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해탄 트라우마 또는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현해탄 트라우마

도서명 : 현해탄 트라우마
저자/출판사 : 박광현, 어문학사
쪽수 : 404쪽
출판일 : 2013-01-31
ISBN : 9788961842839
정가 : 22000
● 책머리에 │ 4
제1부 식민의 문학ㆍ문화-현해탄을 건너온 문학ㆍ문화 │ 17
제1장 조선 내 ‘식민’ 문단의 기원 탐색 │ 19
제2장 ‘외지문학’의 ‘조선어’ │ 60
제3장 식민 2세의 ‘고향’ │ 87
제4장 월경(越境)하는 작가의 상상력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 문학을 중심으로 │ 116
제5장 ‘조선’이라는 여행지의 서양철학 교수 │ 143
제6장 ‘국민문학’의 기획과 전망
-잡지 『국민문학』의 창간 1년을 중심으로 │ 172
제2부 (탈)식민주의와 재일문학 │ 203
제7장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김달수 소설을 중심으로 │ 205
제8장 재일문학의 2세대론을 넘어서
-‘역사화와 영역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229
제9장 ‘전후’ 일본 사회와 허구의 ‘혼혈’
-다치하라 마사아키의 ‘혼혈’ 소재 소설에 존재하는 것 │ 256
제2부 【보론】재일조선인(한국인)의 정체성ㆍ기억ㆍ오늘 │ 275
제3 부 전후와 센고(戰後)의 사이에서 │ 321
제10장 ‘전후’와 ‘센고(戰後)’
-식민지 역사에 관한 기억/망각 │ 323
제11장 ‘인양(引揚げ)’ 서사와 이데올로기 │ 349
제12장 ‘우리’ 안의 일본 문화론
-은폐와 재생의 ‘신화’ │ 357
제13장 일본제 번역어와 한국의 근대 번역 │ 377
● 참고문헌 │ 388
● 색인 │ 396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도서명 :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저자/출판사 : 김영순 , 박선미 , 정상우 , 오영훈 , 김금희 ,, 한국학술정보
쪽수 : 334쪽
출판일 : 2014-11-14
ISBN : 9788926867136
정가 : 21000
PREFACE
1장 다문화사회에서 시민으로 함께 살아가기
1. 다문화사회의 도래
2. 다문화 시민성에 관한 논의
3.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4. 다시 다문화 시민성 교육으로
2장 교사의 다문화 역량
1. 들어가며
2. 다문화 역량의 의미와 구성 요소
3. 교사의 다문화 역량 수준
4. 우리나라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
5. 나가며
3장 결혼이주여성 가정의 부부간 협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
1. 국제결혼과 결혼이주여성
2. 협력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유형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4장 외국인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교수자의 다문화 감수성
1. 다문화 감수성의 필요성
2. 다문화 감수성의 개념
3. 연구방법
4. 한국인 교수자의 다문화 감수성 확보 과정
5. 나가며
5장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에 대한 헌법교육
1. 다문화사회와 헌법교육
2. 이주민에 대한 헌법교육의 필요성과 기능
3. 이주민에 대한 헌법교육의 방향과 구체적 내용
4. 헌법교육을 통한 사회통합을 지향하며
6장 교육기부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다문화 시민성 함양 과정
1. 대학생의 현실
2. 다문화주의와 봉사활동
3. 연구설계
4.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
5. 주제별 경험의 의미
7장 초등학교 다문화미술교육의 방향
1. 교육과정과 다문화미술교육
2. 연구방법
3.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4. 다문화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8장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문화적응
1. 문화적응과 미디어
2. 문화적응과 미디어 이론
3. 연구방법
4. 중국인 유학생의 미디어 이용 실태
5. 미디어의 열린 공간을 지향하며
9장 방가 씨와 한국인 동료가 함께하는 직장생활
1. 방가 씨 한국에 오다
2. 다문화 감수성 발달 단계
3. 연구방법
4. 방가 씨 한국인 동료의 이야기
5. 방가 씨의 행복한 직장생활을 기대하며
10장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 부모 역할수행
1. 사회문화적응과 부모의 역할
2.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문화 적응 및 부모 역할
3. 연구방법
4. 중도입국청소년의 입국시기에 따른 부모 역할
5. 중도입국청소년 부모의 바람직한 부모 역할
11장 문화예술 체험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다문화경험 이야기
1. 문화예술 체험활동과 다문화경험
2. 다문화경험과 다문화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
3. 연구방법
4. 다문화교육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이야기
5. 열린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
12장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
1. 다문화교육 장으로서 도서관
2. 다문화사회와 공공도서관의 역할
3.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4.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5. 지역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개선방안
13장 한국 개신교 목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1. 다문화사회와 종교
2. 다문화교육과 교사로서의 목사
3. 연구방법
4. 목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5. 결론 및 제언
미 주
참고문헌
저자소개(게재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