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땅히 누려야 할 인권 탐구생활 또는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겁니다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마땅히 누려야 할 인권 탐구생활

도서명 : 마땅히 누려야 할 인권 탐구생활
저자/출판사 : 이기규, 파란자전거
쪽수 : 199쪽
출판일 : 2018-12-10
ISBN : 9791188609208
정가 : 12900
글쓴이의 말
제1장 인권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1. 인권이란?
- ‘인권’의 뜻이 뭐예요?
- 사람이 사는 데는 무엇이 필요한가요?
- 어떻게 살아야 사람답게 사는 것일까요?
- 인권에는 어떤 권리가 있나요?
2.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인권
- 고조선에서는 사람을 사형시켰대요
- 시대가 변하면 인권도 변한다고요?
- 갑자기 빙하가 녹고 있다고요?
3.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으로
- 만들어진 인권
- 인권을 위해 사람들은 어떤 노력을 했나요?
- “우리도 사람이다!”
- “여성에게 투표권을!”
- 우리나라에서는 인권을 위해 어떤 노력이 있었나요?
4. 인권이 가진 기본적인 생각과 방향
- 변하지 않는 인권이라고요?
- 인권은 구체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해요
- 인권이 후퇴할 수도 있다고요?
♣ 인권, 직접 가꾸어 봐요!인권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을 찾아봐요
제2장 우리 삶 속에 깃들어 있는 인권
1. 법과 인권
- 법만 잘 지키면 인권이 보장되나요?
- 법과 인권은 어떤 관계죠?
2. 인권과 민주주의
- 민주주의 국가에서 인권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 인권을 보장하지 않는 나라는 국가가 아니라고요?
3. 인권과 경제
- 경제 성장을 위해 인권은 양보해도 될까요?
- 경제가 성장해도 인권 문제는 여전하다고요?
4. 우선순위가 없는 인권
- 더 중요한 인권과 덜 중요한 인권이 있나요?
- 잠시 미루어도 되는 인권도 있나요?
- 인권에는 의무나 책임이 없나요?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인권은 인권이 아니라고요?
5. 인권의 문제인지를 판단하는 다섯 기준
- 인권일까? 아닐까? 어떻게 알죠?
- 인권의 문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에는 무엇이 있나요?
6. 우리만의 인권? 모두의 인권!
- 다른 사람의 인권은 나랑 어떤 관련이 있나요?
- 다른 나라의 인권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인권, 직접 가꾸어 봐요! 우리 주변의 인권 침해 사례를 찾아봐요
제3장 사람을 자유롭게 하는 인권
1. 차별받지 않을 권리
- 이건 차별이에요!
- 어떻게 편견을 없애죠?
- 어떤 이유에서든 차별받으면 안 돼!
2.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 왜 나를 의심하죠? 억울해요!
- 함부로 유죄라고 말하면 안 된다고요?
- 공정하게 재판받을 권리란 무엇인가요?
3. 생명을 보호받고 존중받을 권리
- 안전하게 살고 싶어요!
- 사람의 자유와 생명은 반드시 지켜야 할 가치래요
4. 생각과 양심의 자유
- 내 생각을 들여다본다고요? 끔찍해요!
- 양심수는 누구예요?
- 생각은 자유롭게
5. 표현의 자유
- 왜 내 생각을 말하면 안 돼요?
- 표현의 자유란 무엇인가요?
- 집회와 시위, 무서운 것 아닌가요?
6. 사생활 보장의 권리
- 이게 발가벗겨진 것과 뭐가 달라!
- 사생활 보장의 권리란 무엇인가요?
- 사생활은 뭐든 보장되나요?
7. 정치에 참여할 권리
- 정치는 어른들이 하는 것 아닌가요?
- 더욱더 누려야 할 정치에 참여할 권리
- 누구나 동등하게 정치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해요
♣ 인권, 직접 가꾸어 봐요!우리 주변의 감시 카메라를 감시해 봐요
제4장 사람답게 살게 해 주는 인권
1. 사회 보장을 위한 권리
- 복지 국가란 무엇인가요?
- 사회 보장이란 무엇인가요?
2. 일할 권리와 쉴 권리
- 우리에게도 놀 권리가 있어요!
- 정말 힘들게 얻어 낸 쉴 권리
- 일한 만큼 정당하게 대우받아야 해요
3. 문화생활을 누릴 권리
- 뭐, 공연장이 없다고?
- 문화생활을 누리는 것도 권리라고요?
- 카피라이트? 카피레프트?
4. 배우고 공부할 권리
- 공부하는 것도 인권이라고요?
- 다섯 가지 교육받을 권리
5. 좋은 환경에서 살 권리
- 환경은 전 세계의 문제래요
- 스톡홀름 선언은 무엇인가요?
♣ 인권, 직접 가꾸어 봐요! 우리 동네 문화 공간의 인권 점수를 매겨 봐요
제5장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권리
1. 어린이와 청소년 인권
-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도 인권이? 당연한 소리!
- 충분히 경험해 볼 기회가 필요해요
- 어린이도 이미 한 사람의 인간
2. 유엔아동권리협약과 학생 인권 조례
- 탕탕탕!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채택합니다!
- 우리부터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읽어 봐요
- 학생 인권 조례는 또 뭐예요?
- 경기도에서 시작한 학생 인권 조례
- 조례 제정에 그쳐서는 안 돼요!
3. 인권을 교육받을 권리
- 인권을 아는 것도 권리라고요?
- 인권을 교육받는 것은 무엇인가요?
- 잘 모르는 권리는 배워야 해요
4. 인권 보장을 위한 우리의 실천
-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 주세요!
- 인권을 침해받는 현실을 고발해요
- 인권은 누군가가 해결해 주는 게 아니에요
♣ 인권, 직접 가꾸어 봐요! 인권 동아리를 만들어 봐요
부록 인권을 위한 전 세계의 약속, 세계인권선언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겁니다

도서명 :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겁니다
저자/출판사 : 위근우, 시대의창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9-05-20
ISBN : 9788959406975
정가 : 14800
프롤로그
1. 그 이퀄리즘은 틀렸다
페미니스트 선언은 실천이다 | 백래시Backlash로서의 여성혐오와 괄호 안의 불의 | <며느라기> , 명절 연휴엔 모두들 이 만화를 함께 읽어봅시다 | 영혼도 웃음도 남기지 않은 시사 풍자 개그맨 황현희의 퇴행 | 유아인은 어쩌다 | ‘마녀사냥’이라는 레토릭 | 명예남성과 개념녀의 문제 그리고 남성 페미니스트의 오만 | <피의 연대기> , 이토록 질기고 귀한 연대 | 아이린에 분노하는 한국 남성이란 부족 | 수지의 용기 그리고 변명 뒤에 숨은 남자들 | 그 남자들은 페미니스트 시장 후보 벽보에 왜 그렇게 분노했을까 | 지하철 페미니즘 광고는 시민의 권리다 | 탈코르셋 시대의 비슷한 듯 전혀 다른 두 작품, <여신강림> 과 <화장 지워주는 남자> | 한국 남성들의 반발 속에서 《82년생 김지영》은 어떻게 밀리언셀러가 됐을까 | 여자 친구 불법 촬영 인증과 20대 남성들의 상실감 타령
2. 가짜 논의와 공론장의 적들
‘지식 셀럽’과 방송의 위험한 공모 | 그건 정말 사표였을까 | 언론의 1일 1이택광에 대하여 | 페미니즘 공부는 셀프라는 말에 대해 | 슈뢰딩거의 탁현민 | 불편함의 변증법, 프로불편러가 상대도 불편하게 만드는 이유 | <까칠남녀> 와 정영진, 잘못된 조합 | 《디스패치》 ‘팩트주의’의 저널리즘적 맹점 | <까칠남녀> 은하선의 하차와 교육방송 EBS의 자기 부정 | 폭로의 정치학에 대하여 | 윤서인 만화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강신주, 채사장, 그리고 상식의 문제들 | 황교익의 독선과 포퓰리즘 인문학의 한계 | TV 토론 프로그램은 어떻게 가짜 논의에 오염되는가
3. 웃자고 하는 얘기에 죽자고 달려들기
<개콘> ‘대통형’,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고 | <아빠본색> 과 <인생술집> , 솔직함은 면죄부가 아니다 | 홍상수의 한심한 남자들 | 우리에게는 유바비처럼 스위트한 남자 롤 모델이 필요하다 | 퇴행하는 TV 예능 세상에서 기획자 송은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나의 아저씨> , 모두를 위한 지옥에도 불평등은 있다 | <안녕하세요> , 폐지가 답이다 | 소니코리아여, 플스4는 당신들 광고보다 더 위대하다 | 장애인 차별에 공모한 MBC 예능 투톱, <나 혼자 산다> 와 <전지적 참견시점> | 백종원이라는 알파메일Alpha Male과 징벌 서사의 정당화 | <계룡선녀전> 과 <일단 뜨겁게 청소하라> , 웹툰 원작 드라마에 한국 남자 패치가 붙으면 | <언더 더 씨> 논란과 애도의 윤리 | ‘과도한 PC함’이라는 허수아비 언더> 일단> 계룡선녀전> 전지적> 나> 안녕하세요> 나의> 인생술집> 아빠본색> 개콘> 까칠남녀> 까칠남녀> 화장> 여신강림> 피의> 며느라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