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활동 프로그램 또는 17세기 국어의 이름마디 구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활동 프로그램 또는 17세기 국어의 이름마디 구조

땅끝
2025-05-09 07:09 95 0

본문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활동 프로그램
9788926809389.jpg


도서명 :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활동 프로그램
저자/출판사 : 이혜경 , 김경란, 이담북스
쪽수 : 172쪽
출판일 : 2010-02-25
ISBN : 9788926809389
정가 : 14000

Ⅰ. 들어가면서

Ⅱ. 공간담론

Ⅲ. 공간능력의 개념

Ⅳ. 공간능력의 발달

Ⅴ. 공간능력에 대한 교과적 접근

1. 동작과 공간능력
2. 수학과 공간능력
3. 조형과 공간능력
4. 언어와 공간능력
5. 지리와 공간능력
6. 과학과 공간능력
7. 사회적 공간

Ⅵ. 공간능력의 구성요소

1. 공간방향
2. 공간시각화

Ⅶ. 교수 전략

1. 문제 해결하기
2. 상상하기
3. 토론하기
4. 표상하기
5. 반성적 사고하기
6. 유아의 경험과 관련짓기
7. 심리적 변화 다루기

Ⅷ. 교사의 역할

Ⅸ.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의 실제

1. 활동 내용
2. 활동 자료

참고문헌




17세기 국어의 이름마디 구조
9788926827598.jpg


도서명 : 17세기 국어의 이름마디 구조
저자/출판사 : 최대희, 한국학술정보
쪽수 : 246쪽
출판일 : 2011-11-04
ISBN : 9788926827598
정가 : 17000

머리말

제1장 들어가기
1. 논의의 목적
2. 논의 대상 및 방법
2.1. 논의 대상
2.2. 논의 방법
3. 이름마디에 관한 앞선 논의
3.1. 공시적 연구
3.2. 통시적 연구
3.3. 앞선 논의의 한계

제2장 17세기 이름마디의 특징
1. 이름마디의 문법 범주 제약 관계
1.1. ‘-ㅁ 이름마디’의 때매김법, 높임법 제약
1.2. ‘-기 이름마디’의 때매김법, 높임법 제약
2. 이름마디의 기능
2.1. ‘-ㅁ 이름마디’의 기능
2.2. ‘-기 이름마디’의 기능
3. 이름마디의 의미론적 특성-풀이말의 씨범주 제약
3.1. 임자말로 기능하는 경우
3.2. 부림말로 기능하는 경우
4. 정리

제3장 17세기 이름마디 체계의 형성 과정
1. ‘-오-’의 소멸
1.1. ‘-오-’의 소멸과 ‘-옴’구성의 약화
1.2. 15세기~16세기 ‘-ㅁ 이름마디’
1.3. 17세기 ‘-ㅁ 이름마디’의 체계 형성
2 ‘-기’의 활성화
2.1. ‘-오-’의 소멸로 인한 ‘-기’의 활성화
2.2. 15세기~16세기 ‘-기 이름마디’
2.3. 17세기 ‘-기 이름마디’의 체계 형성
3. 이름마디의 다양화
3.1. 통어론적 구성으로의 변화
3.2. 다른 표현으로 대체
4. 정리

제4장 17세기 ‘-ㄴ/ㄹ+것’ 구조
1. ‘-ㄴ/ㄹ 것’ 구조
1.1. 통어론적 구성
1.2. 형태론적으로 인식되는 구성
2. ‘것’의 기능 변화
2.1. ‘것’의 기능 변화
2.2. ‘것’의 기능 변화 요인
3. ‘것’의 문법화
3.1. 문법화의 기제
3.2. ‘것’의 융합 현상
4. 정리

제5장 나가기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