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주역 계사전 연구 또는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땅끝
2025-05-09 07:09
13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00회 연결
본문
새로운 주역 계사전 연구

도서명 : 새로운 주역 계사전 연구
저자/출판사 : 박용재, 한국학술정보
쪽수 : 323쪽
출판일 : 2010-05-11
ISBN : 9788926809761
정가 : 21000
序文(一) 朴用載
序文(二) 趙明彙
序文(三) 趙喆濟
序說
本文篇
繫辭上傳
第一章 易經과 卦圖創案의 本原
第一節 易書와 卦圖創案의 本原
第二節 伏羲八卦의 作圖說과 應用例
第三節 結語의 辭
第二章 易의 位相과 能力
第一節 易의 位相
第二節 易理中의 陰陽之道
第三節 結語의 辭
第三章 乾坤의 意義와 應用(立證)例
第一節 易과 天(乾) 地(坤)의 意義
第二節 易의 應用
第三節 易應用의 實例(立證)
第四章 宇宙自然攝理의 本原과 體而用之
第一節 宇宙自然攝理의 運行과 蓍 및 卦德
第二節 聖人의 易體得과 用의 뜻
第三節 結語의 辭
第五章 大衍數 및 神人의 通念
第一節 大衍數의 運用法과 歲月歷數說
第二節 神人의 通念的 意義
第三節 繫辭上傳의 總結語辭
繫辭下傳
第一章 易의 內面的 體系
第一節 易은 乾坤을 本으로 한 內面的 體系
第二節 易의 內面的 體系
第三節 結語의 辭
第二章 易簡과 爻象의 應用例
第一節 易簡과 爻象
第二節 應用의 例
第三節 應用例와 結語의 辭
第三章 易의 外的 側面과 三陳九卦
第一節 乾坤의 外的 側面의 뜻
第二節 易의 意義의 再闡明
第三節 三陳九卦
第四章 易의 效用
第一節 乾坤의 意義와 體用
第二節 易義와 體用
第三節 易의 意義와 吉凶의 立證
第五章 三段階로 說한 易之爲書
第一節 易之爲書(一)
第二節 易之爲書(二)
第三節 易之爲書(三)
補說篇
1. 說卦傳(第一?二?三章) 解義
2. 易經의 天地之數와 河圖?洛書說
3. 孔子의 易經 彖辭 중의 卦象 應用說
4. 繫辭傳 中의 ‘子曰’ 二字에 대한 考察
附錄篇
附錄 Ⅰ 原本周易 繫辭傳 全文
附錄 Ⅱ 序次改修 繫辭傳 全文(對譯)
附錄 Ⅲ 序次改修 周易 繫辭傳 原文
跋文(一) 金弼洙
跋文(二) 金日坤
後記 高聖勳
圓齋 朴用載 先生의 年譜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도서명 :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저자/출판사 : 김대식, 모시는사람들
쪽수 : 333쪽
출판일 : 2012-03-20
ISBN : 9788997472017
정가 : 15000
1. 역사의 시공간을 거룩하게 만든 그리스도교의 탈존적 영성
1. 교회의 미래상은 영성이 강한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2. 영성은 하나님의 영을 통한 도덕성의 고양(高揚)입니다!
3. 목회자의 수덕적 영성을 회복해야 합니다!
4. 철학적 영성은 정신을 맛들이는 것입니다!
5. 영성은 ‘이미 주어진’ 거룩한 신비를 지향합니다!
2. 성 토마스 아퀴나스와 광암 이벽
1.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관상과 초월적 이성을 통한 선성 참예
2. 광암 이벽에 있어서 인(仁)의 미적 관조와 성(誠)의 발현
3. 영성적 인식의 지평 융합
3. 성 베네딕도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1. 성 베네딕도의 영성
2.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영성
3. 하나님 안에 머묾
4. 십자가의 성 요한과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
1.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
2. 무아 방유룡(無我 方有龍) 안드레아 신부의 영성
3. 영성, 근원적 존재(Urwesen)로서의 무(無: Nichts, nada)의 체험
5.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시무언 이용도
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2. 시무언 이용도의 영성
6. 샤를 드 푸코와 이세종
1. 샤를 드 푸코의 영성
2. 이공(李空) 이세종의 영성
3. 신앙의 초월성과 순수성
7. 성 프란치스코와 이현필
1.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
2. 이현필의 영성
3. 가난의 영성
8. 에디트 슈타인, 디트리히 본회퍼, 그리고 안중근
1. 에디트 슈타인의 영성
2. 디트리히 본회퍼의 영성
3. 안중근(토마스) 의사의 영성
9. 토머스 머튼과 다석 유영모:
1. 토머스 머튼의 영성
2. 다석 유영모의 영성
3. 속을 그리워하는 그리스도인, “다른 사람 안에서 하나님을 찾을 수 없는 사람 안에는 하나님이 계시지 않으실 것입니다”
10. 떼이야르 드 샤르댕과 씨알 함석헌
1. 샤르댕의 영성
2. 함석헌의 영성1
3. 함석헌의 영성2
4. 함석헌의 영성3
5. 세계와 종교의 생성, 그리고 이성의 진화를 위해서
11. 성 이냐시오 로욜라와 김교신
1. 성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성
2. 김교신의 영성
3. 신자의 소명(訴明)
12. 다산 정약용의 철학과 “목민관 영성”, 그리고 타자를 향한 보편가능한 영성철학
1. 다산 정약용과 서학의 정신
2. 목민심서와 한국 교회를 위한 목민관 영성
결론 ; 세계와 교회에 해답을 제시하는 보편 가능한 영성을 위하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