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샤머니즘 또는 법, 미술을 품다
시니
2025-04-13 21:35
8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네오샤머니즘

도서명 : 네오샤머니즘
저자/출판사 : 박정진, 살림
쪽수 : 680쪽
출판일 : 2018-12-01
ISBN : 9788952240033
정가 : 39000
추천사|서양철학의 한계를 딛고 한국자생철학을 선도하다-김형효·8
추천사|박정진의 철학, 인류 미래의 철학이 될 것-공종원·10
머리말|사이보그시대 인간을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15
제1장|철학인류학의 성립·23
1. 인류학적 철학, 철학인류학의 태도·25
2. 인간인식의 이원구조와 철학의 이원대립·32
3. 현상학 신(God), 정신(Geist), 유령(Ghost)·55
4. 도가도(道可道)에서 무시무종(無始無終)까지·105
제2장|서양철학의 계보학과 동서철학의 특징·127
1. 서양철학의계보학 현상과 과학을 위한 철학·129
2. 시(詩)철학으로서의 동양철학 상징과 예술과 도덕을 위한 철학·172
3. 동서양 문화와 철학의 상호보완성 존재를 위한 철학·183
4. 하이데거는 왜 일반성의 철학에 이르지 못했을까·202
5.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불교적 존재론·261
제3장|동서철학과 종교의 소통·289
1. 동서철학과 종교의 상호소통과 미래·291
2. 존재론의 미래로서의 네오샤머니즘·319
제4장|『천부경』의 현상학과 존재론·345
1. 천지인의 순환론과 현상학의 원환(환원과 회귀) 존재론과 현상학의 화해로서의 샤머니즘·347
2. 『천부경』의 존재론과 현상학·354
3. 천지중인간(天地中人間),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361
제5장|인간이란 무엇인가 자기-내-존재로서의 인간·381
1. 철학적 인간학 대 인류학적 철학·383
2. 네오샤머니즘의 현대적 해석·399
제6장|언어문화와 철학?인도유럽어문화권·한자문화권·한글문화권·445
1. 박동환의 삼표론에 대한 반론·454
2. 샤머니즘과 철학의 불임증에 대하여·482
3. 무(無)의 철학으로서 신체적 존재론·499
제7장|존재론, 여성성, 그리고 네오샤머니즘·521
1. 존재론, 여성성, 그리고 무당·523
2. 한국철학의 완성으로서의 평화철학?일반성의 철학, 소리철학, 평화철학·541
3. 여성은 정령적 존재, 평화적 존재·574
제8장|결론: 철학의 미래와 네오샤머니즘·589
발문| 인류평화의철학 네오샤머니즘-진형준·616
연보| 심중(心中) 박정진(朴正鎭) 연보·668
법, 미술을 품다

도서명 : 법, 미술을 품다
저자/출판사 : 김영철, 뮤진트리
쪽수 : 324쪽
출판일 : 2019-02-25
ISBN : 9791161110356
정가 : 20000
머리말 : 법과 예술의 행로를 탐구하며
제1장. 법이 정의하는 미술
1. 미술의 정의와 한계
2. 예술가의 법적 지위
3. 문화예술 진흥 방안
제2장. 예술과 법
Ⅰ. 예술과 법의 관계
1. 예술의 자유성, 법의 구속성
2. 예술관련 소송절차
Ⅱ. 예술관련 민사?형사제도
1. 담벼락 낙서는 예술인가, 범죄인가?
2. 민사책임의 요건
3. 형사책임의 요건
4. 민사책임과 입증책임
5. 형사책임과 증거능력?증명력
제3장. 미술의 규제자로서의 법
Ⅰ. 미술과 자유
1. 창작의 자유와 제약 1 : 국가보안법위반
2. 창작의 자유와 제약 2 : 사회상규와의 갈등
3. 창작의 자유와 명예훼손
4. 창작의 자유와 음란
Ⅱ. 미술과 범죄
1. 미술품의 도난 문제
2. 미술품의 위작 문제
3. 미술품 구입과 횡령?배임 문제
제4장. 미술의 후원자로서의 법
Ⅰ. 미술과 저작권법
1. 저작권의 발생과 2차적 저작권
2. 공동저작물과 업무상저작물
3. 사진에서의 저작권
4.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
5. 패러디
6. 퍼블리시티권과 추급권
Ⅱ. 미술과 민사법
1. 미술시장 관련법
2. 미술 관련 보험법
3. 미술 관련 세법
Ⅲ. 미술과 국제법
1. 전쟁과 문화재 약탈
2. 국제협약과 문화재보호법
3. 국제사회에서의 문화재 반환
맺는말 : 예술이 나아갈 길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