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퇴직이 두렵지 않다 또는 청소년을 위한 우리 불교사
시니
2025-04-13 21:35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나는 퇴직이 두렵지 않다

도서명 : 나는 퇴직이 두렵지 않다
저자/출판사 : 강창희 , 지철원 , 송아름, 무한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9-01-10
ISBN : 9788956014128
정가 : 13500
1장 저성장·결핍의 시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01 노후빈곤, 남의 일이 아니다
02 싱글의 시대가 오고 있다
03 저성장·결핍의 시대가 오고 있다
04 저성장·결핍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장 자녀는 나의 노후인가?
01자녀리스크를 아십니까?
02자녀교육비와 결혼비용에 대한 한·미·일의 인식 차이
03과다한 자녀교육비와 결혼비용을 지출한 부모의 노후는?
04젊은 세대에게 냉혹한 사회, 자녀에게 너무 관대한 부모
05자녀에게 경제적 자립교육을
06리스크를 현명하게 관리하는 법을 가르치자
3장 노후 최소생활비는 3층연금으로
01재테크보다 연금공부를 먼저
02국민연금을 잘 활용하는 것이 먼저다
03퇴직연금은 기업이 주는 중요한 복지제도
04개인연금은 내 노후의 마지막 보루
4장 노후자금 마련과 금융자산 운용
01부동산에 편중된 자산구조, 문제는 없는가?
02‘노후자금 마련’은 펀드투자로
03‘종잣돈 마련’은 적립식투자로
04‘목돈’은 포트폴리오 방식으로 투자하라
05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하라
06분산투자는 하락국면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07해외펀드도 포트폴리오에서 빼놓지 마라
08노후자금 마련보다 더 중요한 인출전략
09노후대비 금융상품, 꼼꼼히 살펴보고 가입하자
10내 입장에 서서 상담해주는 자산관리전문가를 만나자
5장 가장 확실한 노후대비는 평생현역
01퇴직 후의 상식이 바뀌었다
02제1순위로 재취업을
03 재취업에 성공하려면?
04NPO활동으로 보람 있는 후반인생을
05창직의 시대
06평생현역에 대한 부부의 생각 차이
6장 액티브시니어들을 만나다
01초등학교 교장에서 이용사로 변신한 조상현 선생
02 통계직 공무원에서 주간보호센터 보조원으로 변신한 권재구 선생
03 중년 이후 시인과 화가로 변신한 송남영 시인·박영철 화백
04퇴직 후 끝없는 배움을 실천 중인 유장근 선생
05 광고회사 AE에서 중장년 재취업상담전문가로 변신한 박영재 대표
06연구는 내 운명, 독립연구소를 설립한 정필수 원장
07금융맨에서 해외자문관으로 변신한 구자삼 교수
08은행원에서 퇴직연금전문가로 변신한 하타 조우지 이사장
09손주 돌보기에 푹 빠진 할아버지, 곽규담 선생
10금융맨에서 여행전문가로 변신한 정강현 회장
11동네 사랑방 수다원(秀多院)을 운영하는 나영자 원장
청소년을 위한 우리 불교사

도서명 : 청소년을 위한 우리 불교사
저자/출판사 : 서인원 , 송치중 , 이은령 , 강승호, 종이와나무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8-09-27
ISBN : 9791188293049
정가 : 18000
30장면으로 정리한 우리 불교 통사
01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외치다 _석가모니의 탄생
02 경전을 결집하다 _불교 경전 결집과 교단의 성립
03 실크로드를 따라 불교가 동쪽으로 전해지다_ 중국 불교의 성립과 발전
04 달마가 동쪽으로 온 까닭은 무엇일까? _선종의 전래
05 한반도에도 불법의 싹이 트다 _한국 불교의 도입과 성립
06 고구려에 불교가 스며들다 _고구려의 고분벽화와 불상
07 왕즉불 사상을 황룡사에 구현하다 _신라의 왕즉불 사상과 황룡사
08 부처의 미소가 백제를 비추다 _백제 불교의 특징
09 삼국과 가야, 일본으로 불교와 문화를 전파하다_ 고대 한반도 불교문화의 일본 전파
10 원효와 의상은 어떤 세상을 꿈꾸었을까? _원효와 의상의 활동
11 신라인, 해외로 뻗어 나가다 _중국과 인도로 떠난 신라인
12 통일신라, 불국토를 구현하다 _통일신라의 불교
13 선종 승려들,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나가다_ 신라 말기 선종의 유행
14 발해 사람들도 불교를 믿었다 _발해의 불교
15 부처님과 함께 축제를 벌이자 _연등회와 팔관회
16 스님, 왕의 스승이 되다 _고려의 승과제도
17 향가로 백성의 불심을 높이다 _균여와 <보현십원가>
18 왕의 아들, 스님이 되다 _대각국사 의천
19 조계종이 나아갈 바를 널리 알리다_ 보조국사 지눌
20 부처님의 힘으로 외침을 막아내다 _팔만대장경판
21 스님이 《삼국유사》를 쓴 이유 _일연과 삼국유사
22 《직지》에는 어떤 내용이 쓰여 있을까_ 불조직지심체요절
23 조선의 건국, 불교의 고난이 시작되다_ 조선 초기의 불교
24 “나는 불교를 믿을 것이다!” _왕실과 불교
25 승려가 되는 길이 막히다 _도첩제와 승과 폐지
26 불교가 다시 일어서다 _선·교 양종의 재건
27 불교, 국난 극복에 앞장서다 _왜란과 호란 극복에 앞장선 승려들의 활동
28 불교 정책이 재정립되다 _조선 후기 불교의 발전
29 개항, 불교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다_ 개화기의 불교
30 일제의 불교 통제에 맞서 싸우다_ 불교계의 독립운동 보현십원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