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테스 바디 또는 무영불 한국 정신문화의 3가지 DNA
땅끝
2025-05-09 07:09
9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21회 연결
본문
필라테스 바디

도서명 : 필라테스 바디
저자/출판사 : BROOKE SILER, 한언
쪽수 : 196쪽
출판일 : 2011-03-15
ISBN : 9788955966145
정가 : 13000
1. 필라테스(Pilates)란?
2. 필라테스의 철학
3. 필라테스 매트운동의 기본원칙
4. 필라테스 매트운동의 중요 요소
5. 이 책의 이용방법
6. 필라테스 매트운동
시작하기 앞서 : 초보자를 위한 워밍업
1. 100번 숨쉬기
2. 상체 들어올리기
3. 한쪽 다리 돌리기
4. 공처럼 몸 굴리기
5. 한쪽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
6. 두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
7. 척추 교정 스트레칭
필라테스 메인 프로그램
1. 100번 숨쉬기
2. 상체 들어올리기
3. 다리 들어올리기(고급자용)
4. 한쪽 다리 돌리기
5. 공처럼 몸 굴리기
6. 한쪽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
7. 두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
8. 한쪽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중급자용)
9. 두 다리를 이용한 스트레칭(중급자용)
10. 상반신 교차운동(중급자용)
11. 척추 교정운동
12. 두 다리 잡고 몸 흔들기(중급자용)
13. 두 다리 돌리기(중급자용)
14. 상체 비틀기(중급자용)
15. 다이빙하기(고급자용)
16. 한쪽 다리로 발차기(중급자용)
17. 두 다리로 발차기(중급자용)
18. 척추 이완시키기(중급자용)
19. 두 다리 교차하기(최고급자용)
20. 누워서 자전거 타기(최고급자용)
21. 어깨를 이용한 허벅지운동(최고급자용)
22. 척추 비틀기(고급자용)
23. 잭나이프 펴기(고급자용)
24. 사이드 킥 시리즈
초급자용, 위/아래
초급자용, 작은 원 그리기
중급자용, 앞/뒤
중급자용, 옆으로 누워 다리 들어올리기
중급자용, 허벅지 안쪽 단련하기
중급자용, 발목 부딪치기
고급자용, 누워서 페달 밟기
고급자용, 종아리를 위한 큰 원 그리기
25. 티저
초급자용, 티저Ⅰ
초급자용, 티저Ⅱ
중급자용, 티저Ⅰ
고급자용, 티저Ⅱ
고급자용, 티저Ⅲ
26. 원 그리기(고급자용)
27. 수영하기(고급자용)
28. 다리 뒤로 들어올리기(고급자용)
29. 다리 앞으로 들어올리기(고급자용)
30. 무릎 꿇고 다리 차기(고급자용)
31. 인어처럼 몸 이완하기(고급자용)
32. 부메랑 만들기(고급자용)
33. 몸 감싸 굴리기
34. 푸시업하기(고급자용)
최고급자를 위한 특별운동
1. 노젓기 Ⅲ
2. 노젓기 Ⅳ
3. 노젓기 Ⅰ
4. 몸 비틀기 Ⅰ
5. 몸 비틀기 Ⅱ
6. 몸 흔들어 굴리기
서서하는 팔운동
1. 지퍼 올리기
2. 가슴 이완시키기
3. 머리 밀기
4. 팔 돌리기
5. 이두근 운동 Ⅰ
6. 이두근 운동 Ⅱ
7. 삼두근 운동(중급자용)
8. 곤충처럼 팔 이완하기(중급자용)
9. 복싱하기(고급자용)
10. 앞으로 뻗기(고급자용)
벽을 이용한 정리운동
1. 팔 돌리기
2. 미끄러져 내리기
3. 상체 구부리기
부록 : Q&A와 용어 해설
1. Q&A
2. 필라테스 용어 및 근육 명칭
무영불 한국 정신문화의 3가지 DNA

도서명 : 무영불 한국 정신문화의 3가지 DNA
저자/출판사 : 허상녕, 어드북스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2-08-10
ISBN : 9788958450955
정가 : 13000
책머리에
제1장 무속(巫俗)
(一) 바리공주鉢里公主
1. 탄생
2. 버림
3. 양육
4. 해후
5. 저승길
6. 약령수와 효도
7. 몸주신
(二) 무巫에 대한 시각
(三) 무속의 기본사상
(四) 무속의 역사
(五) 굿
1. 굿은 무엇인가?
2. 무당巫堂, 무격巫覡
가. 강신무降神巫
나. 세습무世襲巫
3. 나라굿과 개인굿
가. 나라굿
나. 개인굿
1) 사령굿
2) 축원굿
(六) 신령神靈
1. 옥황상제
2. 일월성신
3. 칠성신
4. 삼성신
5. 시왕
6. 가속신
(七) 민속문화에 대한 인식변화와 방향
(八) 민속종교의 미래
제2장 유교(儒敎)
(一) 유학儒學에서의 인식론認識論
1. 인식론에서의 본체론의 문제
2. 인식론에서의 인식방법의 문제
가. 격물치지格物致知
1) 격물格物
2) 치지致知
나. 팔조목八條目
다. 마음
라. 진리眞理
(二) 유학儒學의 역사歷史
1. 원시유학原始儒學
가. 생장
나. 공자孔子
다. 사서四書와 육경六經 외
1) 논어論語
2) 맹자孟子
3) 중용中庸
4) 대학大學
5) 시경詩經
6) 서경書經
7) 춘추春秋
8) 효경孝經
2. 신유학新儒學
가. 신 학풍과 주창자
나. 주자학朱子學의 확립
다. 주희朱熹, 주자
라. 예禮
1) 유교문화는 의례문화다
2) 종법제도宗法制度
(三) 한국유학韓國儒學과 학자學者들
1. 고려의 유학자
최충·안향·정몽주
2. 조선의 유학자
정도전·길재·조광조·이황·이율곡·김장손
(四) 삼강오륜三綱五倫이 끼친 영향과 유교의 발전
제3장 불교(佛敎)
(一) 불교의 난해성
(二) 불교의 철리哲理
1. 우주관
2. 인도와 중국의 불교
3. 유有의 철리哲理-아비다르마 불교
4. 중관中觀의 철리(용수보살龍樹菩薩-나가르주나의 철리)
5. 유식唯識의 철리, 마음心의 철리
가. 인간의 번뇌
나. 삼성설三性說
다. 팔식설八識說
1) 마나식
2) 아라야식
3) 육六 바라밀波羅蜜과 공空
(三) 한국의 불교
1. 불교 전래 이전의 사회와 종교
2. 삼국의 불교 전래
3. 삼국의 불교
가. 고구려의 불교
나. 백제의 불교
다. 신라의 불교
4. 유학승
5. 사찰건립
6. 고승高僧
가. 원광圓光
나. 원효元曉
다. 의상義湘
(四) 새로운 선풍
1. 교종과 선종의 혼융
2. 구산선문九山禪門
가. 가지산문
나. 실상산문
다. 봉림산문
라. 동리산문
마. 성주산문
바. 사자산문
사. 사굴산문
아. 희양산문
자. 수미산문
(五) 고려의 불교
1. 태조의 불교관
2. 훈요십조訓要十條
3. 승과僧科와 지식인의 충원
4. 의천義天과 천태종
(六) 대장경大藏經 조성
1.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2. 속장경續藏經
3.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七) 사원경제寺院經濟의 문란과 불교의 쇠락
(八) 지눌知訥
(九) 조선의 불교
1. 친불과 억불 정책
2. 문정왕후와 보우
3. 임진왜란과 호국불교
4. 휴정 청허休靜 淸虛
(十) 근대불교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