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람의 역사 또는 한민족의 뿌리 고조선과 고분벽화에 담긴 고구려의 찬란한 문화
시니
2025-04-13 21:35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두 사람의 역사

도서명 : 두 사람의 역사
저자/출판사 : 헬게 헤세, 북캠퍼스
쪽수 : 396쪽
출판일 : 2018-11-26
ISBN : 9791188571062
정가 : 16500
들어가는 말
1장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세계는 이데아를 모방한 것인가?
2장 피에르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이성이 마음보다 중요한가?
3장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권력이란 무엇인가?
4장 요하네스 케플러와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신앙은 어디에서 시작되고 또 어디에서 끝나는가?
5장 데이비드 흄과 애덤 스미스
책임 없는 자유가 있을 수 있는가?
6장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자연의 본질은 무엇인가?
7장 율리시스 S. 그랜트와 윌리엄 T. 셔먼
전쟁은 정의로울 수 있는가?
8장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페르디난트 라살
무엇이 올바른 국가인가?
9장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
예술은 삶에 꼭 필요한가?
10장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존 메이너드 케인스
우리는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
11장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세계는 계획을 따르는가?
12장 윈스턴 처칠과 찰리 채플린
악을 어떻게 이길까?
13장 아서 밀러와 마릴린 먼로
나는 완벽해야 하는가?
14장 존 레논과 오노 요코
내가 세계를 구할 수 있을까?
15장 넬슨 만델라와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어떻게 폭력을 극복할 수 있을까?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한민족의 뿌리 고조선과 고분벽화에 담긴 고구려의 찬란한 문화

도서명 : 한민족의 뿌리 고조선과 고분벽화에 담긴 고구려의 찬란한 문화
저자/출판사 : 김경상 사진 · 이기우 엮음, 새로운사람들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9-06-10
ISBN : 9788981205799
정가 : 15000
책머리에 / 4
이민화 / 고대사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후와 산맥과 강
이기우 / 하늘이 열리고 신화 같은 고구려 역사가 깨어난다
제1장 뿌리를 찾아
요하(遼河)문명의 신석기청동기 주요 유적 / 16
요녕성 부신시 사해 유적지 / 17
심양(瀋陽) 신락(新樂) 유적 / 21
홍산문화(紅山文化) / 25
우하량(牛河梁) 유적 / 32
우하량 박물관 / 39
성자산(城子山) 천제단(天祭壇) / 46
<성자산 유적의 특징>
<고구려백제와 닮은 전통 석성 축조법>
삼좌점(三座店) 유적지 / 56
<삼좌점 암각화>
적봉시 지가영자 산성 / 62
<지가영자 유적 방패 모양 암각화>
제2장 고구려 그 찬란한 문화
한민족의 영산 백두산 / 72
<금강대협곡>
고구려 동명성왕이 세운 첫 수도 졸본산성 / 76
<환인 오녀산성(五女山城)은 유네스코 문화유산>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 80
<집안 벌에 우뚝 선 광개토대왕비>
<신묘년 기사와 임나일본부설>
<광개토대왕비는 고구려 융성의 상징>
<광개토대왕릉>
<장수왕릉으로 추정되는 장군총(將軍塚)>
오회분(五?墳) / 91
<집안 우산하 오회분 고분 5호>
<집안 우산하 오회분 고분 4호>
<대장장이 신과 제륜신>
집안 우산하 고분 3호 사신묘 / 103
집안 장천(長川) 1호분 예불도(禮佛圖) / 104
안악(安岳) 3호분 고분벽화 / 105
덕흥리 고분 / 110
<황해도 안악(安岳) 1호분 북벽 궁궐도>
<기마궁술대회도>
지린성 지안현 무용총 / 115
수산리 고분벽화 / 117
진파리 1호 무덤 / 119
덕화리 2호분 / 123
강서대묘 / 125
영주 순흥리 벽화고분 / 130
요동(遼東)의 랴오양(遼陽) / 133
랴오양(遼陽)의 벽화무덤 / 142
봉태자 고분군 / 150
<봉태자 1호묘>
<북원 3호묘>
<북원 6호묘>
<상왕가(上王家) 벽화고분>
<상왕가 벽화고분의 계통과 연대>
백암성(白巖城) / 164
<백암산성>
제3장 고구려의 남진과 한반도의 고구려 유적
고구려의 남진 / 170
아차산 고구려 보루 군(群) / 174
연천 당포성 / 180
연천 호로고루 / 184
파주 적성 칠중성 / 187
연천(漣川) 은대리성(隱垈里城) / 189
포천 반월산성 / 192
연천 신답리 고분군 / 194
단양 온달산성 / 196
충주 중원 고구려비 / 201
충주 장미산성 / 206
음성 망이산성 / 208
세종시 남성골산성 / 211
제4장 해동성국 발해와 후고구려 태봉
해동성국 발해 / 216
<동경성 상경용천부>
<발해의 지리>
<발해의 외교문서>
<발해의 역대 왕들>
<동경성과 흥룡사>
후고구려 / 226
작가소개 / 230 동경성과> 발해의> 발해의> 발해의> 동경성> 백암산성> 상왕가> 상왕가(上王家)> 북원> 북원> 봉태자> 기마궁술대회도> 황해도> 대장장이> 집안> 집안> 장수왕릉으로> 광개토대왕릉> 광개토대왕비는> 신묘년> 집안> 환인> 금강대협곡> 지가영자> 삼좌점> 고구려백제와> 성자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