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 또는 근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1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정감록

도서명 : 정감록
저자/출판사 : 양태진, 예나루
쪽수 : 719쪽
출판일 : 2013-02-07
ISBN : 9788993713220
정가 : 34000
책을 풀어 쓰면서
<정감록> 이란 어떤 책인가 정감록>
一. 비기론(秘記論)
二. <정감록> 관련 사상의 형성 배경
三. <정감록> 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
四. 민족종교 발생에 미친 영향
五. <정감록> 과 참위(讖緯), 풍수지리(風水地理), 음양오행(陰陽五行) 제설(諸說)
六. 조선왕조실록에 언급된 비기와 <정감록>
七. <정감록> 에 필자(筆者)로 등장하는 주요 10인
八. <정감록> 에 관한 제가론(諸家論)
九. <정감록> 제명(題名)의 서지사항(書誌事項)
본문
1. 감결(鑑訣)
2. 도선비기(道詵秘記)
3. 삼한산림비기(三韓山林秘記)
4. 징비록(懲毖錄)
5. 운기귀책(運奇龜策)
6. 오백론사(五百論史)
7. 무학비결(無學秘訣)
8. 삼도봉 시(三道峯 詩)
9. 역대왕도본궁수(歷代王都本宮數)
10. 동국역대기수본궁음양결(東國歷代氣數本宮陰陽訣)
11. 구궁변수법(九宮變數法)
12. 피장처(避藏處)
13. 북두류노정기(北頭流路程記)
14. 화악노정기(華岳路程記)
15. 갑오하곡시(甲午夏穀詩)
16. 두사총 비결(杜師聰 秘訣)
17. 정북창 비결(鄭北窓 秘訣)
18. 정순옹결(鄭淳翁訣)
19. 낭선결(浪仙訣)
20. 초암결(草庵訣)
21. 현지선견(玄知先見)
22. 서산대사 비결(西山大師 秘訣)
23. 토정묘결(土亭妙訣)
24. 토정가장결(土亭家藏訣)
25. 서계 이선생가장결 (西溪 李先生 家藏訣)
26. 경주 이선생 가장결 (慶州 李先生 家藏訣)
27. 청구칠언 비결(靑丘七言 秘訣)
28. 말속론(末俗論)
29. 도선 비결(道詵 秘訣:玉龍子記)
30. 옥룡자기(玉龍子記)
31. 남사고 비결(南師古 秘訣)
32. 남격암 산수십승보길지지 (南格菴 山水十勝保吉之地)
33. 세론시(世論視)
34. 내패예언육십재(來貝預言六十才)
35. 말운론(末運論)
36. 교외문답(敎外問答)
37. 칠언고결(七言古訣)
37. 청구 비결(靑丘 秘訣)
39. 청구칠언 비결(靑丘七言 秘訣)
40. 뎡감록 비결(한글 필사본)
정감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지 관련 용어
맺 음 말
부록 <정감록 관련 필사본(筆寫本)>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정감록>
근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1

도서명 : 근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1
저자/출판사 : 조중걸, 지혜정원
쪽수 : 536쪽
출판일 : 2014-11-25
ISBN : 9788994886602
정가 : 35000
서문
Ⅰ. 르네상스 (RENAISSANCE)
제1장 정의 (Definition)
1. 휴머니즘 (Humanism)
2. 전인적 인간과 공화국 (L'uomo universale & Republic)
3. 해방 (Liberation)
4. 르네상스, 마키아벨리즘, 종교개혁 (Renaissance, Machiavellism, Reformation)
제2장 고전주의 (Classicism)
1. 실재론과 유명론 (Realism & Nominalism)
2. 정의 (Definition)
3. 자연주의와 고전주의 (Naturalism & Classicism)
4. 필연과 우연 (Necessity & Contingency)
제3장 공간과 대상 (Space & Objects)
1. 두 종류의 물리학 (Two Kinds of Physics)
2. 지성과 감각 (Intelligence & Sense)
3. 원근법과 단축법 (Perspective & Foreshortening)
4. 환각주의 (Illusionism)
5. 얼어붙은 세계 (Frozen World)
제4장 두 개의 경향 (Two Tendencies)
1. 피렌체와 북유럽 (Florence & Northern Europe)
2. 고전주의 예술가들 (Classicism Artists)
3. 후기 고딕 예술 (Late Gothic Art)
Ⅱ. 매너리즘 (MANNERISM)
제1장 정의 (Definition)
1. 용어 (Nomenclature)
2. 특징 (Characteristics)
3. 르네상스에서 매너리즘으로 (From Renaissance to Mannerism)
4. 실체와 형식 (Substance & Form)
제2장 해체 (Disintegration)
1. 예술을 위한 예술 (Art for Art’s Sake)
2. 심층성과 표면성(입체의 해체) (Depth & Surface; Disintegration of Solid)
3. 지동설 (Heliocentricism)
4. 매너리즘과 형식성 (Mannerism & Formality)
제3장 흔들리는 세계 (Shaking World)
1. 종교개혁 (The Reformation)
2. 마키아벨리 (Machiavelli)
3. 에라스뮈스 (Erasmus)
4. 마술에 걸린 세계 (World Spellbound)
제4장 예술가들 (Artists)
1. 화가들 (Painters)
2. 문학가들 (Writers)
Ⅲ. 바로크 (BAROQUE)
제1장 정의 (Definition)
1. 용어 (Nomenclature)
2. 성격 (Characteristics)
3. 매너리즘과 바로크; 위기와 극복 (Mannerism & Baroque; Crisis and Recovery)
4. 근대의 의미 (The Meaning of Modern Times)
제2장 이념 (Ideology)
1. 데카르트 (Descartes)
2. 존재와 운동 (Being & Movement)
3. 내재성과 외연성 (The Intrinsic & The Extrinsic)
4. 소묘와 채색 (Drawing & Coloration)
5. 다양성과 단일성 (Diversity & Unicity)
6. 폐쇄성과 개방성(닫힌 체계와 열린 체계) (Exclusiveness & Openness)
7. 반종교개혁 (Counter-Reformation)
제3장 예술가들 (Artists)
1. 화가들 (Painters)
2. 음악가들 (Musicians)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