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과 청각 또는 만화비평. 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소음과 청각 또는 만화비평. 2

로즈
2025-04-28 10:48 2 0

본문




소음과 청각
9788926840818.jpg


도서명 : 소음과 청각
저자/출판사 : 김규상, 이담북스
쪽수 : 466쪽
출판일 : 2013-02-08
ISBN : 9788926840818
정가 : 29000

머리말

PART 01 인간의 청력과 소음노출
제1장 인간의 청력
1. 소리와 소음, 단위
2. 청력역치
3. 우리나라 정상 성인의 청력

제2장 일반인의 소음노출
1. 중국 베이징 시민의 개인 소음노출
2. 스페인 마드리드 시민의 개인 소음노출
3. 개인 소음노출 고찰

제3장 소음노출 사업장의 소음노출 수준과 소음성 난청
1. 소음노출 수준
2. 근로자의 청력과 난청

PART 02 환경 소음과 저주파 음의 노출 영향
제4장 환경 소음과 도시 소음의 문제 - 주택 외부 환경 소음
1. 교통 소음
2. 건설 소음

제5장 환경 소음과 도시 소음의 문제 - 주택 내부 소음
1. 주택 내부 소음
2. 환경 소음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3. 환경 소음의 대처방안
4. 실내 소음의 평가기준
5. 나가며

제6장 환경 소음의 건강영향과 규제
1. 환경 소음의 실태
2. 환경 소음의 영향
3. 환경 소음의 규제
4. 산업장 소음의 노출기준
5. 나가며

제7장 일상생활에서의 저주파 음의 노출과 건강영향
1. 저주파 음이란?
2. 저주파 소음노출 실태
3. 저주파 소음의 건강영향
4. 저주파 소음의 평가기준

제8장 일상생활에서의 저주파 음의 노출과 건강영향 - 진동음향 질환
1. 저주파 소음에 의한 진동음향 질환의 시기별 연구
2. 진동음향 질환의 임상 단계
3. 진동음향 질환 관련 병리
4. 진동음향 질환의 진단
5. 진동음향 질환 환자에서 고려할 사항

PART 03 소음노출과 청력영향
제9장 소음환경하에서의 어음인지와 청력손실
1. 소리의 인지과정
2. 감각신경성 난청의 어음인지 특성
3. 감각신경성 난청이 어음인지에 미치는 영향 - 노인성 난청을 중심으로
4. 청력보조기구 사용 난청자의 어음인지
5. 정상 청력인에 있어서의 소음 환경에서 어음인지
6. 의사소통 능력 측정

제10장 소음노출과 일시적 난청
1. 일시적 난청 관련 연구
2. 우리나라에서 소음에 의한 일시적 난청에 대한 연구

제11장 소음과 이명
1. 이명의 실태
2. 이명의 원인
3. 이명의 평가
4. 소음성 난청자의 이명 특성
5. 이명의 치료
6. 소음성 난청에서 이명의 보상
7. 나가며

제12장 소아 아동의 소음노출과 청력영향
1. 태아의 청력과 소음노출 영향
2. 영유아의 청력과 소음노출 영향
3. 소아 청소년기의 청력과 소음노출 영향
4. 산모의 작업장 또는 환경 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태아 영향

제13장 취미 및 스포츠 활동에 따른 소음노출과 청력영향
1. 취미 활동
2. 스포츠 활동

제14장 휴대용 음향기기와 헤드셋 착용자의 소음노출과 영향
1. 휴대용 음향기기
2. 헤드셋 착용자의 소음노출
3. 이어폰ㆍ헤드셋 소음 저감방법
4. 나가며

PART 04 연령, 건강행태, 질병과 청력
제15장 청력의 연령효과와 노인성 난청
1.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청력의 연령 효과
3. 노인성 난청

제16장 건강행태(음주, 흡연 등)와 청력영향
1. 흡연의 청력영향
2. 음주의 청력영향
3. 기타 건강행태에 따른 청력영향

제17장 일반 질병(당뇨, 신장질환 등)에 의한 청력영향 - 난청의 유형에 따른 특성과 원인 질환
1. 난청의 원인
2. 농과 유전적 난청

제18장 일반 질병(당뇨, 신장질환 등)에 의한 청력영향 - 당뇨와 난청
1. 당뇨와 난청

제19장 일반 질병(당뇨, 신장질환 등)에 의한 청력영향 - 신장질환ㆍ류머티스성 관절염과 난청
1. 신장질환과 난청
2. 류머티스성 관절염

제20장 일반 질병(당뇨, 신장질환 등)에 의한 청력영향 - 기타 질환과 난청
1. 면역 매개질환 -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SLE)
2. 고지혈증
3. 동맥경화증
4. 뇌졸중
5. 만성폐쇄성폐질환
6. 백내장
7. 골밀도와 폐경

PART 05 유해요인과 직업에 의한 청력영향
제21장 화학물질의 이독성
1. 이독성
2. 화학물질의 이독성
3. 중금속의 이독성
4. 나가며

제22장 소음 이외 물리적 요인(진동, 라디오파, 방사선 등)에 의한 청력영향
1. 진동에 의한 청력영향
2. 방사선의 청력영향
3. 라디오파의 청력영향
4. 압력에 의한 청력영향 - 수중 잠수작업을 중심으로

제23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공공 근무 종사자
1. 소방관의 청력
2. 철도 종사자의 청력
3. 경찰 종사자의 청력

제24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군인
1. 군인의 청력과 난청
2. 군인의 이명

제25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음악가
1. 들어가며
2. 음악가의 난청
3. 연주자에 있어서 소음 통제
4. 나가며

제26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용접공과 도장공

제27장 소음노출로 인한 업무 관련성이 높은 직업성 난청 사례
1. 조사방법
2. 사례
3. 고찰 및 결론

PART 06 청력보존 프로그램과 청능재활
제28장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평가
1. 우리나라의 청력보존 프로그램
2.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수립ㆍ시행 지침
3.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시행을 위한 청력평가 지침
4.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지침
5.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와 연령을 고려한 상대적인 역치변동 평가의 필요성

제29장 소음성 난청의 청능재활
1. 난청자 청능재활 시 일반적 고려 사항
2. 난청자 청능재활 시 고려할 청각적 요인
3. 청능재활

PART 07 소음성 난청, 산업청각학적 연구 고찰
제30장 소음성 난청에 대한 주요 논점
1. 소음만이 직업성 난청의 위험 요인인가?
2. C-5 dip은 소음성 난청만의 특성인가?
3. 소음에 의한 소음성 난청에서 C-5 dip만이 아닌 다른 주파수역의 역치손실은 소음원의 특성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없는가?
4. A-B Gap이 없는 기도ㆍ골도 청력손실은 감각신경성 난청만의 특성인가?
5. 소음성 난청은 직업성 난청인가?
6. 소음성 난청은 양측성의 감각신경성 난청으로만 한정할 수 있는가?
7. 골도청력이 기도청력보다 높게 나타날 수는 없는가?
8. 소음성 난청의 어음인지의 특성과 재활(청력보조기구의 사용)의 어려움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
9. 소음성 난청은 치료가 불가능한가? 그리고 예방은 가능한가?
10. 90dB(A) 이상의 소음노출이 소음성 난청을 유발하는 기준으로 합당한가?

제31장 우리나라의 산업청각학적 연구 고찰
1. 소음성 난청의 유병률
2. 소음성 난청 판정기준에 관한 연구
3. 소음에 의한 청각학적 영향
4. 소음에 의한 비이질환 영향
5. 비소음에 의한 직업성 난청
6. 순음청력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소음에 대한 인식 및 사후관리 연구
8. 소음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산업위생학적 연구
9.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만화비평. 2
9788967340254.jpg


도서명 : 만화비평. 2
저자/출판사 : 상명대 만화학과, 풀빛미디어
쪽수 : 170쪽
출판일 : 2013-06-10
ISBN : 9788967340254
정가 : 12000

집중 조명 / 현장을 그리는 만화가들
현장을 그리는 만화의 전개 과정
인터뷰-현장을 그리는 만화가들
공개 좌담회/만화와 현실 참여

만화비평&리뷰
미겔란쏘 프라도의 <섬> (Trazo de tiza)
-현실과 비현실의 공간에서 부조리를 말하다
만화는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 ' 두 장면 동시 진행법'에 대한 에세이 -
명작 만화 리뷰

동향과 전망
한미 FTA가 한국 만화계에 끼칠 영향과 우리의 대응
만화진흥법 제정과 의미

제1회 이한열 만화상 수상작 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