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합 스크래치 코딩 활용능력평가 COS 2급 또는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최적합 스크래치 코딩 활용능력평가 COS 2급 또는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시니
2025-04-13 21:35 12 0

본문




최적합 스크래치 코딩 활용능력평가 COS 2급
9788931555141.jpg


도서명 : 최적합 스크래치 코딩 활용능력평가 COS 2급
저자/출판사 : 김종철, 성안당
쪽수 : 231쪽
출판일 : 2019-01-07
ISBN : 9788931555141
정가 : 16000

PART 01 스크래치 시작하기
Chapter 01 스크래치 회원 가입하기
1.1|온라인 스크래치 회원 가입하기
1.2|스크래치 오프라인 에디터
Chapter 02 스크래치 화면 구성
2.1|웹사이트 화면 구성
2.2|오프라인 에디터 화면 구성
2.3|팔레트 영역
2.4|블록 구성
2.5|주요 용어
2.6|스프라이트 위치
Chapter 03 프로젝트 저장 및 공유하기
3.1|저장하기
3.2|공유하기

PART 02 알고리즘
Chapter 01 알고리즘 정의
1.1|알고리즘이란?
1.2|알고리즘 표현 방법
Chapter 02 알고리즘 종류
2.1|순차 구조
2.2|반복 구조
2.3|조건 구조
Chapter 03 순서도
3.1|두 수의 합
3.2|두 수의 차
3.3|1부터 10까지의 합
3.4|1부터 10까지의 짝수 개수
3.5|7! 계산 44
3.6|1부터 10까지 합의 평균 계산
3.7|홀·짝수 구분하기
3.8|몫/나머지 구하기
3.9|양수, 0, 음수 구분하기
3.10|‘?1+2-3+4 … +98-99’ 계산하기
3.11|세 수 중 가장 큰 수 찾기
3.12|놀이동산 입장료
3.13|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

PART 03 스크래치 기초
Chapter 01 동작 블록
1.1|이동하기
1.2|지정한 위치로 이동하기
1.3|연습하기1
1.4|연습하기2
Chapter 02 이벤트 블록
2.1|트램폴린에서 뛰어 놀기
2.2|벽에 튕기기
2.3|연습하기1
2.4|연습하기2
Chapter 03 형태 블록
3.1|색상 변경하기
3.2|크기 변경하기
3.3|연습하기1
3.4|연습하기2
Chapter 04 제어 블록
4.1|박쥐 날개 움직이기
4.2|돌리기
4.3|연습하기1
4.4|연습하기2
Chapter 05 소리 블록
5.1|소리 내기
5.2|악기 소리 내기
5.3|연습하기1
5.4|연습하기2
Chapter 06 감지 블록
6.1|양탄자 움직이기
6.2|도착하기
6.3|연습하기1
6.4|연습하기2
Chapter 07 펜 블록
7.1|고양이가 날아가면서 펜 그리기
7.2|번개 치기
7.3|연습하기1
7.4|연습하기2
Chapter 08 연산 블록
8.1|앵무새 떨어뜨리기
8.2|나타나기
8.3|연습하기1
8.4|연습하기2
Chapter 09 데이터 블록
9.1|변수 연습하기1
9.2|변수 연습하기2
Chapter 10 추가 블록
Chapter 11 변수
11.1|변수 종류
11.2|변수 관리하기
11.3|슬라이더
Chapter 12 리스트(배열)
12.1|리스트 만들기

PART 04 스크래치 실전
Chapter 01 스크래치 실전 프로그래밍

PART 05 기출유형 모의고사
Chapter 01 기출유형 모의고사 1회
Chapter 02 기출유형 모의고사 2회
Chapter 03 기출유형 모의고사 3회
Chapter 04 기출유형 모의고사 4회

[자료 다운로드]
성안당 홈페이지(www.cyber.co.kr)-[자료실]-[IT 교재/수험서]
- 소스/정답 파일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9788942390519.jpg


도서명 :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저자/출판사 : 우실하, 지식산업사
쪽수 : 708쪽
출판일 : 2018-09-28
ISBN : 9788942390519
정가 : 38000

여는 글 ∥5
제1부
요하문명의 발견과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5

제1장 서론 ∥17

1. ‘○○유지(=유적)’, ‘○○문화’, ‘○○문명’ 개념 _17
2.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 설정 문제 _19
3. 요하문명에 대한 한·중·몽골의 시각 차이 _21
4. 요하문명 관련 국내에 잘못 알려진 것 _33
5. 요하문명 지역의 각종 고고학문화의 연대 측정에 대한 의구심에 대하여 _40

제2장 요하문명에 대한 개괄적 소개 ∥47
1.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충격 _47
2. 주요 신석기-청동기시대 고고학문화의 편년과 분포 범위 _49
3.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의 기본적인 성격 _55
4. 요하문명 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 분포 _58

제3장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63
1. 우하량유적의 발견 _63
2. 중원과는 독자적인 ‘원시문명’ 혹은 ‘요서 지역 고문명’ _64
3. 곽대순에 의해 ‘요하문명’으로 명명되다 _65
4.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1: 요하문명의 주도세력을 황제족(黃帝族)으로 _68
5.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2: 국가주도의 각종 역사관련 공정(=프로젝트) _78

제4장 요하문명 지역의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97
1. 요하문명 지역 지형 _97
2. 요하문명 지역의 수계와 유적 분포 _99
3. 요하문명 지역의 사막 _120
4. 요하문명 지역의 과거 1만년 동안 기후 조건의 변화 _133
5. 요하문명 지역의 화산 _153

제2부
요하문명의 주요 고고학문화와 한반도 ∥169

제5장 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 BC 7000?6500)와 한반도 ∥171
1. 소하서문화에 대한 개략적 소개 _171
2. 소하서문화의 발견과 명명 및 같은 유형의 유적지 발견 _175
3. 소하서문화의 특징 _181
4. 소하서문화와 흥륭와문화의 계승관계에 대하여 _193
5. 소하서문하 소하서유지-유수산유지-서량유지 답사 자료 _194
6. 적봉대학 박물관 소장 소하서문화 빗살무늬토기 자료 소개 _203
7. 한반도 빗살무늬토기와의 비교 _214

제6장 흥륭와문화(興隆?文化: BC 6200-5200)와 한반도 ∥221
1. 흥륭와문화 소개 _221
2. 세계 최초의 옥 귀걸이 옥결(玉?) _225
3. 세계 최초의 재배종 기장〔黍〕과 조〔粟〕 _240
4. 세계 최초의 치아 수술 흔적 _252
5. 동북아시아 최초의 환호취락(環濠聚落) _260
6. 동북아시아 최초의 적석총과 한반도 _272
7. 동북아시아 최초의 석인상(石人像) _290
제7장 부하문화(富河文化: BC 5200-5000)와 한반도 ∥303
1. 부하문화 소개 _303
2. 최초의 복골(卜骨) 발견 _305
3. 골복문화(骨卜文化)와 한반도 _314

제8장 조보구문화(趙寶溝文化: BC 5000-4400)와 한반도 ∥331
1. 조보구문화 소개 _331
2. 조보구문화 존형기(尊型器)의 놀라운 제작 기법 _332
3. 존형기(尊型器)의 제작 기법을 이은 최초의 번개무늬토기 _340
4. 조보구문화 토기와 한반도, 연해주 지역 토기 비교 _343

제9장 홍산문화(紅山文化: BC 4500-3000)와 한반도 ∥359
1. 홍산문화의 발견과 명명 과정 _359
2. 홍산문화 우하량유지의 발견과 발굴 _379
3. 홍산문화 개괄 _383
4. 홍산문화의 분포 범위에 대한 재검토 _386
5. 적봉시 홍산(紅山)과 홍산유지군(紅山遺址群) _410
6. ‘홍산문화의 꽃’ 우하량(牛河梁)유지 _425
7. 2012년에 발견된 홍산문화 도소남신상(陶塑男神像) _486
8. 홍산문화의 편두(偏頭) 관습 _494
9.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의 확립 가능성 _498
10. 홍산문화의 소멸 원인에 대하여 _504

제10장 홍산문화 옥기의 상징성과 홍산인의 사유체계 ∥515
1. 홍산문화 각종 옥벽(玉璧)의 상징적 의미와 샤먼의 위계 _515
2. 홍산문화 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 옥저룡(玉猪龍)과 무지개 _535
3. 홍산문화 각종 삼공기(三孔器)와 3개의 태양이 뜨는 ‘환일(幻日) 현상’ _547
4. 홍산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_555

제11장 청동기시대 하가점하층문화와 하가점상층문화 ∥565
1. 하가점하층문화와 ‘치(雉)를 갖춘 석성’ _565
2. 하가점상층문화와 비파형동검 _571

제3부
최근 중국 고고-역사학계의 동향과 고조선 ∥587

제12장 최근 중국 고고-역사학계의 동향 ∥589
1. 문명단계, 국가단계 진입 시기에 대한 중국학계의 논의 _589
2. ‘최초의 중국(中國)’ 논쟁 _596
3. 석묘(石?)유지의 발견과 황제족의 활동 영역 논쟁 _598
4. 능가탄(凌家灘)유지의 발견과 홍산문화 _603
5. 홍산문화의 주도권을 둘러싼 내몽고 적봉시와 요녕성 조양시의 경쟁 _607

제13장 요(堯)임금의 도성 평양(平陽)과 단군조선 ∥613
1. 중화문명탐원공정과 도사유지 _613
2. 산서성 임분시와 요도(堯都) 평양(平陽) _614
3. 도사유지의 발견과 요순시대(堯舜時代) _627
4. 도사유지, 요임금, 단군조선 그리고 요하문명 _664

제14장 한국학계의 과제와 동방 르네상스 ∥675
1. 요하문명과 한반도 _675
2. 한국학계의 과제 _678
3.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_688

참고문헌 ∥691
찾아보기 ∥703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