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철학 또는 이토록 두려운 사랑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감정의 철학 또는 이토록 두려운 사랑

시니
2025-04-13 21:35 15 0

본문




감정의 철학
9788926887554.jpg


도서명 : 감정의 철학
저자/출판사 : 박해용, 이담북스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9-04-12
ISBN : 9788926887554
정가 : 18000

서문

01. 감정의 철학에 대한 서론 - 명제, 문제 그리고 관점
1.1. 감정은 이성의 타자? - 감정 개념과 합리성 개념
1.2. 감정은 합리적일 수 있는가? - 욘 엘스터(Jon Elster)와 감정의 합리성
1.3. 감정의 개체화에 관하여 -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해결책
1.4. 성향이나 소질로서의 감정의 구상 - 리처드 볼하임(Richard Wolheim)
1.5. 감정들의 과정으로서의 특성 - 피터 골디(Peter Goldie)와 로버트 무질(Robert Musil)의 견해
1.6. 감정과 신체의 관계 : 감정의 신체적 토대화 - 헤르만 슈미츠(Hermann Schmitz)
1.7. 감정에 접근하는 방법과 감정을 기술하는 것에 대하여
1.8. 현상학적 관점과 분석적 관점 사이의 차이 - 그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02. 불안
2.1. 불안 감정의 신체성과 그 지향적 내용
2.2. 병든 불안, 건강한 불안 - 건강한 불안이 가능한가?
2.3. 불안과 유사한 현상들 - 경악, 전율 그리고 공황(패닉)
2.4. 불안과 희망에 대하여 - 철학적 사유 속에서 나타난 불안의 감정
2.5. 불안과 공포 - 감정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하여 : 셸링(F. W. J. Schelling)과 키르케고르(S?ren Kierkegaard)
2.6. 불안과 염려 - 하이데거(Mtin Heidegger)의 불안과 염려 개념

03. 분노
3.1. 분노와 화는 서로 어떤 관계를 갖는가?
3.2. 화와 분노에 내재한 공격성은 어떤 위험을 갖는가?
3.3. 공격적으로 상처받은 기분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3.4. 혐오/증오 감정으로 이해하는 세계는 어떠한가?
3.5. 증오나 분노와 같은 공격적 감정들은 어떻게 도덕화되고 이념화되는가?
3.6. 도덕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분노와 분개가 가능한가?
3.7. 불쾌, 화나 미움의 감정에서 시기와 질투를 지나 분개와 분노 감정으로의 발전에 관하여

04. 공감 감정에 대하여
4.1. 서양 역사적 발전 속에서 본 자아의식의 성숙과 공감(공감 가족유사개념 포함, 동정심, 연민, 배려 등) 개념의 상호 관련성의 변화
4.2. 공감의 조건들에 관하여
4.3. 생생한 감정과 소질로서의 연민
4.4. 다른 사람의 감정을 만나는 길로서의 연민
4.5. 공감을 대변하는 감정들
4.6. 연민과 다른 부정적 감정과의 관계에 대하여 - 상대의 불행에 대하여 기뻐하는 마음, 질투, 무시 그리고 사랑
4.7. 텍스트 속의 공감
4.7.1. 도스토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의 『죄와 벌』에서 나타나는 공감의 유효함
4.7.2. 카프카(Franz Kafka)의 『소송』에서 발견되는 공감의 부재

05. 공감과 존중, 기쁨 그리고 사랑 감정의 관계 문제
5.1. 공감과 존중의 관계
5.2. 공감과 기쁨 감정의 관계
5.3. 공감과 사랑 감정의 관계

참고문헌




이토록 두려운 사랑
9791189198275.jpg


도서명 : 이토록 두려운 사랑
저자/출판사 : 줌마네 기획 · 김신현경, 반비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8-08-31
ISBN : 9791189198275
정가 : 17000

서문 친밀성에 대한 우리의 욕구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부서져왔나

1강 우리의 사랑은 왜 불안하고 혼란스러운가:
식민지 조선에서 오늘날까지, 사랑과 연애에 관한 질문
나혜석, 「이혼 고백장」(1934) | 드라마 「청춘시대」(2016)

2강 1990년대, 연애의 (재)탄생:
1987년 민주화 이후, 연애의 시대
영화 「접속」(1997) | 영화 「정사」(1998) |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2012, 2013, 2015~2016)

3강 자원 거래의 장이 된 연애:
IMF 경제위기와 군가산점제 위헌 판결 이후의 사랑/연애
영화 「나쁜 남자」(2002) | 영화 「버스, 정류장」(2002)

4강 도시, 여성, 일:
2000년대 ‘차가운 친밀성’의 도시를 배경으로 한 칙릿 유행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2006) | 영화 「미녀는 괴로워」(2006)

5강 ‘나쁜 남자’ 변천사:
여성적 욕망의 대상으로서 ‘나쁜 남자’부터 ‘무서운 남자’까지
영화 「연애의 목적」(2005) | 웹툰 「치즈 인 더 트랩」(2010~2017)

6강 그들이 사랑하는 것은 무엇인가?:
오늘날 남성들은 친밀성에 대한 욕망을 어떻게 표출하는가
아이유, 「좋은 날」(2010) | 영화 「소셜포비아」(2015)

7강 이런 세상에서 우리, 사랑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랑
드라마 「밀회」(201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