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 이회영 한번의 죽음으로 천 년을 살다 또는 퇴근길 인문학 수업: 전진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우당 이회영 한번의 죽음으로 천 년을 살다

도서명 : 우당 이회영 한번의 죽음으로 천 년을 살다
저자/출판사 : 김태빈 , 전희경, 레드우드
쪽수 : 228쪽
출판일 : 2018-12-22
ISBN : 9791187705123
정가 : 13000
가계도
추천의 글_ 우리는 어떤 자세로 새로운 100년을 준비해야 할까요?
시작하며 1_ 한번의 젊음을 어찌할 것인가
시작하며 2_ 이회영 선생은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1부 한번의 젊음을 어찌할 것인가
1 이항복이 이회영의 할아버지라고!
푸른 바위가 흰 구름에 깊이 잠겼다 | 명동1가 1번지와 상동
2 누가 헤이그 특사를 주도했을까?
황제의 도서관, 망국의 장소가 되다 | 이회영, 을사늑약을 저지하고 반대하다 | 이회영, 헤이그 특사를 기획하다 | 헤이그 특사, 타국에서 지고 조국에 묻히다 | 난잎으로 칼을 얻다
3 망국 후 이회영은 어떻게 했을까?
대지의 눈과 거꾸로 선 동상 | 우리 동포의 가장 좋은 모범이 되리라 | 나는 네 사랑 너는 내 사랑 | 독립운동과 하야밥 | 이 난을 사귐의 증표로 삼는다
4 가족 또한 고초를 겪었다는데!
북이 운다 종이 운다, 북경의 겨울밤에 | 하도 처량하여 눈물이 절로 난다 | 이 칼로 너희 두 놈을 죽이고 가겠다 | 가슴에 품은 뜻 하늘에 사무쳐 | 조금도 조롱에 개의치 않는다
5 이회영 선생의 최후는 어떠했을까?
눈은 차마 감지를 못하시고 | 아직은 나 있는 곳에 못 오네 | 강화학 최후의 광경 | 이성과 지혜를 밑받침으로 한 정열 | 정성이 하늘을 움직였다 | 독립운동가의 영광된 상처
2부 그는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1코스 우당기념관에서 서대문형무소역사관까지
이회영 선생 동상을 만나다_우당기념관 | 우리 할아버지 살던 옛집_필운대 | 은행나무 아래, 권율 장군 집터 | 통곡의 미루나무를 찾아서_서대문형무소역사관 | 행촌동 1번지의 랜드마크_딜쿠샤
2코스 덕수궁에서 남산 백범광장까지
치욕과 설움의 역사가 시작된 곳_중명전 | 어머니의 강인한 발걸음이 깃들다_한국은행 화폐박물관 | 독립운동의 기지_상동교회 | 쌍회정터를 지나 남산 백범광장에 오르다_이시영 선생 동상 | 북한산 둘레길에 모셔진 분들_이시영 선생 묘소
3코스 명동에서 국립서울현충원까지
진정한 명문가의 길_명동 집터 | 매국노에게 칼끝을 겨누다_이재명 의사 의거터 | 이회영 선생과 나석주 의사의 인연_나석주 의사 의거터 | 잊어선 안 될 영혼들이 모셔진 곳_국립서울현충원 | 이회영 선생과 위안스카이의 인연_주한중국대사관
참고 도서
퇴근길 인문학 수업: 전진

도서명 : 퇴근길 인문학 수업: 전진
저자/출판사 : 백상경제연구원, 한빛비즈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8-10-15
ISBN : 9791157842872
정가 : 17000
프롤로그│퇴근길 인문학 수업을 열며
PART1│문학과 문장
제1강 문장의 재발견 │김나정
월요일 벌레가 되고서야 벌레였음을 알다 _ 프란츠 카프카 《변신》
화요일 마음도 해부가 되나요? _ 나쓰메 소세키 《마음》
수요일 겨울 나무에서 봄 나무로 _ 박완서 《나목》
목요일 사진사의 실수, 떠버리의 누설 _ 발자크 《고리오 영감》
금요일 일생토록 사춘기 _ 헤르만 헤세 《데미안》
제2강 괴물, 우리 안의 타자 혹은 이방인 │윤민정
월요일 인간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_ 괴물의 탄생
화요일 우리 안의 천사 혹은 괴물 _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
수요일 내 안의 친밀하고도 낯선 이방인 _ 로버트 L. 스티븐슨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
목요일 공포와 매혹이 공존하는 잔혹동화 _ 브람 스토커 《드라큘라》
금요일 괴물이 던져준 기묘한 미학적 체험
제3강 나를 찾아가는 글쓰기 │최옥정
월요일 말과 글이 삶을 바꾼다
화요일 독서, 글쓰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일
수요일 소설가의 독서법
목요일 어쨌든 문장이다
금요일 마음을 다잡는 글쓰기의 기술
PART2│건축과 공간
제4강 가로와 세로의 건축 │박선욱
월요일 광장, 사람과 건축물이 평등한 가로의 공간
화요일 철강과 유리, 세로의 건축을 실현하다
수요일 근대 건축을 이끈 사람들
목요일 해체주의와 자연 중심적 건축의 새로운 시도
금요일 인간이 주인이 되는 미래의 건축
제5강 시간과 공간으로 풀어낸 서울 건축문화사 │박희용
월요일 태종과 박자청, 세계문화유산을 건축하다
화요일 조선 궁궐의 정전과 당가
수요일 대한제국과 정동, 그리고 하늘제사 건축
목요일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 충돌, 장충단과 박문사
금요일 궁궐의 변화, 도시의 변화
제6강 건축가의 시선 │정현정
월요일 빛, 어둠에 맞서 공간을 만들다
화요일 색, 볼륨과 생동감을 더하다
수요일 선, 움직임과 방향을 제시하다
목요일 틈과 여백, 공간에 사색을 허락하다
금요일 파사드, 건물이 시작되다
PART3│클래식과 의식
제7강 클래식, 문학을 만나다 │나성인
월요일 작곡가의 상상 속에 녹아든 괴테의 문학 _ 〈파우스트〉
화요일 셰익스피어의 언어, 음악이 되다 _ 〈한여름 밤의 꿈〉
수요일 자유를 갈망하는 시대정신의 증언자, 빅토르 위고 _ 〈리골레토〉
목요일 신화의 해석, 혁명의 서막 _ 오르페우스와 프로메테우스
금요일 바이블 인 뮤직 _ 루터와 바흐의 수난곡
제8강 오래된 것들의 지혜 │김최은영
월요일 오래되어야 아름다운 것들 _ 노경老境
화요일 겨울 산에 홀로 서다 _ 고봉孤峰
수요일 굽은 길 위의 삶, 그 삶의 예술 _ 곡경曲境
목요일 고요해야 얻어지는 _ 공허空虛
금요일 소멸, 그 후 _ 박복剝復
제9강 시간이 만든 완성품 │민혜련
월요일 스토리텔링과 장인 정신으로 명품이 탄생하다
화요일 그 남자가 누구인지 알고 싶다면 _ 말과 자동차
수요일 패션, 여성을 완성하다 337
목요일 시간과 자연이 빚은 최고의 액체 _ 와인
금요일 인류를 살찌운 식문화의 꽃 _ 발효음식
PART4│융합과 이상
제10강 조선의 과학과 정치 │안나미
월요일 백성의 삶, 시간에 있다
화요일 모두가 만족하는 답을 구하라 _ 수학
수요일 억울한 죽음이 없어야 한다 _ 화학
목요일 하늘의 운행을 알아내다 _ 천문학
금요일 빙고氷庫로 백성의 고통까지 얼리다 _ 열역학
제11강 ‘나’는 어디에 있는가 │장형진
월요일 별에서 온 그대
화요일 우주에서 나의 위치는?
수요일 나는 어떻게 여기에 왔을까?
목요일 나의 조상은 누구인가
금요일 마음은 무엇일까?
제12강 제4의 물결 │오준호
월요일 평민이 왕의 목을 친 최초의 시민혁명 _ 영국혁명
화요일 천 년 넘은 신분 제도를 끝장낸 대사건 _ 프랑스대혁명
수요일 빵·토지·평화를 위한 노동자의 혁명 _ 러시아혁명
목요일 나라의 주인이 누구인지 보여준 독립 혁명 _ 베트남혁명
금요일 민주주의 역사를 다시 쓰다 _ 대한민국 촛불혁명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