/만병초/블루베리/키위/무화과나무/마가목/산수유나무/
산사나무/목련/산초나무/초피나무/생강나무/두릅나무/음나무/옻
나무/다래나무/고뢰쇠나무/자작나무/가래나무/보리수나무/소나
무/잣나무/주목/화살나무/산딸나무/누리장나무/자귀나무/은행나
무/매실나무/모과나무/뽕나무/앵두나무/차나무/호두나무/벚나무
/두충나무/칡/작약/해당화/개나리/진달래/감나무/고욤나무/살구
나무/자두나무/대추나무/귤나무/유자나무/동백나무/밤나무/배나
무/돌배나무/복숭아나무/돌복숭아/사과나무/상수리나무/석류나
무/탱자나무/아까시나무/이팝나무/닥나무/등나무/딱총나무/박태
기나무/사철나무/조팝나무/능수버들/쥐똥나무/비파나무/명자나
무/후박나무/포도/머루/개머루/멍석딸기/찔레나무/무궁화/오동
나무/송악/황매화/골담초
제4장 독이 있는 약용식물
피나물/동의나물/수선화/박새/할미꽃/족두리풀/관중/까마중/
꽈리/천남성/능소화/대극/현호색/독미나리/미나리아재비/복수초
/삿갓나물/상사화/석산/자리공/애기똥풀/은방울꽃/애기나리/
괴불주머니/자주괴불주머니/때죽나무/매발톱나무/칠엽수
제5장 부록
식물용어/한방용어/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